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23:43:06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부미방 사건에서 넘어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18 민주화운동
{{{#!wiki style="color:#000,#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6e3ff,#000033><colcolor=#000,#fff> 전개 5.17 내란 · 배경 및 전개 · 계엄군의 학살
관련 인물 <colbgcolor=#d6e3ff,#000033><colcolor=#000,#FFF> 진압 관련 전두환 · 노태우 · 정호용 · 황영시 · 이희성 · 최세창 · 박준병 · 하나회 · 주영복 · 신군부
저항 관련 김종배 · 윤상원 · 박남선 · 정상용 · 조비오 · 박관현 · 윤한봉 · 김완섭 · 광주시민 · 투사회보 · 시민군
목격자 위르겐 힌츠페터 · 헤닝 루모어 · 인요한 · 김영택 · 김사복 · 조갑제 · 정동영 · 서청원 · 서정갑 · 심재철
피해자 사상당한 경찰과 시민 · 김경철
기타 안병하 · 장형태 · 구용상 · 김영삼 · 김대중
사건 사고 5.18 관련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 · 광주교도소 습격 조작 사건 ·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일반 임을 위한 행진곡/논란 · 광주 폭격 시도 논란 · 전두환 손자 폭로 사건 (전우원)
왜곡 관련 5.18 민주화운동/왜곡 (북한개입설 · 무장폭동설) · 광주민주화운동 진보편향 명칭설 · '5.18 광수' 날조 논란 · 5.18 연고대생 북한간첩설 · 5.18 북한개입설 보도사건 (채널A · TV조선) · 자유한국당 공청회 5.18 망언 논란 · 전두환 회고록 · Roblox 그날의 광주 5.18 민주화운동 모욕 사건
기타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 5.18 특별법 · 5.18 관련 자료 · 5.18 사적지 · 5.18 관련 의문점 · 김영삼 단식 농성 사건
관련 창작물 창작물에서의 묘사 · 김남주 · 임을 위한 행진곡 · 오월의 노래 · 화려한 휴가 · 스카우트 · 택시운전사 · 1980 · 소년이 온다 · 오월의 청춘 · 검정 고무신과 함께 하는 기영이의 5.18 여행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미관계 관련 문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 조미수호통상조약 · 주한미국공사관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민족자결주의 · 태평양 전쟁 · 카이로 회담 · 미군정 · 6.25 전쟁 · 베트남 전쟁
사건사고 이철수 사건 · 코리아게이트 · 조지아주 한인 여성 살인사건 · 주한미군 윤금이씨 살해사건 · 필라델피아 한인 유학생 강도살인 사건 · 라타샤 할린스 살해사건 · LA 폭동 · 로버트 김 간첩 사건 · 이태원 살인 사건 ·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 동대구역 초등생 감전 사망사고 · 2008년 촛불집회 ·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미국 정부의 한국 대통령실 도청 사건 · 여성시대 남성 성착취물 공유 사건 · 미국 정부의 수미 테리 기소 사건
외교 한미관계 · 한미관계/2020년대 · 한미일관계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미국대사관 · 동맹대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 한미연합사 · 주한미군 · 한미자유무역협정 · 한미행정협정 ·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 한미정상회담 · 6자회담 · 한미 원자력 협정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 한미 우주협력협정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미외교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IPEF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 핵 협의그룹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미군 · 친미 · 미빠 · 반미 · 한미노선(인천-로스앤젤레스 항공노선 · 인천-뉴욕 항공노선 · 인천-괌 항공노선 · 부산-괌 항공노선) }}}}}}}}}

파일:external/pds25.egloos.com/a0106196_514e723f1ddc5.jpg 파일:external/static.panoramio.com/18546740.jpg
사건 당시 사진. 위에 부산타워성조기가 보인다. 현재의 모습. 성조기는 태극기로 대체됐다.

1. 개요2. 배경 및 전개3. 체포와 이후4. 여담5. 유사 사례6. 참고/외부 자료

1. 개요

영어: Busan American Cultural Service building arson, 1982 Busan arson attack or Busan American Council Fire Accidents

1982년 3월 18일 부산 지역 대학생들이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104 (대청동2가)에 있었던 부산 미국 문화원(현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에 불을 지른 살인, 방화, 테러 사건으로, 줄여서 '부미방 사건'이라고 한다.

2. 배경 및 전개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의 강경 진압을 미국이 묵인함으로써 운동권 사이에서 반미 정서가 폭발했는데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이 터졌고 여기에 영향을 받은 부산지역 대학생들도 똑같은 사건을 계획했다. 당시 참여자는 부산대학교 재학생 최인순, 류승렬,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 재학생 김지희, 고신대학교 재학생 문부식, 김은숙, 이미옥 등이다.

이들은 1982년 3월 18일 낮 12시경 문화원 문을 준비된 공구로 뜯어내고 준비된 휘발유로 불을 질렀으며 다른 팀은 동시에 국도극장 및 유나백화점 건물 위에서 <미국은 더 이상 한국을 속국으로 만들지 말고 이 땅에서 물러가라>라는 제목으로 수백 장의 유인물을 살포했는데 이 유인물은 일본 쓰시마섬까지 날아갔다고 한다.

