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1a1748> | 두산 베어스 2025 시즌 내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군 | ||
3 임종성 · 5 여동건 · 6 오명진 · 10 김민혁 13 이유찬 · 14 박계범 · 16 박준영 · 23 강승호 24 이선우 · 37 박지훈 · 52 박준순 · 53 양석환 107 이민석 · 114 한다현 · 124 김민호 · 125 김준상 | |||
최종 편집: 2025년 1월 20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박준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박준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C 다이노스 등번호 28번 | |||||||||||||||||||||||||||||
변강득 (2015) | → | <colbgcolor=#af917b><colcolor=#00275a> 박준영 (2016~2017) | → | 김시훈 (2018) | ||||||||||||||||||||||||||
NC 다이노스 등번호 13번 | ||||||||||||||||||||||||||||||
손시헌 (2014~2019) | → | 박준영 (2020~2022) | → | 페디 (2023)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69번 | ||||||||||||||||||||||||||||||
전창민 (2022) | → | 박준영 (2023~2023.5.18.) | → | 백승우 (2024)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9번 | ||||||||||||||||||||||||||||||
페르난데스 (2019~2022) | → | 박준영 (2023.5.19.~2024) | → | 전다민 (2025~)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16번 | ||||||||||||||||||||||||||||||
서예일 (2021~2024) | → | 박준영 (2025~) | → | 현역 |
}}} ||
| |||
<colbgcolor=#1a1748><colcolor=#ffffff> 두산 베어스 No.16 | |||
박준영 朴俊泳 | Park Jun-Young | |||
출생 | 1997년 8월 5일 ([age(1997-08-05)]세) |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서울도곡초(남양주리틀) - 잠신중 - 경기고 | ||
신체 | 180cm | 90kg | ||
포지션 | 투수 → 유격수[1], 3루수[2]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16년 1차 지명 (NC)[3] |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16~2022) 두산 베어스 (2023~) | ||
병역 | 사회복무요원 (2018~2020)[4] | ||
연봉 | 2025 / 8,5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등장곡 | 슈프림팀 - 《Supermagic》[5] | ||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 |||
응원가 | 구단 자작곡[가사2][7] | ||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131230> 가족 | 부모님, 여동생 박소영 | |
아내 최민채[8] 아들(2025년 4월 예정)[9] | |||
반려견 먼지 |
|
[clearfix]
1. 개요
두산 베어스 소속 우투우타 내야수.2. 선수 경력
박준영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 박준영(1997)/선수 경력 | |||
| |||
2016년 | 2017년 | 군 복무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 NC 다이노스의 마지막 전국단위 1차 지명자이다. 박준영을 지명하던 당시 NC는 신생팀 지원 정책으로 전국단위의 선수를 뽑을 수 있었다. 박준영을 지명한 다음 해부터 NC 팬들이 소위 '1차지명 잔혹사'로 일컫는 지역팜 한정 1차지명이 시작되었고 2022 신인드래프트까지 해당 체제가 지속되었다.
- 본인이 마무리 투수를 희망했고 거기에 걸맞은 담력과 재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어 감독도 팀의 차기 필승조로 키울 생각을 했었다.# 허나 팔꿈치 문제로 유격수로 전환하게 되면서 재활 기간 중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하는 동안 간간히 3군 경기에 유격수로 출전하고 있다는 소식만 팬들에게 전해졌다. NC 팬들은 향수병 운운하며 뜬금없이 고향과 가까운 곳에서 사회복무요원 근무를 하겠다고 고집해 재활 훈련에 불성실했던 윤호솔보다는 훨씬 낫다며 긍정적으로 보았다.[11]
- 손시헌이 은퇴하면서 현역 시절 등번호였던 13번을 욕심내는 선수들이 많았는데 박준영 본인이 먼저 손시헌에게 13번을 달라고 요청했다. 박준영은 “NC에서 워낙 큰 의미가 있는 번호라 코치님에게 번호를 달라고 부탁했다”며 “13번에 걸맞은 활약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12] 공교롭게 반대인 부분은 꽤 많은데, 박준영은 1차지명을 받아 가장 빠른 순번으로 입단한 반면에, 손시헌은 고등학생 때도 미지명이었는데, 대학교 졸업 후에도 미지명돼 간신히 신고선수로 프로에 입단했다. 입단 당시 포지션은 박준영은 투수였고, 손시헌은 타자로 입단했다. 손시헌은 두산에서 NC로 이적했는데 박준영은 NC에서 두산으로 이적했다.
