1. 개요
동물군(動物群, fauna) 또는 동물상(動物相)이란, 생물군(biota) 가운데 특정 지역, 환경, 또는 지질 시대에 서식하는 모든 동물의 종류를 총체적으로 분석한 것을 말한다. 미생물에서 곤충, 대형 동물에 이르기까지 어떤 생태계 내에서 번식하는 모든 동물종을 지역이나 시대의 지질 및 기후적 특성, 진화사 등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식물군(flora)과 더불어 지역의 생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1.1. 주요 지역의 동물군
1.1.1. 한반도의 동물군
한반도는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동물군은 의외로 다양한 축에 속하는데 이는 좁은 면적에 비해 다양한 생물종이 분포하는 편으로 현재 파악된 종은 5만 2628종이다. 특히 기후와 지형을 살펴보면 동남아의 혹서에 가까운 여름과 러시아 시베리아의 혹한의 겨울이 교차하는 극한의 기후대와 유라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는 동고서저 지형으로 인해 동부와 북부는 고산지대 서부와 남부는 저지대에 대부분 큰강을 끼고 있으며 리아스식 해안이 대부분으로 인해 다도해가 형성되어 있어서 여러 다양한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게 만들었고 다른 나라에서도 생존 할 수 있게 만들었을 정도이다.* 포유류:호랑이, 표범, 스라소니, 불곰, 반달곰, 늑대, 승냥이, 노란목도리담비, 삵, 수달, 족제비, 쇠족제비, 너구리, 오소리, 여우, 고라니, 멧돼지, 노루, 사향노루, 산양, 꽃사슴, 와피티사슴, 다람쥐, 청설모, 등줄쥐, 멧밭쥐, 멧토끼, 하늘다람쥐, 붉은박쥐
* 조류:참새, 박새, 오목눈이, 직박구리, 멧비둘기, 비둘기, 까치, 까마귀, 물까치, 어치, 꿩, 메추라기, 제비, 꾀꼬리, 괭이갈매기,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백로, 왜가리, 해오라기, 가마우지, 가창오리, 기러기, 두루미, 황조롱이, 말똥가리,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부엉이, 매
*양서파충류:구렁이, 살모사, 유혈목이, 바다뱀, 남생이, 자라, 장지뱀, 도마뱀, 참개구리, 청개구리, 맹꽁이, 두꺼비, 도롱뇽
*한국의 담수어류 참고
*무척추동물류:딱정벌레, 나비, 나방, 벌, 노린재, 파리, 날도래, 메뚜기, 잠자리, 하루살이, 사마귀, 모기, 지네, 달팽이, 지렁이, 거머리
* 조류:참새, 박새, 오목눈이, 직박구리, 멧비둘기, 비둘기, 까치, 까마귀, 물까치, 어치, 꿩, 메추라기, 제비, 꾀꼬리, 괭이갈매기,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백로, 왜가리, 해오라기, 가마우지, 가창오리, 기러기, 두루미, 황조롱이, 말똥가리,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부엉이, 매
*양서파충류:구렁이, 살모사, 유혈목이, 바다뱀, 남생이, 자라, 장지뱀, 도마뱀, 참개구리, 청개구리, 맹꽁이, 두꺼비, 도롱뇽
*한국의 담수어류 참고
*무척추동물류:딱정벌레, 나비, 나방, 벌, 노린재, 파리, 날도래, 메뚜기, 잠자리, 하루살이, 사마귀, 모기, 지네, 달팽이, 지렁이, 거머리
1.1.2. 일본 열도의 동물군
