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이양 - |
능주역 | ||
부전 방면이 양 ← 12.2 ㎞ | 경전선 무궁화호 | 목포 방면 |
화 순 8.9 ㎞ → | ||
부산 방면명 봉 ← 25.0 ㎞ | 남도해양열차 | |
광주송정 방면 | ||
역명 표기 | ||
경전선 | 능주 Neungju 綾州 / 绫州 / [ruby(綾州, ruby=ヌンジュ)] | |
주소 |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896-10 (舊 관영리 230-11) | ||
관리역 등급 | ||
배치간이역 (3급) (광주송정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본부) | ||
운영 기관 | ||
경전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광려선 | 1930년 12월 25일 ~1936년 12월 15일 | |
경전서부선 | 1936년 12월 16일[1] ~1968년 2월 6일 | |
경전선 | 1968년 2월 7일[2]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남도해양열차 | 2021년 1월 5일 | |
철도거리표 | ||
삼랑진 방면이 양 ← 12.2 ㎞ | 경전선 능 주 | 광주송정 방면화 순 8.9 ㎞ → |
현 역사 (1957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nopad> |
능주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영벽정과 경전선 무궁화호를 형상화했으며, 지름이 약 2.7cm로 오송역 스탬프와 함께 가장 작은 크기의 스탬프이다. 역무원이 근무하는 평일 9시 ~ 18시에 날인 가능하다. |
1949년 10월 여순사건으로 역사 소실,
영벽정과 경전선 어우러지는 풍광 ‘일품’
능주역은 1930년 12월 경전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49년 10월 여순사건으로 역사가 소실되어 1957년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역사는 20㎡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116.76 ㎡ 규모의 부럭조 기와 단층 역사로 화물홈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어 자갈 화물을 취급하였다. 면소재지의 역사로 사라진 만수역, 석정리역을 관리하기도 하였다. 특히 역사 주변의 풍경이 빼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경전선 철도 바로 옆, 조선시대에 세워진 누각으로 추정되는 영벽정에서는 철길과 연주산, 그리고 지석천이 한데 어우러져 오래전부터 많은 시인묵객들이 오갔으며 경전선의 가장 아름다운 풍광이자 능주팔경의 하나로 사랑받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전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896-10 (관영리) 소재.영벽정과 경전선 어우러지는 풍광 ‘일품’
능주역은 1930년 12월 경전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49년 10월 여순사건으로 역사가 소실되어 1957년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역사는 20㎡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116.76 ㎡ 규모의 부럭조 기와 단층 역사로 화물홈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어 자갈 화물을 취급하였다. 면소재지의 역사로 사라진 만수역, 석정리역을 관리하기도 하였다. 특히 역사 주변의 풍경이 빼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경전선 철도 바로 옆, 조선시대에 세워진 누각으로 추정되는 영벽정에서는 철길과 연주산, 그리고 지석천이 한데 어우러져 오래전부터 많은 시인묵객들이 오갔으며 경전선의 가장 아름다운 풍광이자 능주팔경의 하나로 사랑받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능주역 대합실 |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1일 8회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이 역은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역장 혼자서 근무한다.
2021년 1월 1일부터 몽탄역, 무안역, 서광주역과 함께 평일 9시에서 18시까지만 직원이 근무하고 18시에서 다음날 9시, 토.일.공휴일에는 직원이 근무하지 않으므로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경우 역에서 매표할 수 없다. 따라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코레일톡)이나 인터넷 렛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표를 구입해야 한다.
손현주의 간이역 세 번째 촬영지로, 2021년 3월 27일(5화), 4월 4일(6화) 방송되었다. 그리고 방송 내용상 본 촬영 기간 1박 2일 동안에는 코레일의 협조를 얻어 역 매표 업무를 임시 부활시켰다.
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명승고적으로 '영벽정'이라는 정자(누각)가 있다. 서부경전선 철로가 영벽정 바로 옆을 지나 지석천을 건너기 때문에 철도 사진과 주변 풍경이 잘 어울리는 촬영 포인트이고, 지나가는 열차와 함께 찍는다면 풍경은 더욱이 압권이다.
2030년 말 경전선 순천~광주송정 구간 개량이 완료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드라마 모범택시 2 3~4화의 촬영지로 나왔다. 능주역은 '농주역'으로, 화순역과 이양역은 '화준'과 '이향'으로 덮어씌워졌다.
3. 승강장
승강장 |
역명판[4]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선로가 더 있으나 여객열차가 사용하는 선로는 승강장과 붙어있는 2개 선로 뿐이다.
승강장이나 대합실에 타는 곳 번호 표기가 없다.
↑ 화순 | |||||
ㅣ | ㅣ | ㅣ | 1 | ㅣ | ㅣ |
이양 ↓ |
1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남도해양열차 ]] | 부전·광주송정·목포 방면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17명 | |
2005년 | 17명 | |
2006년 | 18명 | |
2007년 | 26명 | |
2008년 | 30명 | |
2009년 | 28명 | |
2010년 | 24명 | |
2011년 | 22명 | |
2012년 | 25명 | |
2013년 | 22명 | |
2014년 | 25명 | |
2015년 | 22명 | |
2016년 | 20명 | |
2017년 | 19명 | |
2018년 | 18명 | |
2019년 | 16명 | |
2020년 | 8명 | |
2021년 | 8명 | |
2022년 | 9명 | |
2023년 | 11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능주역 광장에서 지원152번을 탈 수 있게 되어 능주역의 이용률이 급감하였다. 심지어 지원152번의 종점이 광주역이었지만 지금은 전대치과병원으로 종점을 연장했고, 출퇴근 시간대 한정으로만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대에는 도웅리 구간을 운행한다. 설상가상으로 능주면 시가지에서 볼 때 상당히 외진 곳에 있다.
- 그나마 수요가 약간 있을 법한 곳이 바로 능주고등학교. 능주고는 학력 수준이 사실상 자사고급인 곳으로, 전라남도에서 내로라하는 학생들이 몰려있다. 대부분의 외지 학생들은 화순교통을 타고 유스퀘어까지 올라가서 시외버스를 타거나 아예 능주고에서 빌린 전세버스로 이동하지만, 그래도 능주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아예 없지는 않은 모양.
5. 둘러보기
경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낙동강† - - - - - - 용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화† - - - 원창† - 구룡† - - - - - - 광곡† - - - - - - - - - - 남평† - - - - - - - - - | }}}}}}}}} |
화순군 교통체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일반철도 | 화순역, 능주역, 이양역 |
광역철도 | | ||
도로 | 고속도로 | | |
국도 | 15번 · 22번 · 29번 | ||
지방도 | 15번 · 55번 · 58번 · 817번 · 818번 · 822번 · 839번 · 843번 · 887번, 897번 | ||
버스 | 시내버스 | 화순군 농어촌버스 | |
228번 · 지원152번 · 진월177번 | |||
225번(백아면) · 문덕80(사평) · 옥과-송단/이천/온천 · 나주 버스 200 | |||
버스 터미널 | 화순시외버스공용정류장, 능주정류장 | }}}}}}}}} | |
전라남도의 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