-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한 박준영의 길을 먼저 밟았던 나성범이 박준영에게 "나도 처음에 많이 힘들었다. 이것저것 고민도 많고, 안 되는 부분이 답답할 것이다. 하지만 하다보면 금세 적응된다. 급하게 생각하지 마라, 투수엔 미련을 갖지 마라"고 조언해 주었다고 한다.# 병역 해결 이후에는 야구장 안팎에서 나성범과 꼭 붙어다니면서 여러가지를 많이 배우려고 노력하는 모습도 보였다.[13] 타자전향 후 첫 해인 2020 시즌부터 퓨처스리그에서 팀의 주전 유격수로 꾸준히 출장기회를 부여받았고, 유격 백업 1순위 김찬형이 부진과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하자 1군에 콜업되어 야수전향 1년차 치고는 꽤 많은 경기에 나섰다. 이후 타격과 수비에서 재능을 보이며 경쟁자들보다 한발 앞서가면서 2021 시즌 주전 3루수 및 유격수로 발돋움했다.
- 아이블랙 모양이 독특해서 팬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는데, 기사에 따르면 팀 동료들의 장난 때문이라고 한다.[14] 당시 야수조에서 막내였기 때문에 자주 장난의 희생자가 되었다. 최근에는 아이블랙을 바르면 멋도 있고 바른 날 팀이 더 많이 이겨서 스스로 바른다고 한다.
- 글러브를 특이하게 낀다. (1-2-1) 방식으로 글러브를 낀다.
- 팬 서비스가 탑급으로 좋다. 매일 경기 시작 전 덕아웃 출근할 때 많은 팬들이 팬서비스를 요청하는데 거절하지 않고 응하는 편.
- 두산 베어스 이적 이후 2023년 1월 16일 열린 두산 베어스 창단기념식에서 양의지가 박준영을 소개할 때 손목 힘을 통해 배트에 파워를 싣는 순장타력이 본인보다 훨씬 뛰어난 선수라고 소개했다. 양의지가 그 간결한 스윙으로 장타와 홈런을 시원하게 날릴 정도의 파워가 있는 선수인데도 본인보다 파워에서 더 뛰어난 선수라며 치켜세워 준 것이다.
- 두산 이적 이후부터는 크리스 테일러가 신는 것으로 유명한 Baseball Stirrup Socks를 착용하고 경기에 나서고 있다.
- 잘생긴 얼굴과 과감한 피칭 스타일로 2016 시즌 초반 차세대 마무리투수로 주목받으면서 한때 나성범과 박민우를 이은 창원 아이돌 3호기가 될 뻔했다. 그러나 부상과 수술, 재활 등의 이유로 오랫동안 1군 무대에서 볼 수 없게 되면서 NC 팬들에게 잊혔다가 소집해제 이후 1군에서 꾸준히 얼굴을 비추면서 다시 자신의 존재감을 어필했다. 점차 창원아이돌이 되기 직전 박세혁의 보상선수로 두산으로 떠나게 되었다.
- 2021 시즌 이래로 1군에서 활약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엔튜브에 자주 출연했다.
- NC 다이노스 갤러리에서는 2021년 하반기부터 박준영이 모창민을 이을 차기 갤주감이라며 밀어주었다.## 일부 NC 팬들은 야망남으로 불렀으며# 주변의 관심이 많을수록 더 잘 하는 것 같다며 인간 많관부 등의 애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15]
- 신인 시절 같은 1997년생인 구창모와[16] 친하다.## 그래서 팬들도 2016 시즌 초반 둘이 덕아웃에서 함께 있는 모습이 중계화면에 자주 잡히자 좌완 구창모를 좌급식, 우완 박준영을 우급식으로 칭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박준영이 수술과 재활, 입대, 공익근무요원 복무 등으로 1군 무대에 오랫동안 모습을 비추지 않았고 둘 다 나이를 먹어 이젠 더 이상 급식도 아니므로 자연스레 이 별명은 소멸. 게다가 박준영이 두산으로 가게 되면서 둘이 붙을 일은 한동안 못 볼 듯하다.