미국인 피해자는 없었고 문화원 내 도서관에서 공부 중이던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3학년 장모 군이 질식해 숨졌다. 지나친 반미 감정으로 무고한 피해자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운동권을 비판하는 여론이 커졌고 5.18 민주화운동 때문에 이 사건이 일어났다는 것은 당시 어디에서도 언급되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사설 <누구를 위한 방화인가>에서 해당 사건을 '민족적 수치'로 규정했고 중앙일보사설에서 "반공과 친미는 헌법 이상의 국민적 합의이다"라고 맹비난했다. 심지어 현장검증 중에도 구경꾼들은 관련자들을 향해 "저놈들 죽여라"나 "죽일 놈들"이라고 온갖 욕설을 쏟아냈다.

처음에는 북한테러로 추정했으나 좌익 운동권 대학생들의 반미 목적의 행동이었다는 점이 당시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줬다. 게다가 1980년대는 시대가 시대라 이런 '흉악범죄'가 여학생들이 주축이 되었다는 점이 더 충격이었다고 한다. 사실 광주문화원 방화는 당시엔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대중들에겐 이 사건이 6.25 전쟁 이후 대한민국에서 반미 정서가 대대적으로 보도된 거의 최초의 사건이다.

그러나 관련자였던 문부식은 대한매일의 주간지 <뉴스피플> 1999년 4월 8일자에서 해당 사건은 "부미방은 영웅적 행위도, 좌경 불순세력의 무모한 반역행위도 아닌, 5공 정권이 주도한 거짓의 역사를 지탱하는 부역의 대열에서 이탈하고자 한 당대 젊은이들의 움직임 중 하나였으며 미국을 싫어해서 저지른 게 아니라 군부독재정권을 지원하고 특수/종속적 한미관계를 지속하려는 미국은 진정한 우방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었다"며 "광주학살에 대한 미국과 신군부의 공모행위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밝혀야 한다"는 식으로 심경을 밝혔다.

3. 체포와 이후

사건이 터지자 5공 정권은 관련 학생에 대해 현상금 3천만 원을 걸어 수배령을 내렸고 전국 각지 주민들도 반상회를 열어 관련자들을 경찰에 신고하도록 했다.

결국 4월 1일 문부식과 김은숙이 자수했고 뒤이어 이미옥, 유정렬, 이창복 등이 전단지 살포 및 방화 혐의로 검거되었다.

동월 5일에 김현장이 배후조종 혐의로 체포되었고 가톨릭 원주교육원장 최기식 신부도 범인 은닉혐의로 같이 연행되었다. 관련자들이 다닌 대학들도 문교부에 의해 관련학생 담당 지도교수 및 학과장, 학장 및 학생처장에 대한 경고장과 징계 요구를 시달받았으며 지도교수들은 징계 처분을 받았다.[1]

김현장은 1950년 전라남도 강진군의 유지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 집안이 가난해져 젊은 시절 대학을 다니면서 온갖 직종을 전전했는데 르포작가로 전직해 월간 <대화> 1977년 8월호에 박흥숙 사건의 진상을 특종으로 보도했고 <뿌리깊은 나무> 지에서 기생관광 등 유신정권기 사회문제들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두환의 광주살육작전>이란 유인물을 배포했다가 수배되어 강원도 원주 가톨릭교육원으로 은신했다.

관련자들은 국보법 및 집시법 위반으로 법정에서 전원 실형을 선고받았는데 특히 문부식과 김현장은 1983년 사형이 확정됐다. 상고심 당시 대법원 판사 중엔 이회창이 있었고 관련자들의 변론은 황인철 변호사가 맡았다. 1주일 후 무기징역징역 20년으로 각각 감형되었다가 1988년에 석방되었다.

그러나 문부식은 1989년 '한미문제연구소 사건'으로 2년여 간 복역한 후 저술 활동을 해 왔고 전술한 한 학생의 죽음으로 죄의식이 형성되어 민주화운동 보상 신청을 하지 않았다.

김현장은 석방 후 1989년에 결혼,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결성에 참여해서 국제협력국장을 맡으면서 이철규 의문사 사건 관련 성명서 등을 냈다는 이유로 구속되어 7년형을 선고받고 1993년가석방됐다. 1997년 15대 대선 때 이회창, 2007년 17대 대선후보 경선 때 박근혜를 각각 지지하면서 서서히 보수 인사가 되어 갔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후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 한국광물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 등을 지냈다.

김은숙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가 1987년 석방 후 야학 운동을 하면서 1993년 <노둣돌>에서 '김백리'란 필명으로 '갇힌 자의 순례'로 등단해 작가 생활을 하다가 2011년 5월 24일에 암 투병 중 세상을 떠났다.

미국문화원 건물은 1996년에 폐관되어 영사관으로 쓰다가 1999년 미국이 부산광역시에 기증하고 리모델링을 거쳐 부산박물관 산하 부산근대역사관으로 사용되었고 2023년부터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부산영사관은 부산진구 중앙대로 993 시청역롯데골드로즈 612호 (양정동)로 옮겨갔다.[2]

4. 여담

5. 유사 사례

6. 참고/외부 자료



[1] 원 출처: <국가폭력: 민주주의 투쟁, 그리고 희생> - 조희연 편. 함께읽는책. 2002. p198.[2] 정확하게는 부산지방경찰청 맞은편에 미국영사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