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형태 | 구조적 차별 · 내면화된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 ||
민족/국민 정체성 | 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아랍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반화) · 코리아인*(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 |||
사회문화 | 계급(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성노동자(SWERF)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 |||
성소수자 | 동성애(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미소지니 · TERF) · 혐오 수사(비하명칭) | |||
종교 | 기독교(공포증 · 가톨릭) · 불교 · 이슬람(공포증(히잡)) | |||
특성 | 성(남성 · 시스섹시즘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모발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체제화 · 흑인) · 자폐 · 장애(혐오 · 청각) | |||
차별 관련 사상 | 대한족주의 · 동화주의**(마스킹 · 일코 · 커버링) · 반젠더주의 · 반지성주의 · 백호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부미푸트라 정책 · 인종 분리주의(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족벌주의 · 푈키셔 내셔널리즘 · 혈통주의(한 방울 원칙 · [혈통적] 한민족주의) | |||
대책 | 다문화주의 · 다양성(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비만 수용 운동) · 민권 운동(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 |||
관련 주제 |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모범적 소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스테레오타입 · 싫어할 권리 · 억압 · 역차별 · 우요쿠단타이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단체 · 증오 발언(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마름)) · TERF의 섬 | |||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또한 ethnic Korean (한민족) 뿐 아니라 비한민족 계열 대한민국/북한 국적자도 넓은 의미의 Korean에 포함된다. | }}}}}}}}} |
1. 개요
模範的 少數 / model minority(주로 다수자의 관점에서) 특정 사회나 국가 내 소수자 중에서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성공을 달성하며 동시에 동화적 성격을 띄는 경우를 가리키는 표현이다.
그 사회의 주류를 이루는 어떤 그룹에서 나온 일부 강경 우파가 자국에서 궁핍하게 살아가는 소수자 그룹[1]의 사회적 차별에 대한 불만과 요구를 깎아내릴때 일부 성공한 소수자 사례를[2] 들먹이면서 "니들은 왜 쟤들처럼 못하냐"라는 식으로 많이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은 이것 역시 모범적 소수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차별 용도로도 사용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백인 주류사회에서 아시아계는 높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경우가 많지만 그들 가운데서도 경제적으로 어렵고 소수자로써 차별받는 아시아계들이 엄연히 존재하는데 이에 불만을 품으면 일부 강경 우파들이 "왜 너는 다른 아시아계만큼 못하냐"고 면박지르는 식이다.
다만 평균적으로 검증된[3] 일반적 특성이라면 그러한 특성을 보여주는 데이터 자체가 틀리거나 나쁜 게 되는 것이 아니며 이를 다른 소수자나 취약계층과 비교하며 악의적인 비하를 하려는 목적, 예외의 케이스를 무시하거나 묵살하기 위한 목적[4] 인종을 기반으로 조롱하려는 목적 등의 '악용'이 문제다.
2. 사용되는 형태
미국/이스라엘[5]/네덜란드[6]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으로 대개 강경 우파들[7]이 종종 사용한다.강경 우파들이 모범적 소수 드립을 치지만 정작 사회적 소수자에게 실제로 존재하는 불리함에 대해서는 대개 얼버무린다.[반론][9]
일종의 존경성 정치 혹은 디바이드 앤 룰의 일환인데 해당 단어가 사용될 때는 소수자 중에서 성공한 사람이나 집단을 부각하여 "왜 당신들은 노력을 하지 않고 불만질이냐?" 또는 "당신은 왜 주류/다수자 사회에 순응하며 살지 않냐!"는 식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많은 경우 다른 문화와 양식을 가진 소수 집단에게 "주류 사회에 순응하라"는 동화주의적인 태도를 보일 때도 많이 사용된다.
서구 사회에서는 온건 무슬림들이 이슬람 공포증에 따른 차별을 피하기 위해 절박하게 노력하다가 오히려 이슬람주의(민주주의를 이용해 이슬람 신정 국가를 건설하려는 현대 정치 사상) 선교사들과 사회 정의 이론을 맹신하는 시민 단체의 협공을 받는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
반면 성공적으로 동화된 모범적 소수의 대표적인 예로 동남아시아의 화교/화인이 있다. 물론 일부 국가에서는 이들에게 반발하거나 혐오하는 시선도 존재하며 처음부터 지배자의 형태로 정착한 화교/화인들도 있으나 이민자, 즉 소수자의 형태로 출발했고 자수성가를 이룩한 케이스도 많다.
