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진상 - |
진상역 | ||
부전 방면하 동 ← 6.8 ㎞ | 경전선 무궁화호 | 목포 방면 광 양 14.3 ㎞ → |
역명 표기 | ||
경전선 | 진상 Jinsang 津上 / [ruby(津上, ruby=チンサン)] | |
주소 | ||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옥진로 1112 (섬거리 309-1)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광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전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전선 | 1968년 2월 8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철도거리표 | ||
삼랑진 방면하 동 ← 6.8 ㎞ | 경전선 진 상 | 광주송정 방면광 양 14.3 ㎞ → |
진상역 시설반 사무실 |
현 역사 (2016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2016년 경전선 복선화 공사로 역사 이전
진상역은 1968년 2월 7일 옥곡역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전라남도 최동단 역사로, 같은 해 3월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 역사는 25㎡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122.8㎡ 규모의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상옥에 하치장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다. 1984년에 이르러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인근 화엄사와 천은사, 사성암 등 지리산 일대의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여전한 사랑을 받기도 하였다. 2004년부터 무인역으로 전환된 후 2016년 7월 경전선 진구-광양 간 복선화 공사로 현재의 자리에서 새롭고 현대적인 모습으로 재탄생되었다. 옛 역사는 2009년부터 민간에게 임대되어 식당으로 운영 중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전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옥진로 1112 (섬거리) 소재.진상역은 1968년 2월 7일 옥곡역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전라남도 최동단 역사로, 같은 해 3월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 역사는 25㎡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122.8㎡ 규모의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상옥에 하치장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다. 1984년에 이르러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인근 화엄사와 천은사, 사성암 등 지리산 일대의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여전한 사랑을 받기도 하였다. 2004년부터 무인역으로 전환된 후 2016년 7월 경전선 진구-광양 간 복선화 공사로 현재의 자리에서 새롭고 현대적인 모습으로 재탄생되었다. 옛 역사는 2009년부터 민간에게 임대되어 식당으로 운영 중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전라남도의 최동단 역이자, 삼랑진 방향으로 전라남도의 마지막 역이다. 이 다음 역인 하동역부터는 경상남도에 속하며, 이 역과 하동역 사이에 섬진강철교가 있다. 즉 열차가 섬진강을 건너는 것. 그룹역 분류도 이 역까지가 전남본부 광양역 산하에 속해 있으며 이 역에서 섬진강을 건너면서부터 부산경남본부 구간이다.1968년 2월 7일 경전선 단선철도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6년 7월 14일에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의 복선화로 인한 선로이설로 인하여 100m 옆에 신역사로 이전하였다.[1]
1일 8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대부분 순천역과 부전역을 잇는 동부경전선 무궁화호이며, 목포역-부전역간 운행 편성이 1왕복 존재한다. 무인역이기 때문에 기차를 탈려면 미리 코레일톡 앱을 통해 발권하거나 열차 탑승 후 승무원에게 차내발권을 해야 한다. 단, 차내 발권은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주의.
시설반 사무실 건물 안쪽에 진상역 역명판이 설치되어있다.
2.1. 구 역사
현재도 식당으로 영업중인 구역사
옛날 소화물 취급을 한 적이 있어 소화물 승강장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다. 하지만 2004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외측 선로가 철거되어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 되었다. 2009년부터 이 역의 역사를 아예 임대 내줘서 한우식당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래서 역사에서 고기 먹으면서 선로로 무궁화호가 지나가는 진풍경을 볼 수 있었다.
2011년 3월 25일에 방송된 KBS 열린채널에서 진상역의 한우식당이 소개되었다.
경전선 진주 - 광양 간 선로이설로 인하여 현재는 신역사에서 영업하고 있지만, 구역사에 위치한 한우식당은 계속 영업중이라고 한다. 구역사 뒷편의 선로는 이설 없이 복선전철화만 되어 아직도 식당에서 열차를 볼 수 있다.
3. 역 주변 정보
역 바로 앞에 58번 국가지원지방도(옥진로)가 지난다. 58번 국지도변이라 진상역 역세권에도 뭐가 좀 있는 편이다. 58번 국지도를 타고 남쪽으로 쭉 가면 남해고속도로 옥곡IC가 나온다. 옥곡IC에서 진상역까지는 5.3km 떨어져 있다.역 주변에 진상농협, 진상119지구대, 진상영농한우촌, 한국항만물류고등학교, 진상5일장이 역세권에 들어간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16명 | |
2005년 | 10명 | |
2006년 | 12명 | |
2007년 | 9명 | |
2008년 | 23명 | |
2009년 | 16명 | |
2010년 | 12명 | |
2011년 | 18명 | |
2012년 | 18명 | |
2013년 | 26명 | |
2014년 | 31명 | |
2015년 | 27명 | |
2016년 | 31명 | |
2017년 | 44명 | |
2018년 | 50명 | |
2019년 | 55명 | |
2020년 | 31명 | |
2021년 | 35명 | |
2022년 | 45명 | |
2023년 | 44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연계교통
6.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경춘선의 남춘천역이나 중앙선의 매곡역처럼 향후 경전선 수요증대를 대비하여 대피선 부지가 마련되어 있다.↑ 하동 | |||
1 | ㅣ | ㅣ | 2 |
광양 ↓ |
1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진주·마산·부전 방면 |
2 | 순천·광주송정·목포 방면 |
7. 둘러보기
경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낙동강† - - - - - - 용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화† - - - 원창† - 구룡† - - - - - - 광곡† - - - - - - - - - - 남평†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