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20:57:00

한강 전투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한강 전투
漢江 戰鬪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1592년 (선조 25년) 6월 11일
(1592년 음력 5월 2일)
장소

조선 경기도 제천정 일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일대와 한강변 일원)
원인 왜군의 경상도와 한양 진공
교전국 일본
(공세)
<rowcolor=black> 조선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고니시 유키나가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김명원
파일:조선 어기.svg 이양원
병력 일본군: 1,000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일본의 승리
영향 한양 함락

1. 개요2. 배경3. 전개4. 결과

[clearfix]

1. 개요

임진왜란 초기 일어난 전투이다.

2. 배경

일본군의 1군은 동래에서 출발해 상주를 거쳐 충주를 함락시킨 이후 병력을 두 갈래로 나누었다. 한 길은 여주에서 강을 건너 양근을 경유해 용진을 거쳐 동대문으로 향했고 다른 한 길은 죽산과 용인을 거쳐 한강으로 나아갔다.

조선 조정은 이런 초유의 사태에 우선 왕가를 파천하면서도 우선 한양을 지키기 위해 이양원을 수성대장으로 삼아 서울도성을 축성하고 지키게 하였으며, 김명원을 도원수, 신각을 부원수로 삼아 한강을 수비케하였다. 한강전투를 웹툰으로 표현한 작품이 있다.

3. 전개

전투 기록은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모두에 등록되어 있다. 우선 선조 수정 실록에서는 김명원이 제천정에 주둔하였는데, 적이 쏜 포환이 정자에 떨어지자 겁을 먹고 도주(...)했다고 하며 도성을 지키던 이양원도 도주했다고 한다.

선조실록에서는 적의 기병 두명이 헤엄쳐 도강하는 시늉을 하자 장수들이 겁을 먹고 말에 안장을 얹어 도주(...)했다고 하며 이양원과 도원수 김명원, 신각도 모두 도주하여 한성은 텅 비었다고 한다.

4. 결과

도성을 지키기 위한 한강 방어선이 돌파되었다. 처음 일본군은 한성에 이르렀을 때 성문이 열려있고, 성을 지키는 이가 아무도 없자 복병이 있음을 의심했으나, 병사 몇명을 넣어서 확인해보자 아무도 없음이 확인되어 그제야 성문 안으로 들어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