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colbgcolor=#254AA5><colcolor=white> 명칭 | 상계주공아파트 |
종류 | 아파트 |
시행사 | 대한주택공사 |
브랜드 | |
동수 | 358개동 |
층수 | 최저: 4층 최고: 25층 |
세대수 | 36,909세대 |
<colbgcolor=#254AA5><colcolor=white> 단지 | 준공년도 | 세대수 | 동수 | 비고 |
1단지 | 1988년 5월 | 2,064세대 | 24개동 | |
2단지 | 1987년 11월 | 2,029세대 | 23개동 | |
3단지 | 1987년 11월 | 2,213세대 | 26개동 | |
4단지 | 1988년 3월 | 2,136세대 | 17개동 | |
5단지 | 1987년 10월 | 840세대 | 19개동 | |
6단지 | 1988년 5월 | 2,646세대 | 28개동 | |
7단지 | 1988년 7월 | 2,634세대 | 21개동 | |
| 1988년 5월 | 830세대 | 18개동 | [1] |
9단지 | 1988년 10월 | 2,830세대 | 23개동 | |
10단지 | 1988년 9월 | 2,654세대 | 27개동 | |
11단지 | 1988년 9월 | 1,944세대 | 16개동 | |
12단지 | 1988년 10월 | 1,739세대 | 15개동 | |
13단지 | 1989년 4월 | 939세대 | 9개동 | |
14단지 | 1989년 4월 | 2,265세대 | 26개동 | |
15단지 | 1988년 7월 | 2,100세대 | 12개동 | [2] |
16단지 | 1988년 9월 | 2,392세대 | 18개동 | |
17단지 | 1989년 7월 | 1,980세대 | 11개동 | [3] |
18단지 | 1988년 1월 | 910세대 | 13개동 | |
19단지 | 1988년 11월 | 1,764세대 | 12개동 |
1. 개요
1980년대 초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4], 도봉구 창동 일원의 상계 신시가지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된 대규모 주공아파트 단지로서 2024년 현재 총 19개 단지가 존재한다.1985년 11월부터 본격적인 건설이 시작되어 1989년 6월에 19개단지가 모두 완공되었다.
2. 단지 조성
상계주공아파트는 1985년 11월 30일부터 1989년 12월에 걸쳐 조성됐다. 제5차, 6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에 따라 저소득층 대상 주택을 공급하는 차원에서 건설된 것으로, 이전까지의 '아파트'에 대한 생각을 바꿨다. 공중에 휴식공간을 두는 등 특이한 모양이었고 소비자 맞춤형 인테리어를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새로운 주택 전시장이라고 할 만큼 혁신적인 시도가 돋보인 단지다. 앞서 말한 '공중의 휴식공간'이 구현된 아파트는 4단지 412동으로, 시범아파트로 지정되어 타 동과는 달리 25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 16~18층 중앙부분 총 6가구 부분에 집 대신 공중 휴식공간을 설치해 놀이터 및 주민 휴식공간로 이용되었다. 현재는 주변 세대의 진동, 소음 등 피해로 인해 사용할 수 없으며 문이 잠겨있어 들어갈 수도 없다. 꽤 오래전에 사용중지된 것으로 보인다.일단 외형부터 달랐다. 예외적으로 5단지와 8단지만 타 저층 주공아파트와 비슷하고 도색도 새로 하지 않았다. 11평[6], 13평[7], 15평[8]이 있었다. 고층형에서는 상계주공에서 비롯된 형태가 90년 초반까지 쓰였을 정도로 다양한 형태들이 있다. 판으로 찍어낸 듯한 네모 반듯한 주동(짧은 판상형[9], 판상형A[10], 판상형B[11], 긴 판상형[12], 매우 긴 판상형[13], 단차형A[14], 단차형B[15], 단차형C[16], 단차형D[17], 단차형E[18])외에 Y자[19]와 U자[20], V자[21], L자 소형[22], L자 대형[23]등 다양한 건물을(판상형+대각선A[24], 판상형+대각선B[25], DNA형[26], 주상복합형[27], 이웃거주형[28], 복층형&계단형[29]) 지형에 맞게 배치했다. 하지만 타워형은 이때를 기준으로 없어졌다.[30] 저층형도 형태가 다양하고 특이하다. 2중평형A[31], 2중평형B[32], 3중평형[33], 복도형[34]) 덕분에 같은 동 안에서도 여러가지 평형이 존재하며, 같은 동에 같은 평수여도 평면도가 다르기도 하다. 또한 12~15층 내외에 머물던 아파트 높이도 최고 25층[35]으로 훌쩍 높아졌다. 다양한 외형에 걸맞게 평형 배치에서도 '믹싱' 개념을 도입했다.
