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0:14:45

무안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무안국제공항에 착공 예정인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무안공항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안역
함 평
← 7.6 ㎞
역명 표기
호남선 무안
Muan
務安 / 务安 / [ruby(務安, ruby=ムアン)]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우명길 16-32 (사창리)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목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호남선 1938년 5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승강장 구조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무 안
파일:무안역사.png
현 역사(2001년 준공)
파일:무안역_구 역사.png
구 역사(1985년 준공, 2001년 철거)

1. 개요2. 역사3. 승강장4. 일평균 이용객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무안대합실.png
대합실
파일:무안역 스탬프.jpg
무안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양파를 형상화했으며, 무안역이 무배치간이역으로 전환된 지금은 매표소 밖에 스탬프가 비치되어있다.
영산강 나루터의 아련한 추억
1913년 사창역이란 이름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1985년 무안역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동시에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사창역이란 역명은 역사가 위치한 마을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현재에도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에 위치하고 있다. 사창마을은 영산강을 앞에 두고 뒤쪽으로 너른 들이 있어 오랜 옛날부터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곳이었다. 과거 무안역이 아닌 사창역이던 시절, 사창역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인근 학다리에 있는 교량이 너무 멀어 나룻배를 이용하곤 했는데, 영산강 강바람이 심하게 불기라도 하면 승객들이 열차를 놓칠까 애를 태우곤 했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철도역,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우명길 16-32 (사창리 653) 소재.

2. 역사

1938년 개업했으며 원래 역명은 사창리에 있다고 해서 사창역(社倉驛)이었다. 1985년 8월 12일에 무안역으로 개명되었다.

호남선 복선 전철화로 인해 2001년에 역이 한 번 이전되었다.

직선거리상 무안읍 중심지와 가장 가까운 역이긴 하지만, 4km 이상 떨어진 몽탄면과의 경계지점에 있어 여객 수요는 적다. 무안읍에 가깝게 호남선을 보내자니 드리프트가 심해지기 때문에 선로가 무안읍을 지나지 않게 됐고, 대신 그나마 가까운 이 역에 무안의 이름을 준 것. 역 위치도 몽탄면과 무안읍을 직접 잇는 몽탄로와 700m 가량 떨어져 있는데, 이런 탓에 역 앞으로 버스도 지나가지 않는다.[1] '○○역 우측 50m' 같은 그 흔한 철도공사 표지판조차 없을 정도. 애초에 읍내에서 몽탄 방면 교통량도 적어서 심리적 거리도 멀다.

이렇게 애매한 접근성 때문에 무안역은 무안읍과 몽탄면 양쪽에서 외면받는 역이다. 몽탄면에서는 열차 정차 횟수가 비슷한 데다 면소재지에 가깝고 대중교통도 편리한 몽탄역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무안읍에서는 거리는 비슷한데 차량 접근성이 뛰어나고 정차하는 열차 수도 더 많은 데다 서울 방향으로 더 가까운 함평역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사실상 무안읍에서 목포를 오가는 단거리 승객이 아니면 이 역을 이용할 이유가 거의 없는 셈.

이러다보니 이용객도 적다. 2009년에는 한 해 1만 5,000명 정도만 이 역을 이용했는데, 수도권은 고사하고 어지간한 지방 지하철에서도 하루에 1만 5,000명이 넘게 이용하는 역이 많은 점을 고려하면 확실히 수요가 적다. 그나마 옆동네 함평역은 읍내하고 멀리 떨어졌어도 나비축제 버프로 많이 이용하는데[2] 여기는 그런 것도 없어 일로역에게 제어를 받는 신세가 돼버렸다.

호남선 경유 일부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있다. 하지만 경전선 경유 무궁화호는 필수정차한다. 호남선 목포착발 주말 새마을호가 있던 시절에는 취급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옛 이야기.

2014년 1월 24일에 열차운전시행세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으로 지정되었다.

2021년 1월 1일부터 서광주역, 능주역, 몽탄역과 함께 평일 9시에서 18시까지만 직원이 근무하고 18시에서 다음날 9시, 토·일·공휴일에는 직원이 근무하지 않으므로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경우 코레일톡으로 표를 구입하거나 열차에 탑승 후 발권해야 한다.

역 근처에 옥만호 전 공군 대장이 사재를 털어 만든 호담 항공우주전시관이 있었다. 현재는 기존 전투기 모형에 추가로 전차 모형과 훈련장까지 비치해 놓은 밀리터리 테마파크로 증축되었다. 때문에 체험학습으로 초등학생과 유치원생이 자주 이용한다.

3. 승강장

파일:무안승강장.png
승강장
파일:무안역명판.png
역명판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지하도를 통해 대합실과 연결된다.
함평
1 2 3 4
몽탄
1·2 호남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주·서대전·용산 방면
경전선 광주송정·진주·부전 방면
3·4 호남선·경전선 몽탄·일로·목포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35명
2005년 38명
2006년 50명
2007년 69명
2008년 61명
2009년 45명
2010년 51명
2011년 60명
2012년 59명
2013년 59명
2014년 57명
2015년 53명
2016년 40명
2017년 32명
2018년 31명
2019년 31명
2020년 17명
2021년 19명
2022년 22명
2023년 21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둘러보기

호남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여객영업 X
}}}}}}}}}

파일:무안군 CI.svg 무안군 교통체계
<colbgcolor=#f36717> 항공 무안국제공항
철도 호남고속철도 무안공항역
호남선 무안역, 몽탄역, 일로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5.svg서해안고속도로(일로IC2, 무안IC3), 파일:Expressway_kor_12.svg무안광주고속도로(무안공항IC1, 북무안IC2)
국도 1번 국도, 2번 국도, 24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49번 지방도, 60번 지방도, 805번 지방도, 811번 지방도, 81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무안군 농어촌버스, 무안버스터미널
전라남도의 교통



[1] 2004년 10월부터 몽탄로를 경유하는 목포 버스 800번이 잠깐 노선에서 빠져나와 역 앞에서 돌아나가는 방식으로 경유한 적이 있다.# 하지만 10여년이 지난 2015년 2월 개편에 따라 더이상 무안역 앞을 경유하지 않는다.[2] 학교역 시절에는 함평읍내보다 더 멀었지만 하위 등급 열차는 필수 정차할 정도로 원래 이용객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