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전투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2년 |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
5월 |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日]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 |||
6월 |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 |||
7월 |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 |||
8월 |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 |||
9월 |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 |||
10월 | 제1차 진주성 전투[朝] | |||
12월 | 길주성 전투[日] · 독성산성 전투[朝] | |||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3년 | 1월 |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 ||
2월 |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 |||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 ||||
1593년 | 6월 |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
1594년 | 3월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
7월 | 거제도 진공작전[朝] | |||
1597년 | 2월 | 부산 진공작전[朝] | ||
3월 | 기문포 해전[朝] | |||
6월 | 가덕도 해전[朝] | |||
7월 | 칠천량 해전[日] | |||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7년 | 8월 |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 ||
9월 |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 |||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7년 | 11월 | 제2차 석주관 전투[日] | ||
12월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 |||
1598년 | 7월 | 절이도 해전[朝明] | ||
9월 |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 |||
11월 |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 |||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웅치 전투 熊峙 戰鬪 | ||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 1592년 (선조 25년) 8월 13일 (1592년 음력 7월 7일) | |
장소 | 조선 전라도 전주부와 진안군 경계 웅치 (現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신촌리) | |
원인 | 일본군의 전라도 진공 | |
교전국 | <rowcolor=black> 일본 (공세) 승 | 조선 (수세) 패 |
주요 인물 | 지휘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안코쿠지 에케이 | 지휘관 정담 (김제군수) † 이복남 (나주판관) 황박 (후군장) 변응정 (해남현감)[1] 이봉 (종사관) 강운 (종사관) † |
병력 | 병력 규모 불명 | 병력 규모 불명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피해 규모 불명[2] |
결과 | 일본의 승리 | |
영향 | 전주성에 대한 위협 증가 |
[clearfix]
1. 배경
일본군은 한성을 함락한 후 임진강 회의를 통해 전쟁이 장기화 될 것에 대비하여 조선을 분할통치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수정하였다. 이에 따라 5월부터 일본군은 호남을 향해 공격을 해오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일본군 제6군의 장수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한성으로부터 출발해 충청도를 지나 경상도를 지난 뒤 전라도 금산[3]으로 공격해 들어왔으며 그의 부장인 안코쿠지 에케이는 창원에서 출발해 정암진을 건너 삼가, 함양을 지나 전라도로 진출하려 했으나 정암진에서 곽재우에게 일격을 당하고 성주 방향으로 우회해 금산에서 고바야카와 다카카케와 합세하는 것을 계획으로 진군을 시작했다.[4]당시 전라도의 군대는 용인 전투에서의 궤주로 이미 많이 소진된 상태였으며 거기에다가 의병장 김천일과 전라 병사 최원이 2만 2천의 병력을 이끌고 북상해 병력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왜군의 공격을 감지한 전라감사 이광은 전라도 방어사 곽영(郭嶸)을 금산에, 조방장 이유의(李由義)와 남원판관 노종령(盧從齡)은 팔량치(八良峙)[5]에, 곤양군수 이계정(李繼鄭)은 육십령(六十嶺)[6]에, 장흥부사 장의현(張義賢)은 부항령(釜項嶺)[7]에, 마지막으로 조방장 김종례(金宗禮)는 동을거지(冬乙巨旨)[8]에 배치해 방어태세를 갖추었다. 6월 17일 무주 경계에 출현한 고바야카와 군은 6월 22일 금산의 제원에 도달해 조선군과 교전을 벌였다. 금산 군수 권종(權悰)[9]은 전사했고 곽영과 김종례는 고산현으로 퇴각해, 6월 23일 금산성이 왜군의 손에 들어갔다.
금산을 점령한 고바야카와의 6군은 진안군과 용담을 함락한 뒤 전주로 향하기 위해 남하했다. 무주군에 왜군이 나타나자 팔량치를 지키던 이유의 노종령, 육십령을 지키던 이계정이 모두 도망쳤다. 여기에 남원부사 윤안성(尹安性)도 남원을 버리고 달아났다. 이광은 노종령을 붙잡아 곤장을 친 후 남원으로 돌려보냈다.
이런 상황에서 용담에서 진안을 거쳐 들어오는 길목에 자리한 웅치고개에는 김제 군수 정담(鄭湛), 동복 현감 황진(黃進), 나주 판관 이복남(李福男), 전 전주 만호 황박(黃珀)이 방어선을 구축했다.