최근 분양하는 아파트에서 선보이는 '부모-자녀 세대가 같이 살 수 있는 2세대형' 아파트의 원조도 상계 주공아파트다. 아래층은 할아버지 할머니가, 윗층은 자녀와 부모가 함께 쓰는 복층형[36], 조부모가 따로 쓸 수 있는 별도의 현관과 간이부엌, 욕실을 설치한 이웃거주형[37] 등이다.
'3대가족형'아파트로 불리는 이 아파트는 조부모, 부모, 자녀 3대가 한 곳에 살아 주택 수요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하지만 가족 구성원의 사생활을 보호해주는 설계로 호응을 얻었다. 또 소비자의 필요를 배려한 맞춤형 아파트를 지향했다. 큰 방과 작은방, 거실과 방 사이에 이동식칸막이를 움직이면 아이가 생기거나 손님이 방문했을 때 방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었다.
4만 가구 규모 신시가지를 조성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신시가지가 조성되기 전 가옥 526채, 공장 171곳과 비닐하우스 2912건 등이 들어서 있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도심지 재개발로 터전을 잃은 사람들이 모여 살던 터라 원주민 반발이 컸다.[38] 택지매수를 끝내고 나니 기반공사가 막막했다.
북한산과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으로 둘러싸인 마들평야(도봉구 상계동 창동 월계동 일원 330만㎡)는 중랑천보다 2m가 낮아 비가 오면 어김없이 잠겼다. 아파트를 세울 단단한 지반을 만들기 위해 35만㎡의 흙이 들어갔다. 연인원 1260만명이 철근 11만톤, 시멘트 500만포, 벽돌 3억2000만장을 날랐다. 신도시급인 과천(1만3522호), 개포(1만5710호)의 2배가 넘는 초대형 프로젝트였다.
상계주공아파트 중 5,8단지는 저층(5층)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8단지는 2018년 4월에 철거되었다.
17~19단지는 노원구 상계동이 아닌 도봉구 창동에 위치했으나 아파트 명칭은 그래도 상계주공 17,18,19단지다.[39]
15단지는 공무원임대아파트라서 일반 매물로 나오지 않는다. 그 외 단지는 모두 거래 가능하다.
상계주공아파트 평면도, 현황 정리. 이곳을 보면 단지 배치뿐만 아니라 개별세대 평면도 무척 여러가지로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로에서 146번, 1139번등의 버스를 타면 5단지, 8단지, 13단지, 16단지를 제외한 상계주공x단지라는 정류장이 나온다.
3. 재건축
지은 지 어느덧 30년이 넘은 상계주공아파트 또한 재건축 논의가 나오고 있다.우선 8단지가 재건축이 확정되어 2018년 4월에 철거되었다.[40] 8단지는 노원 포레나로 재건축되어 2020년 12월에 재건축 완료되었다.
이후 5단지가 재건축 인가를 신청하였으나, 8.2 부동산대책으로 인해 노원구가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면서 재건축 바람에 직격탄을 날렸다. 자치구도 불만이 있는 듯 하다.[41]
6단지가 재건축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하였다.
창동차량기지와 도봉면허시험장을 이전하여 창동 상계 신경제 중심지로 개발되는 호재가 계속되었고, 재건축 논의가 활발한 지역이다.
2022년 12월, 윤석열 정부에서 안전진단 기준을 완화하였고 완화된 기준이 2023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불과 2개월 동안 1·2·6단지가 무더기로 안전진단을 통과했다. #
4. 단지
- 1~3, 10, 14, 18단지는 저층+고층 혼합 형태이다.
