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20:29:55

무계 전투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日]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日]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무계 전투
茂溪 戰鬪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1592년 (선조 25년) 7월 14일
(음력 1592년 6월 6일)
장소

무계진
원인 일본에게 점령된 낙동강 보급로 공격
교전국 <rowcolor=black> 일본
(공세)
조선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모리 데루모토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무라카미 카게치카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김면
파일:조선 어기.svg 정인홍
파일:조선 어기.svg 손인갑
파일:조선 어기.svg 이득춘
병력 일본군: 30,000명 ↓ 조선군: 약 300명[1]
피해 전사자: 130여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일본군의 승리
영향 * 무계진 함락, 낙동강 보급로 일시 차단
* 지휘관 무라카미 카게치카 부상
* 일본군의 성주성 후퇴

1. 개요2. 전개

[clearfix]

1. 개요

1592년 7월 14일[2] 현재의 고령군 성산면 무계리에서 열린 경상좌도 지역 조선 관군, 의병과 모리 데루모토의 부장인 무라카미 카게치카가 이끄는 일본 제7군 사이에서 일어난 전투이다.

2. 전개

모리 데루모토의 경상도 침공군인 제7군은 낙동강을 이용해 식량을 보급하려 했고, 무계는 그 요충지였다. 모리는 자신의 부장 무라카미로 하여금 이곳을 점령하게 했다. 멀지 않은 합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김면거창으로 옮기면서 전 첨사였던 손인갑에게 정인홍과 함께 무계를 치게 한다.

7월 14일(음력 6월 6일) 새벽에 김면, 손인갑과 정인홍 의병은 무계에 있는 보루를 제거하기 위해 야습을 강행했고, 경계거 소홀한 틈을 타 기습했다. 손인갑은 정예명 50명과 보루을 포위한 뒤 잡입했으나, 일본군 정찰병이 발견해 백병전으로 전투의 형세가 바뀌었다. 그러나 자다가 깨어난 병사들을 갑옷도 채 갖추지 못했고, 손인갑의 의병은 30명을 사살한 뒤 불을 질렀으니, 부상당한 무라카미를 비롯한 일본군은 제대로 대처하지도 못했다. 날이 밝자, 불이 진화되었고, 조총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조선군은 물러나야만 했다. 그러나 조선군은 이번 전투에서 100여명을 사살해서 성과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이후에도 3달에 걸쳐 또다른 의병장 김준민은 성의 시설들을 불을 질렀고, 이외에도 크고 작은 의병들의 공격에, 결국 일본군은 무계진을 버리고 성주성으로 철수한다.


[1] 8천명 이상 정도의 후방 병력(김면의 5천 의병+정인홍의 3천 의병).[2] 현충일은 양력 6월 6일이고, 무계 전투는 음력 6월 6일이라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