블래키스턴선에 의해(Blakiston Line)은 일본 북해도와 혼슈 사이의 동물상의 불연속선이다. 츠가루 해협과 대략 일치한다.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사이의 월리스선과 비슷하다. 특정 동물종은 이 선 북쪽에만 살고 특정 동물종은 이 선 남쪽에만 산다. 영국의 자연사학자 토머스 블래키스턴이 1861년에서 1884년까지 하코다테에 체류하면서 동물들을 관찰한 결과 발견했다. 블래키스턴의 관찰에 따르면 북해도의 동물들은 한반도나 만주, 시베리아등 북아시아 계통이고, 혼슈 이남의 동물들은 중국 동남아시아등 남방계에 사는 계통이었다. 블래키스턴의 연구 결과는 1883년 2월 14일 일본아시아협회 회지에 발표되었다.* 무척추동물류:지렁이, 거머리, 거미, 일본바퀴, 잠자리, 반딧불이, 딱정벌레, 장수말벌, 일본왕개미, 일본열마디개미, 일본바퀴, 나비, 나방
* 양서파충류:장수도롱뇽, 두꺼비, 영원(동물), 살무사, 능구렁이, 도마뱀붙이, 청대장, 남생이
* 조류:까마귀, 일본꿩, 들꿩, 뇌조, 멧비둘기, 딱따구리, 긴점박이올빼미, 수리부엉이, 참새, 매,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참수리, 직박구리, 일본검독수리,원앙사촌, 안경가마우지
* 포유류:두더지, 뒤쥐, 땃쥐, 일본겨울잠쥐, 멧밭쥐, 청설모, 다람쥐, 일본하늘다람쥐, 북방하늘다람쥐, 일본멧토끼, 우는토끼, 일본원숭이, 일본멧돼지, 일본산양, 일본사슴, 에조사슴, 일본족제비, 산달, 검은담비, 쇠족제비, 일본오소리, 일본여우, 북방여우, 일본너구리, 일본반달가슴곰, 에조불곰, 쓰시마삵,일본수달, 일본늑대, 홋카이도늑대
* 양서파충류:장수도롱뇽, 두꺼비, 영원(동물), 살무사, 능구렁이, 도마뱀붙이, 청대장, 남생이
* 조류:까마귀, 일본꿩, 들꿩, 뇌조, 멧비둘기, 딱따구리, 긴점박이올빼미, 수리부엉이, 참새, 매,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참수리, 직박구리, 일본검독수리,
* 포유류:두더지, 뒤쥐, 땃쥐, 일본겨울잠쥐, 멧밭쥐, 청설모, 다람쥐, 일본하늘다람쥐, 북방하늘다람쥐, 일본멧토끼, 우는토끼, 일본원숭이, 일본멧돼지, 일본산양, 일본사슴, 에조사슴, 일본족제비, 산달, 검은담비, 쇠족제비, 일본오소리, 일본여우, 북방여우, 일본너구리, 일본반달가슴곰, 에조불곰, 쓰시마삵,
1.1.3. 중국 본토의 동물군
중국은 땅이 넓고 지형과 기후도 다양해 여러 야생동물들이 서식하는데 특히 중원이나 강남, 쓰촨분지에는 다른 지역에선 찾아 볼수 없는 종들이 서식한다. 과거에는 기후가 따뜻하고 문명이 발전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현재 동남아시아 등 열대지방에서만 사는 종들은 물론이고 같은 화석으로 기록된 종들까지 베이징 인근 등 중국 본토에까지 있었지만 남획과 기후변화로 멸절된 경우가 많았다.* 포유류:집쥐, 곰쥐, 등줄쥐, 멧밭쥐, 멧토끼, 대왕판다, 레서판다, 아시아흑곰, 시베리아족제비, 노란목도리담비, 유라시아수달, 작은발톱수달, 사향고양이, 아무르삵, 남중국호랑이, 북중국표범, 너구리, 승냥이, 사불상, 아기사슴, 꽃사슴, 사향노루, 산양, 타킨, 멧돼지, 아시아물소, 긴팔원숭이, 황금들창코원숭이, 히말라야원숭이, 북부돼지꼬리원숭이, 아시아코끼리
* 조류:백한(조류), 금계, 따오기, 꿩, 참새, 까치, 까마귀, 매, 부엉이, 독수리, 공작
* 양서파충류:양쯔강악어, 양쯔강대왕자라, 자라, 물왕도마뱀, 바다악어, 도마뱀, 구렁이, 비단뱀, 도마뱀붙이, 남생이, 개구리, 도롱뇽, 중국장수도롱뇽, 두꺼비
* 어류:주걱철갑상어, 붕어, 잉어, 메기, 가물치, 뱀장어
* 곤충류:메뚜기, 파리(곤충), 모기, 바퀴벌레, 딱정벌레, 사마귀, 나비, 나방, 거미, 벌, 말벌
* 조류:백한(조류), 금계, 따오기, 꿩, 참새, 까치, 까마귀, 매, 부엉이, 독수리, 공작
* 양서파충류:양쯔강악어, 양쯔강대왕자라, 자라, 물왕도마뱀, 바다악어, 도마뱀, 구렁이, 비단뱀, 도마뱀붙이, 남생이, 개구리, 도롱뇽, 중국장수도롱뇽, 두꺼비
* 어류:주걱철갑상어, 붕어, 잉어, 메기, 가물치, 뱀장어
* 곤충류:메뚜기, 파리(곤충), 모기, 바퀴벌레, 딱정벌레, 사마귀, 나비, 나방, 거미, 벌, 말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