- 4, 6~7, 9, 11~13, 15~17, 19단지는 고층만 있는 형태이다.
- 5,
8[42]단지는 저층만 있는 형태이다. - 15단지는 공무원연금공단에서 관리하는 공무원 임대 아파트이다.
4.1. 1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13길 21 (상계동 765) |
준공 | 1988년 5월 |
세대 | 2,064세대 |
동수 | 24개동 |
구도색은 주황색/살구색/하늘색 조합이었다. 2014년에 회색/하늘색/연보라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새로 도색을 칠하였지만 새로운 LH로고가 그려져 있지 않다. 현재는 많이 탈색되어서 칙칙한 회색이다.
4.2. 2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15길 23 (상계동 740) |
준공 | 1987년 11월 |
세대 | 2,029세대 |
동수 | 23개동 |
구도색은 베이지색/주황색/갈색 조합이었다. 2016년에 아이보리색/진노랑색/갈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틀린그림 찾기 급으로 달라진게 거의 없다. 아직까지 휴먼시아 로고를 사용한다.
4.3. 3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15길 48 (상계동 730-2) |
준공 | 1987년 11월 |
세대 | 2,213세대 |
동수 | 26개동 |
또한 타 단지들과는 달리 20평 이하의 소형평형 비율이 낮고 용적률도 양호하여 재건축 사업성이 좋다는 평을 받는다.
6단지,7단지와 더불어 상계주공의 대장 단지라고 불린다.
구도색은 분홍색/노랑색으로 조합이었다. 2017년에 회색/파랑색/청록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4.4. 4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356 (상계동 749-5) |
준공 | 1988년 3월 |
세대 | 2,136세대 |
동수 | 17개동 |
412동은 특이하게 V자 형태의 25층 높이로 지어졌다. 1층 중앙부분은 필로티며, 16층~18층 중앙부분은 비어있어 놀이터 및 주민 화합장소로 사용되었지만 소음으로 인해 폐쇄되었다. 건설 당시 근방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옥상에 2층 건물과 헬리패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대공감시 및 북방 경계 목적이 설계에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88년도 항공위성지도 확인 결과 관련 장비는 전무한 것으로 보인다.
빌딩 GOP 관련 구조물이 분명히 2024년 현재도 있는데, 상계주공 412동의 경우 해당 위치를 개방하여 사람들이 들어갈 수 있게끔 하고 있다. 해당 유튜버도 외지인인데 자유롭게 빌딩 GOP 구조물에에 접근했다. 대한민국 육군에서 실제로 상계주공 412동의 빌딩 GOP를 활용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지하에는 지하주차장이 있고 단지 내 근린공원이 있다.
구도색은 베이지색/연두색/주황색으로 조합이었다. 2014년 초에 흰색/연두색/주황색/멜론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구도색과 조금 다른 정도이다.
4.5. 5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16길 47 (상계동 721) |
준공 | 1987년 11월 |
세대 | 840세대 |
동수 | 19개동 |
2017년 7월에 재건축 인가를 신청했지만, 8.2 부동산대책으로 인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지난 2018년 5월 29일 재건축 안전진단을 통과하였다. 재건축이 한층 수월해진 셈. 특징으로 조합 방식 대신에 신탁 방식으로 재건축을 추진 중인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1월 21일 서울시 1차 도계위에서 정비계획안이 가결됐다. 서울형 재건축 단지로 선정되어 기존 996세대에서 1271세대로 약 300세대를 추가로 지을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5월, 신탁사 선정으로 인하여 재건축조합 설립과 법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상계주공 시리즈 중 2번째로 조합이 설립된 것으로, 이후에는 10년 보유 5년 거주 1가구 1주택에 한해서 매도가 가능하다. 정확히는 투기과열지구에 걸린 제한이며 서울 25개구가 모두 동일한 규제를 받고 있다.
하지만 재건축 추가분담금이 증액되면서 조합과 시공사간의 소송으로 번져 언제 될지는 미지수다.
