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베르셰바 전투는 1917년 10월 31일 중동전선에서 일어난 오스만군과 ANZAC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로 인해 팔레스타인은 1948년 이스라엘 정부 수립까지 30여년간 영국의 위임통치령이 된다.2. 배경
중동의 강자에 따라 주인이 바뀌던 팔레스타인 지역은 19세기 영국이 이집트를 보호령으로 삼고 아프리카 종단정책을 실시하며 본격적으로 중동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며 영국은 오스만 제국과 마주한다. 당시 영국은 아랍권 민족들에게 독립을 약속하며 반란을 부추겼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아랍 반란과 헤자즈 왕국의 건국이다. 이와 같이 원래 오스만 제국의 토후국들이 반란을 일으키며 연합군에 가세했다.3. 전투
우선 영국은 오스만 제국을 항복시키기 위해 벨푸어 선언을 했다. 그렇게 유대인들의 지지를 받아내고, 이집트에서 레반트 지역방향으로의 북진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 창설된 이집트 원정군과 필립 체트워트 경이 이끄는 XX군단이 북진을 시작하였다. 이때 팔레스타인 주둔 오스만 제국군과 작은 마을이었던 베르셰바에서 충돌하였다.그리고 이집트 관할 대장이었던 알렌비 장군의 지략과 호주와 뉴질랜드 연합군(ANZAC)의 (호주 원주민이 대다수인)기마병의 놀라운 기동력과 담대함으로, 브엘쉐바를 탈환하여, 전세는 연합군 쪽으로 기울었으며, 전투력을 상실한 오스만 제국은 팔레스타인을 고스란히 영국에 넘기게 되었다. 그리고 정확히 1년 뒤인 1918년 10월 31일 오스만 제국과 연합국의 휴전 협정이 체결됐다.
4. 여담
사막의 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