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임진왜란 당시의 '영천 전투'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6.25 전쟁 당시의 '영천 전투', rd1=영천·신녕전투)]
상위 문서: 영천시
1. 개요
본 문서는 영천에서 일어난 전투를 다룬다.2. 영천읍성 전투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전투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2년 |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
5월 |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 |||
6월 |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 |||
7월 |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 |||
8월 |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 |||
9월 |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 |||
10월 | 제1차 진주성 전투[朝] | |||
12월 |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 |||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3년 | 1월 |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 ||
2월 |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 |||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 ||||
1593년 | 6월 |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
1594년 | 3월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
7월 | 거제도 진공작전[朝] | |||
1597년 | 2월 | 부산 진공작전[朝] | ||
3월 | 기문포 해전[朝] | |||
6월 | 가덕도 해전[朝] | |||
7월 | 칠천량 해전[日] | |||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7년 | 8월 |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 ||
9월 |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 |||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7년 | 11월 | 제2차 석주관 전투[日] | ||
12월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 |||
1598년 | 7월 | 절이도 해전[朝明] | ||
9월 |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 |||
11월 |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 |||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colcolor=#373a3c> 영천복성 전투 | ||
시기 | 1592년 7월 26일~28일 (음력) | |
장소 | 조선 경상도 영천군 읍성 (현 경상북도 영천시 성내동) | |
원인 | 일본군의 전라도 진공 | |
교전국 | 조선 | 일본 |
지휘관 | 의병장 정대임(鄭大任)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박진(朴晉) 영천 군수 김윤국(金潤國) 하양 군수 조윤신(曺胤申) 신녕 현감 한척(韓倜) 경주 판관 박의장(朴毅長) 의병장 권응수 의병장 권응전(權應銓)[1] 의병장 권응평(權應平)[2] 의병장 정세아(鄭世雅)[3] 의병장 조성(曺誠) 의병장 신해(申海) 의병장 홍천뢰(洪天賚) 의병장 최문병(崔文炳) 의병장 정담(鄭湛) 의병장 최대기(崔大期) | 불명 |
병력 | 3500명~4000명 추정 | 약 1000명 |
피해 | 전사자 80명, 부상자 230명 | 900명 이상 사상, 수십명 도주[4] |
결과 | 조선의 승리 | |
영향 | 일본군 보급로 교란 및 차단 경상좌도 및 동해안 영향력 회복과 안전 확보 |
임진왜란 당시 벌어진 영천성 탈환전. 조선 관군-의병 연합군이 공성작전을 성공시켜 일본군을 격파하며 성을 탈환했다. 이는 임진왜란 최초의 공성전 승리라고 한다.
당시 영천성은 원래 관아와 객사, 군기창 같은 것들은 있었어도 읍성은 없었던 곳이나, 일본군이 쳐들어올 조짐이 감지되었던 것인지 1591년에 축성되었다. 하지만 개전 이틀만에 영천부사 김윤국은 대규모의 일본군을 보고 달아나 버리며 영천성은 무혈점거 되고 만다.
7월 14일 영천 의병장 정대임이 박연(朴淵)[5]에서 일본군을 격파했다. 당시 가토 기요마사는 약 1천여명의 병력을 영천에 주둔시켰는데, 이들 일본군은 영천 각지를 약탈하고 다녔다. 이러한 일본군의 약탈로 영천에서 정대임을 중심으로 의병이 결성되었다. 일본군 100여명이 봉고어사(封庫御史)를 사칭하며 한복을 입고 약탈하고 다니자, 영천 의병장 정대임과 정세아 등이 이들을 급습하여 37명을 죽이고 장검과 장창 40자루를 노획하였다.
박연 전투의 승리로 기세가 오른 영천 의병은 영천성 탈환을 계획하며 지방관들과 주위 다른 의병장들을 통고하였다. 이렇게 모인 장수들은 정대임을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권응수를 좌별장(左別將)으로, 김윤국을 우별장(右別將)으로, 신해를 좌총장(左摠將)으로, 최문병을 우총장(右摠將)으로, 홍천뢰를 전봉장(前鋒將)으로, 정담과 정세아를 찬획종사(贊畫從事)로 삼았다. 그리고 병사들로 하여금 영천성 서북문에 미리 가시와 잡초를 쌓고, 사다리를 준비시켰다.
27일 조선의 관군-의병 연합군이 영천성을 공격하였다. 권응수는 조윤신, 박의장, 홍천뢰, 최문병, 신해를 거느리고 서북문을 공격하고, 정대임은 김윤국, 정세아, 이번(李蕃), 정천리(鄭千里)를 거느리고 동남문을 공격한다. 의병들은 미리 쌓아놓은 잡초와 가시에 불을 지르고 성안으로 재와 모래를 뿌렸다. 성안의 일본군은 갑작스러운 공격에 제대로 된 반격울 하지 못하고 궤멸당한다. 이때 일본군 장수 법화(法化)라는 자가 성 아래로 투신하려하자, 정대임이 급히 달려가 그의 목을 베어 버렸다.
한편 김윤국은 영천성 전투의 공로가 모두 자신의 것이라고 박진에 보고하였다. 그리하여 김윤국은 영천성을 버리고 달아난 죄가 사면되었다. 또한 권응수와 한척, 조윤신이 전투의 공로로 승진하였으나, 정대임은 공로를 인정받지 못했는데, 정대임은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