4.6. 6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해로 508 (상계동 720) |
준공 | 1988년 5월 |
세대 | 2,646세대 |
동수 | 28개동 |
최고 평수가 84㎡(24평)에 불과한데도. 20년 8월에 상계주공 고층아파트단지 중에서는 최초로 재건축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하였다.
주차장 부족(가구당 0.3대)이 매우 심각하다.
3단지,7단지와 더불어 상계주공의 대장단지로 불린다.
구도색은 흰색/연한 하늘색/하늘색 조합이었다. 2008년 이전에 빨강색/노랑색/연한 갈색 조합으로 오래전에 도색하였다. 2024년 현재까지 그대로다.
4.7. 7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456 (상계동 692) |
준공 | 1988년 7월 |
세대 | 2,634세대 |
동수 | 21개동 |
또 다른 특징으로는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개발부지(창동기지,도봉면허시험장 이전부지 등)와 가장 인접하여 수혜를 보는 단지이다. 그리고 아파트 구조가 다양한 단지로 알려져 있다.
3단지,6단지와 더불어 상계주공의 대장단지로 불린다.
흥안운수, 삼화상운 소속 노선들[43]의 종점(영업소) 중 하나인 7단지영업소의 7단지가 바로 이 아파트이다.
구도색은 회색/분홍색/개나리색/카키색으로 조합이었다. 2016년에 흰색/주황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4.8. 8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38길 10 (상계동 677(801~803동)) (상계동 680(804~818동)) |
준공 | 1988년 5월 |
철거 | 2018년 4월 |
세대 | 830세대 |
동수 | 18개동 |
2018년 4월 철거가 완료되었으며 2021년에 1062세대 규모의 포레나 노원으로 재건축이 완료되었고 상계주공아파트 중 최초의 재건축 단지가 되었다.
4.9. 9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532 (상계동 670) |
준공 | 1988년 10월 |
세대 | 2830세대 |
동수 | 23개 동 |
초기도색은 분홍색/노랑색/회색 조합이었다. 2014년에 회색/베이지색/갈색/고동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2021년에 회색/파랑색 조합으로 재도색하였다.
4.10. 10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564 (상계동 666) |
준공 | 1988년 9월 |
세대 | 2654세대 |
동수 | 27개 동 |
구도색은 살구색/주황색/황토색 조합이었다. 2015년에 회색/노랑색/주황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4.11. 11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27길 25 (상계동 652) |
준공 | 1988년 9월 |
세대 | 1944세대 |
동수 | 16개 동 |
초기도색은 주황색/연보라색/민트색 조합이었다. 2012년에 연갈색/회색/카키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2023년에 진한 청록색/진한 회색 조합으로 재도색하였다.
4.12. 12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530 (상계동 647) |
준공 | 1988년 10월 |
세대 | 1739세대 |
동수 | 15개 동 |
구도색은 빨강색/분홍색으로 조합이었다. 2012년에 베이지색/흰색/갈색/자주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4.13. 13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54길 92 (상계동 637) |
준공 | 1989년 4월 |
세대 | 939세대 |
동수 | 9개 동 |
구도색은 베이지색/빨강색/주황색 조합이었다. 2014년에 회색/노랑색/빨강색/카키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4.14. 14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28길 23 (상계동 626) |
준공 | 1989년 4월 |
세대 | 2265세대 |
동수 | 26개 동 |
초기도색은 하늘색/주황색/빨강색으로 조합이었다. 2012년에 갈색/빨강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2021년에 흰색/회색/남색 조합으로 재도색하였다.
4.15. 15단지(상록)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27길 6 (상계동 624) |
준공 | 1988년 7월 |
세대 | 2,100세대 |
동수 | 12개 동 |
구도색은 연갈색/갈색으로 조합이었다. 2017년에 연갈색/갈색/주황색/연두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4.16. 16단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27길 86 (상계동 624) |
준공 | 1988년 9월 |
세대 | 2392세대 |
동수 | 18개 동 |
초기도색은 분홍색/민트색 조합이었다. 2013년에 갈색/연두색/주황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2020년에 회색/파랑색/하늘색 조합으로 재도색하였다.