- 보호대에 십자가가 그려져 있고 팔뚝에도 십자가 타투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기독교인으로 추정된다.
- 신인 시절 SNS를 열심히 하는 것으로 팬들에게 알려지면서 당시에는 좋은 인상을 심어주지 못했다.[17][18] 그러나 공익근무요원 소집해제 이후 1군에서 연일 좋은 플레이와 함께 그라운드에서 괜찮은 워크에식을 보여주면서 여론이 반전되었다.[19]
- 두산으로 이적한 이후 구단 인사 사진을 통해 베어스 점퍼와 유니폼을 입은 박준영의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前 두산 선수였던 국해성과 상당히 닮은 모습으로 나와서 많은 두산 팬들이 놀라워하는 반응을 보였다.
- 박세혁의 보상 선수로 두산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는데 어렸을 때 두산의 팬이었다고 한다.
- 2023년 7월 7~9일 '렛두로 시리즈'에서 사용한 등장곡은 나루토의 오프닝곡이기도 한 버즈의 '활주'였다. 처음에는 렛두로 시리즈에서만 사용했는데 8월 20일 NC전부터는 등장곡을 활주로 바꿨다.
- 배우 김무열과 닮았다.
- 상당히 유연한듯하다. 다리를 일자로 찢으며 공을 잡는 모습
5.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1a1748> | 두산 베어스 2025 시즌 선수단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선수 | |||||
| | | | | ||
0 | 1 | 2 | 3 | 4 | ||
공번 | 박치국 Park Chi-Guk 1998.3.10 2017~ | 김민석 Kim Min-Seok 2004.5.9 2025~ | 임종성 Im Jong-Sung 2005.3.3 2024~ | 박지호 Park Ji-Ho 2003.7.2 2024~ | ||
| | | | | ||
5 | 6 | 7 | 8 | 9 | ||
여동건 Yeo Tong-Keon 2005.8.4 2024~ | 오명진 Oh Myeong-Jin 2001.9.4 2020~ | 이교훈 Lee Kyo-Hoon 2000.5.29 2019~ | 케이브 Jake Cave 1992.12.4 2025~ | 전다민 Jeon Da-Min 2001.8.21 2024~ | ||
| | | | | ||
10 | 11 | 12 | 13 | 14 | ||
김민혁 Kim Min-Hyeok 1996.5.3 2015~ | 류현준 Ryu Hyun-Jun 2005.3.25 2024~ | 박정수 Park Jung-Soo 1996.1.29 2021~ | 이유찬 Lee Yu-chan 1998.8.5 2017~ | 박계범 Park Gye-Beom 1996.1.11 2021~ | ||
| | | | | ||
15 | 16 | 17 | 18 | 19 | ||
박성재 Park Seoung-Jae 2002.11.18 2021~ | 박준영 Park Jun-Young 1997.8.5 2023~ | 홍건희 Hong Geon-hui 1992.9.29 2020~2025 | 권휘 Kwon Hwi 2000.12.7 2020~ | 김민규 Kim Min-Gyu 1999.5.7 2018~ | ||
| | | | | ||
20 | 21 | 22 | 23 | 24 | ||
김유성 Kim Yu-Seong 2002.1.1 2023~ | 박철순 Park Cheol-Sun 1954.3.12 1982~1997|영구결번 | 장승현 Jang Seung-Hyun 1994.3.7 2013~ | 강승호 Kang Seung-Ho 1994.2.9 2021~ | 이선우 Lee Seon-Woo 2006.4.4 2025~ | ||
| | | | | ||
25 C | 26 | 27 | 28 | 29 | ||
양의지 Yang Eui-Ji 1987.6.5 2023~2027[1] | 박민준 Park Min-Jun 2002.10.21 2023~ | 김대한 Kim Dae-Han 2000.12.6 2019~ | 최승용 Choi Seung-Yong 2001.5.11 2021~ | 이병헌 Lee Byeong-Heon 2003.6.4 2022~ | ||