태국 화교/화인들은 이들 중에서도 가장 모범적 소수에 부합하는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10] 이들은 거시적 관점의 역사에서 근대시대 전후 모두 성공적인 동화과정을 거쳤으며 미얀마와 중국 왕조들과의 전쟁에 있어서도 이들이 앞장서서 전투, 정치, 외교 등에 참여하면서 주권을 지켜내고, 다른 타이족들과 함께 국가의 근대화와 산업화의 역군으로서 기능한 역사도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태국에서는 중국계 태국인에 대해서 큰 거부감이 없으며 오히려 태국 사회를 장악하고 있는 모든 거대기업들은 중국인 CEO와 이사들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11][12]
가장 결정적으로 태국 왕실의 혈통에도 화교 혈통(주로 왕비들의 혈통)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의 민족관이나 정체성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중국계 태국인 본인들조차도 자신들의 혈통이 중국계라는 것 외에는 중국에 대해서 큰 관심이 없으며 오히려 점차 확대되는 중국의 경제적-정치적 영향력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대부분 모범적 소수라는 개념을 싫어한다. 모범적 소수 인식이 확산되면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나 히스패닉과 다르게 인종 차별을 받지 않고 미국 사회에서 대우받는다는 인식이 생겨버려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행해지는 인종 차별적 행태가 감추어지거나 축소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시아계 미국인들을 비하하는 인종 차별 발언 중 하나가 '바나나'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13]
3. 같이 보기
[1] 백인 다수 국가의 경우 상대적으로 하류층에 았는 흑인 등[2] 백인 다수 국가의 경우 유대계와 아시아계 등.[3] 신뢰성 높은 통계, 사회적 양상 등[4] 반대로 예외의 케이스로 일반적 케이스를 묵살하거나 무시하는 것도 논리적 오류에 해당하며 윤리적으로도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5] 주로 아랍 기독교도와 팔레스타인 무슬림 간의 유대 관계를 약화시킬 목적으로 이용한다. 주 비교 대상은 하이파의 아랍 기독교인과 가자 지구의 무슬림으로 가자 지구 문서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출발선 자체가 다르다.[6]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과 아랍계 네덜란드인 비교. 여기서 말하는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은 일반 인도네시아인 이민자가 아닌 식민지배 시절 친네덜란드파였다가 독립 후 네덜란드로 피난 온 경우로 주로 인도네시아 내 네덜란드인 식민 관료와 인도네시아 현지인 여성 사이의 혼혈을 의미한다.[7] 여기에서 말하는 강경 우파의 범주에는 일반적인 강경 우파뿐 아니라 대안 우파 등도 포함된다.[반론] 신체적 장애와 같은 극복이 거의 불가능한 선천적 패널티를 가진 사람이라면 해당될 수 있는 말이지만 그 외의 소수자들의 불리함은 상대적이거나 협의(때로는 분쟁)를 통해 해결 할 수 있는 점들이 존재하기도 한다.(상당히 긴 시간과 큰 희생이 소요되지만 말이다.) 이것을 극복해서 상당한 영향력을 확보한 소수 엘리트 집단이라면 결과적으로 사회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는 점도 부정할 수 없다.[9] 특히 외국계 국민의 경우도 그러하다. 로마에 가면 로마의 법을 따라야 함은 비로마계 국민이나 외국인들 또한 당연히 그 나라의 법과 문화를 존중해야 하며 이곳에서 정착하기 위해선 동화가 필요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것이 강요여서는 안 되지만 그 나라의 국민이나 주류 일원으로서 인정받고 싶다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자세와 역량이다. 우파들은 자신의 국가에서 주류인 민족이 타국에서 주류를 꿰차다 못해 최상위 계층을 독점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목격했으며 자신들도 해외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고 싶을 경우 그 나라의 문화와 법률을 존중하고 동화되는 과정이 예외없이 요구될 것이라는 전제를 깔아놓기 때문에 그리 비합리적이거나, 이기적이거나, 내로남불적인 발상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10] 중국계 3세~4세 이상 한정[11] 물론 이들의 권력구조에 불만을 품는 사람들은 있고, 정경유착과 부패사례 또한 적지는 않지만, 이들을 인종적/역사적 배경으로 비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러한 권력구조에 비판적인 화교/화인들도 많고, 그러한 권력구조의 특혜를 받지 않거나 받아본 적 없는 취약계층도 많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12] 근대시대 타이 민족주의의 역사를 참고해 보면, 과거 중국계들이 탄압 당하거나 불이익을 본 역사도 많았으며, 중국계들 사이에서도 본인이 중국계임에도 타이족 중심의 민족주의 강화를 주장하는 중국계와 이를 거부하는 중국계들이 서로 대립하는 역사가 있었다는것을 알 수 있다. 모범적 소수와 이를 거부하는 소수(주로 이민 0세대~1세대이거나, 중공의 영향을 받은 공산-사회주의자들)의 대립양상 이라고 볼 수도 있는데 당연히 주류민족의 편에 선 전자가 더 큰 영향력을 쥐고 승리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역사가 있기 때문에 중국계를 외부인 취급하지 않고 당연한 일원으로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단, 태국과 동화되기를 거부하는 중국계 혹은 중국인 이민자들은 얄짤없이 비판/비난당하기 쉽다.[13] 껍질은 노란색인데 속살은 하얀색인 바나나처럼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겉모습만 황인이고 사실상 백인이랑 다를 게 없다는 의미. 당연히 인종 차별적 슬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