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2 12:47:09

우척현 전투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여주 전투[朝]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朝] · 율포 해전[朝] · 여주 전투[朝]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독성산성 전투[朝]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강화협상 · 휴전기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송유진의 난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장문포 해전[朝] · 이몽학의 난 · 기문포 해전[朝]
정유재란 1597년
7월
칠천량 해전[日]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석주관 전투[日]
12월
사로병진책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日]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임진왜란 조선 육군의 주요 승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0ad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전투 해유령 전투
(1592. 5. 16.)
정암진 전투
(1592. 5. 24.)
이치 전투
(1592. 7. 8.)
우척현 전투
(1592. 7. 10.)
주장 신각 곽재우* 권율 김면*
전투 청주 전투
(1592. 8. 1.)
북관 대첩
(1592. 9. 16. ~ )
진주 대첩
(1592. 10. 6.)
행주 대첩
(1593. 2. 12.)
주장 영규* 정문부* 김시민 권율
* 의병장 }}}}}}}}}}}}}}}

우척현 전투
牛脊峴戰鬪
시기 1592년 8월 16일 (음력 7월 10일)
장소 경상도 거창 우척현
원인 왜군의 전라도 진공
교전국 조선 파일:조선 어기.svg 일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Goshichi_no_kiri_inverted.svg.png
지휘관 김면
정인홍
황응남
이형†
변희황
변청
변혼
이홍우
장응린†
장응사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병력 의병 2000명 별군 1500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일본군의 패배
영향 일본군의 전라도 진출 좌절

1. 배경2. 전개3. 결과

[clearfix]

1. 배경

고바야카와 다카카케는 임진왜란 당시 제 6군의 사령관을 맡아 전라도를 함락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에 고바야카와 다카카케는 병력을 나누어 본인은 이치로, 부하 안코쿠지 에케이는 웅치로, 그리고 별군은 거창을 지나 지례로 진군케 하였다. 하지만 먼저 웅치에서는 조선군을 격파했으나 전주성 인근 안덕원에서 조선군에게 패퇴했고 그 다음 이치에서 고바야카와의 본진도 분전과 더불어 포위될지 모르는 사실에 후퇴하며 패했으며 전라도 함락에 큰 차질이 생기고 말았다. 하지만 지례로 진군하던 병력이 남아있었기에 김성일은 급히 김면에게 연락을 넣어 일본군을 막을 것을 명했다.

김면은 4,5일 동안 병력 2000을 모았고 김성일 역시 황응남과 이형을 포함한 관군을 보내어 이들을 지원했다. 김면은 병력 2천을 인근 요소마다 배치하고 전투를 기다렸다.

2. 전개

일본군은 지례를 공략하고 거창으로 향하던 중 공격을 받자 금산방면으로 퇴각했다. 그러고는 금산에서 거창으로 가는 방면인 우척현으로 향하다 김면군이 다시 기습하자 크게 놀라 패주하였다. 이 때에 황응남의 용맹이 으뜸이었다고 하며 이형은 산척을 이끌고 돌격하다 전사했다.

3. 결과

이 이후 김면은 거창에 병력을 매복시켜 적의 동태를 살피자 적이 더이상 진군하지 못했다. 이 이후 일본군은 더 이상 전라도로 진군하지 못했고 김면은 이후 병력을 이끌고 정암진으로 향해 곽재우와 적을 막았다.
  • 참고문헌
    송암 김면의 의병활동(최효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