| | | | | ||
30 | 31 | 32 | 33 | 34 | ||
김정우 Kim Jeong-Woo 1999.5.15 2023~ | 정수빈 Jung Soo-Bin 1990.10.7 2009~2026 | 김재환 Kim Jae-Hwan 1988.9.22 2008~2025 | 김인태 Kim In-Tae 1994.7.3 2013~ | 홍성호 Hong Seong-Ho 1997.7.15 2016~ | ||
| | | | | ||
35 | 36 | 37 | 38 | 39 | ||
공번 | 추재현 Choo Jae-Hyun 1999.2.22 2025~ | 박지훈 Park Ji-Hoon 2000.9.7 2020~ | 조제영 Cho Je-Young 2001.2.12 2020~ | 잭로그 Zach Logue 1996.4.23 2025~ | ||
| | | | | ||
40 | 41 | 42 | 43 | 44 | ||
최종인 Choi Jong-In 2001.5.1 2020~ | 최준호 Choi Jun-Ho 2004.6.3 2023~ | 최지강 Choi Ji-Kang 2001.7.23 2022~ | 이주엽 Lee Ju-Yeop 2001.3.26 2020~ | 장규빈 Chang Kyu-Bin 2001.4.21 2020~ | ||
| | | | | ||
45 | 46 | 47 | 48 | 49 | ||
김기연 Kim Ki-Yeon 1997.9.7 2024~ | 김명신 Kim Myeong-Sin 1993.11.29 2017~ | 곽빈 Gwak Been 1999.5.28 2018~ | 김동준 Kim Dong-Jun 2002.9.3 2022~ | 박신지 Park Shin-Zi 1999.7.16 2018~ | ||
| | | | | ||
50 | 51 | 52 | 53 | 54 | ||
이영하 Lee Young-Ha 1997.11.1 2016~ | 조수행 Jo Soo-Haeng 1993.8.30 2016~ | 박준순 Park Jun-Sun 2006.7.13 2025~ | 양석환 Yang Suk-Hwan 1991.7.15 2021~2027 | 김영신 Kim Young-Shin 1961.11.9~1986.8.15 1985~1986|영구결번 | ||
| | | | | ||
55 | 56 | 57 | 58 | 59 | ||
이승진 Lee Seung-Jin 1995.1.7 2020~ | 김호준 Kim Ho-Jun 1998.5.17 2018~ | 콜어빈 Cole Irvin 1994.1.31 2025~ | 황희천 Hwang Hee-Cheon 2006.11.6 2025~ | 공번 | ||
| | | | | ||
60 | 61 | 62 | 63 | 64 | ||
강현구 Kang Hyun-Gu 2002.6.16 2021~ | 최원준 Choi Won-Joon 1994.12.21 2017~ | 공번 | 김택연 Kim Taek-Yeon 2005.6.3 2024~ | 김무빈 Kim Mu-Bin 2005.4.11 2024~ | ||
| | | | | ||
65 | 66 | 67 | 68 | 69 | ||
윤태호 Yun Tae-Ho 2003.10.10 2022~ | 김도윤 Kim Do-Yun 2002.6.28 2021~ | 홍민규 Hong Min-Gyu 2006.9.11 2025~ | 최민석 Choi Min-Seok 2006.7.2 2025~ | 공번 | ||
| | | | | ||
100 | 101 | 102 | 103 | 104 | ||
양현진 Yang Hyeon-Jin 2002.1.3 2021~ | 제환유 Je Hwan-Yu 2000.9.30 2020~ | 남호 Nam Ho 2000.7.20 2021~ | 천현재 Cheon Hyeon-Jae 1999.7.5 2022~ | 강동형 Kang Dong-Hyeong 1999.12.7 2022~ | ||
| | | | | ||
105 | 106 | 107 | 108 | 109 | ||