2. 경과
전투 이전에 조선군은 제1방어선인 산 아래에는 의병장 황박을 배치하였고, 제2방어선인 산 중턱에는 나주 판관 이복남을, 최종방어선인 산 정상에 제3방어선에는 정담이 배치되었다.일본군은 7월 7일 새벽 야음을 틈타 조총을 앞세워 공격해왔지만 조선군이 사력을 다해 싸워 막아내었다. 하지만 해가 뜨자 일본군의 본격적인 공세가 시작되었고 1선의 황박군이 밀려났다. 이에 따라 2선의 이복남 군이 나서 맞섰지만 제쳐졌고 산 정상의 정담군과의 혈전이 시작되었다. 정담군은 사력을 다해 맞섰으며 지휘관인 정담이 직접 활을 쏴 적장을 쏘아 맞힐 정도의 혈전이었다. 치열한 육박전이 전개되었고 날이 저물고 일본군의 피해가 막심하자 퇴각했다. 하지만 이내 조선군의 화살이 다 떨어진 것을 알게 되자 재공격해왔고 치열한 전투속에 정담, 강운(姜運), 박형길(朴亨吉) 등이 전사하였다.
3. 결과
조선군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총지휘관이 전사하는 패배를 겪었다. 전투에 참여한 왜군의 규모와 피해상황은 알 수 없으나 고바야카와가 이끄는 본대가 곧이어 벌어진 1차 금산전투에서 6천의 고경명군에게 가볍게 승리하고 웅치 전투 바로 다음날 벌어진 이치 전투에 권율군을 압도하는 병력을 투입한 것을 감안하면 웅치에 투입된 병력이 대군은 아니었을 것이다. 난중잡록에서 앞서 곽재우와 교전한 안코쿠지 군의 진로를 기록하며 현풍의 쌍산역(雙山驛, 현풍 북쪽 15리)을 거쳐 뱃길로 경북 성주로 향한 안고쿠지 군의 배가 18척이었다. 그리고 험한 고갯길을 점거하고도 그런 왜군에게 밀린 조선군은 그보다 더 적었을 것이다.4. 창작물에서의 묘사
4.1. 불멸의 이순신
이치 전투 직전 야간에 벌어진 것으로 묘사했다. 조선군은 지형의 이점을 이용해서 분전했으나 결국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정담이 전사하며 패배한다. 작품 내적으로는 이 패배로 인해 이치를 지키는 권율과 한산도에서의 이순신이 반드시 이겨야 하는 극적 긴장감을 이끌어 낸다.4.2. 한산: 용의 출현
한산도 대첩이 주 플롯인 영화지만, 이 웅치 전투가 사이드 플롯 수준으로 중요하게 등장한다. 영화에서는 코바야카와 군의 목표가 전주성이 아닌 이순신의 전라좌수영 본영으로 나오며[10], 조선군은 항왜인 준사가 제공한 정보 덕분에 급히 방어를 구축하고 교전을 펼친 것으로 각색되었다. 본래 지휘관은 정담이었지만 영화상에서는 황박이 주로 지휘하는 것으로 나왔고[11] 패배했던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승리에 가깝게 묘사가 되었다. 다만 황진의 의병이 구원에 나서는 모양새로 보아 웅치 전투의 후속전인 안덕원 전투까지 함께 다룬 것 같은데, 실제로 안덕원 전투의 여파로 일본군이 후퇴했음으로 둘을 합쳐서 생각한다면 역사에 들어 맞는다.가장 큰 오류는 황박이 영화에선 중년으로 나오는데 실제로는 이치 전투에서 전사했을 때 그의 나이가 29세였다. 다만 조선시대에 29세는 그렇게 보일 수 있었다는 반론이 있다. 조선시대의 남자 평균 수명이 60세가 안되었고, 보통 20세 이전에 결혼을 해서 40대 초중반에 할아버지가 되었던 시대였다. 그러니 29세면 그 당시에는 노년은 아니었어도, 분명 '중년'의 나이이긴 했다.
[1] 류성룡의 징비록이나 송시열의 송자대전에서는 웅치 전투에서 전사했다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제2차 금산 전투가 끝난 이후 금산에서 싸우다 전사한다.[2] 전투가 종료된 뒤 언덕이 조선군의 시체로 덮였다고 한다[3] 조선시대 이래 금산은 계속 전라도였으며 금산이 충남에 속하게 된 건 박정희 정권기 때 와서의 일이었다.[4] 곽재우는 성주까지 안고쿠지 군을 추격해 교전을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수급 몇급만 얻고 퇴각해야 했다.[5] 전라북도 남원시와 경상남도 함양군 사이에 있는 높이 513m의 고개.[6] 전라북도 장수군과 경상남도 함양군 사이에 있는 높이 734m의 고개.[7]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높이 680m의 고개.[8] 위치 미상.[9] 권율의 사촌형이다.[10] 전주성으로 가려고 했으나 와키자카가 전라도 정벌의 공을 모두 주겠다고 설득해 전주성 대신 좌수영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나온다.[11] 감독판인 한산 리덕스에서는 정담이 지휘관으로 나오긴 한다. 하지만 준사의 말을 토대로 웅치 전투를 준비하는 모습과 웅치 전투에서 이미 전사한 뒤의 모습 정도만 나올 정도로 비중이 너무 적어서 극장판에선 통편집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