공번 | 박웅 Park Woong 1997.11.12 2020~ | 이민석 Lee Min-Suk 2001.11.1 2022~ | 최우인 Choi Woo-In 2002.8.9 2025~ | 최세창 Choi Se-Chang 2001.6.1 2020~ | ||
| | | | | ||
110 | 111 | 112 | 113 | 114 | ||
손율기 Son Yul-Gi 2005.6.11 2024~ | 공번 | 김태완 Kim Tae-Wan 2005.3.29 2024~ | 공번 | 한다현 Han Da-Hyeon 2006.8.25 2025~ | ||
| | | | | ||
115 | 116 | 117 | 118 | 119 | ||
양재훈 Yang Jae-Hun 2003.5.1 2025~ | 김성재 Kim Seong-Jae 2006.5.16 2025~ | 주양준 Ju Yang-Jun 2006.4.9 2025~ | 연서준 Yeon Seo-Jun 2006.4.13 2025~ | 최우혁 Choi Woo-Hyeok 2005.12.2 2025~ | ||
| | | | | ||
120 | 121 | 122 | 123 | 124 | ||
박연준 Park Yeon-Jun 2000.7.5 2025~ | 김한중 Kim Han-Jung 2004.11.3 2025~ | 김지윤 Kim Ji-Yun 2004.1.13 2025~ | 박민제 Park Min-Je 2003.10.20 2025~ | 김민호 Kim Min-Ho 2002.2.8 2025~ | ||
| | |||||
125 | ||||||
김준상 Kim Jun-Sang 2004.8.2 2025~ | ||||||
군 입대 선수 보기 | ||||||
코칭스태프 | ||||||
| | | | | ||
70 | 71 | 72 | 73 | 74 | ||
조웅천 Cho Woong-Cheon 1971.3.17 2024~ | 이도형 Lee Do-Hyung 1975.5.24 2019~ | 조경택 Cho Kyoung-Taek 1970.7.15 2015~ | 조성환 Cho Sung-Hwan 1976.12.23 2023~[2] | 조인성 Cho In-Sung 1975.5.25 2024~[3] | ||
| | | | | ||
75 | 76 | 77 [[감독#s-2| ★ ]] | 78 | 79 | ||
임재현 Lim Jae-Hyeon 1991.5.29 2025~ | 이영수 Lee Young-Soo 1981.5.9 2023~ | 이승엽 Lee Seung-Yuop 1976.10.11 2023~ | 서예일 Seo Ye-Il 1993.6.19 2025~ | 박정배 Park Jung-Bae 1982.4.1 2023~ | ||
| | | | | ||
80 | 81 | 82 | 83 | 84 | ||
김진수 Kim Jin-Soo 1979.4.19 2012~ | 박석민 Park Sok-Min 1985.6.22 2025~ | 권명철 Kwon Myung-Chul 1969.10.28 2012~[4] | 김동한 Kim Dong-Han 1988.6.24 2024~ | 김지용 Kim Ji-Yong 1988.2.20 2023~ | ||
| | | | | ||
85 | 86 | 87 | 88 | 90 | ||
니무라 Nimura Tōru 1961.12.26 2025~ | 김재현 Kim Jae-Hyun 1987.11.7 2025~ | 조중근 Cho Joong-Keun 1982.12.20 2025~ | 고토 Gotō Kōji 1969.5.14 2023~[5] | 가득염 Ka Deuk-Yeom 1969.10.1 2024~[6] | ||
| | | | | ||
91 | - | - | - | - | ||
오노 Ono Kazuyoshi 1965.11.13 2025~ | 천종민 Cheon Jong-Min 1984.10.30 2017~ | 조광희 Cho Kwang-Hee 1994.1.7 2020~ | 유종수 Yu Jong-Su 1996.8.26 2022~ | 이덕현 Lee Deok-Hyun 1996.5.12 2024~ | ||
| | | ||||
- | - | |||||
곽성욱 Gwak Seong-Wook ????.??.?? 2025~ | 권범준 Kwon Beom-Jun ????.??.?? 2025~ | |||||
단장: 김태룡 / 감독: 이승엽 / 홈구장: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출처: 두산 베어스 공식 홈페이지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1월 26일 | ||||||
| }}}}}}}}} |
[1] 고교 시절까진 유격수와 투수를 겸업했지만 NC 다이노스에 입단하면서 투수의 길을 선택했다. 하지만 부상으로 인해 다시 내야수로 전향했다.[2] 2021년부터 3루수로 출장하는 빈도를 높이고 있다.[3] 신생팀 혜택으로 연고지 관계 없이 전국 지명.[4] 현역병으로 입대했으나 복무 중 사회복무요원으로 전환되었다.[5] 과거 두산 팀 응원가로 사용되었던 음악이기도 하다. 현재는 저작권 문제로 인해 못 쓰고 있지만.[가사2] 두산 박준영 안타 박준영 두산 박준영 오오~ 두산 박준영 안타 박준영 최강두산 박! 준! 영![7] 과거 두산 시절 손시헌의 응원가였던 《ELLEGARDEN-Marry Me》와 멜로디가 상당히 유사하다.[8] 골프선수. 아내의 인스타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무물보에 의하면 같이 예쁘게 살자고 법적으로 약속해 놓은 상태로 결혼식은 준비 중이라고 한다.[9] 2024년 9월 13일 인스타로 임신 소식을 밝혔다.[10] 현재는 비활성화가 되어있다.[11] 박준영과 최금강이 진해구청에서 공익근무를 하면서 퇴근 후 재활과 훈련에 매진한 반면 윤호솔은 뜬금없이 충청남도 아산시청에서 공익근무를 했다.# 윤호솔은 한화에 트레이드되어 가면서도 계속 고향 언급을 하며 큰 기대를 갖고 있던 NC 팬들에게 완전히 금지어로 전락했다.##[12] 두산 베어스 이적 이후에는 허경민의 존재로 9번을 달았다가, 허경민이 kt로 이적해서 13번을 달 기회가 생겼으나 16번으로 바꿨고 13번은 이유찬에게 넘어갔다.[13] “과거 내 느낌” 나성범, 특급 기대주에 전수한 타자 전향 노하우 인스타그램 대화[14] 2021년 5월 30일 롯데전에서는 웨스 파슨스가 ‘ㅋ’자 문양을 그려준# 데 이어, 6월 5일 한화전에서는 김태군이 ‘ㄱ’자 모양을 그려줬다.#[15] ###[16] 다만 구창모가 빠른 97년생이기 때문에 학교를 1년 빨리 입학해 96년생들과 동기라 박준영보다 1년 선배다. 실제 인터뷰를 보면 박준영이 구창모를 형이라고 부른다.[17] 사실 박준영이 과하게 까였던 이유는 박준영이 데뷔했던 2016년만 하더라도 NC가 아직 신생팀 타이틀을 떼지 못하던 시절이라 박준영과 같은 타입의 신인선수를 NC 팬들이 팀에서 사상 처음으로 보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SNS를 통해 자신을 열심히 어필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하던 박준영의 행동이 튄다면서 일부 팬들이 좋지 않게 보았던 것. 물론 아직 어린 선수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가십거리들을 조심해서 본인에게 나쁠 것이 없긴 하다.[18] 그래서 아직도 일부 NC 팬들은 박준영에게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는데, NC 다이노스 갤러리 같은 곳에서는 평소 친하게 지내는 것으로 보였던 김찬형, 김형준 등과 묶어서 까곤 했고# 그중에는 또 제일 낫다, 승부욕이 있어 뭐든 열심히 한다는 얘기도 함께 들었다.# 어쨌든 선수단 사생활 관련 가십이 돌면 대부분의 팬들은 이 무리를 의심하곤 했으니 선수 본인에게는 억울한 면도 있을 것이다. 사실 SNS에서 팬들과 싸우거나 사회적으로 논란이 될 수 있는 말을 하지 않는 이상 개인이 SNS를 하는 것만으로 뭐라 하는 것 자체가 지나친 참견이다.[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