4.17. 17단지(창동)
위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66길 17 (창동 38) |
준공 | 1989년 7월 |
세대 | 1980세대 |
동수 | 11개 동 |
구도색은 흰색/분홍색 조합이었다. 2019년에 회색/분홍색/진한 분홍색/갈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여기도 구도색과 조금 달라진 정도로 차이점이 거의 없다.
4.18. 18단지(창동)
위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70길 119 (창동 30) |
준공 | 1988년 10월 |
세대 | 910세대 |
동수 | 13개 동 |
구도색은 분홍색/빨강색 조합이었다. 2015년에 회색/노랑색/연두색/카키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4.19. 19단지(창동)
위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70길 19 (창동 33) |
준공 | 1988년 11월 |
세대 | 1764세대 |
동수 | 12개 동 |
재건축이 확정 되었으며 재건축 시 최소 25평 이상으로 재건축이 가능한 단지이다.
구구도색은 레몬색/연두색/하늘색 조합이었다. 2013년에 갈색/주황색 조합으로 도색하였다. 2023년에 남색/진한 회색/회색 조합으로 재도색하였다.
5. 교통
5.1. 버스
간선버스: 102, 105, 111, 146지선버스: 1120, 1129, 1137, 1139, 1143, 1144, 1154, 1167
광역버스: 1100, 3100, 3200, 3500, 3600
마을버스: 노원02, 노원05, 노원08, 노원11, 노원15
5.2. 지하철
수도권 전철 1호선: 창동역, 녹천역수도권 전철 4호선: 노원역, 창동역
서울 지하철 7호선: 중계역, 노원역, 마들역, 수락산역
[1] 철거[2] 상록[3] 창동[4] 당시 상계동도 도봉구 관할이었다.[5] 1989년 조성 당시의 25층 아파트는 2024년으로 치면 45층 이상의 초고층 아파트의 지위를 가졌다.[6] 5,8단지에 있다. 5단지 501동~519동 19개, 8단지 804동~806동,808동~812동 8개[7] 8단지에만 있었기 때문에 지금은 철거되고 없다. 801동,802동,813동,815동,817동 5개[8] 8단지에만 있었기 때문에 지금은 철거되고 없다. 803동,807동,814동,816동,818동 5개[9] 거의 모든 단지에 있다. 입구 부분이 매우 크고 1,2,3,4,6단지는 입구 모서리 부분이 각져 있지만 7,9,10,11,12,13,16단지는 입구 모서리 부분이 둥글다. 1단지 104동~106동,115동,118동~121동 8개, 2단지 205동,206동,208동~210동,218동,219동 7개, 3단지 303동~305동,320동~323동 7개, 4단지 405동,406동,409동 3개, 6단지 603동~605동,607동,608동,610동,611동,618동~626동 16개, 7단지 710동,718동,721동 3개, 9단지 903동,904동,910동,911동 4개, 10단지 1003동,1004동,1007동,1008동,1025동,1026동 6개, 11단지 1102동,1105동,1107동 3개, 12단지 1207동,1211동 2개, 13단지 1303동~1305동 3개, 16단지 1601동,1608동,1609동,1614동 4개[10] 7,9,10,11,12,15단지에 있다. 7단지 702동,703동,705동 3개, 9단지 914동,921동 2개 10단지 1010동,1015동 2개, 11단지 1104동,1106동,1108동,1111동 4개, 12단지 1201동,1202동,1206동,1212동,1215동 5개, 15단지 1501동,1505동,1506동 3개[11] 17단지에만 있다. 하안주공에서 많이 보인다. 초기에는 임대형 구조여서 평수가 작다. 1701동~1703동,1706~1711동 9개[12] 1,2,3,4,6단지에 있다. 1단지 101~103동 3개, 2단지 203동,204동,207동 3개, 3단지 306동 1개 4단지 403동,404동,407동 3개 6단지 606동 1개[13] 4,6,11,12,15,17단지에 있다. 4단지 408동,416동,417동 3개, 6단지 615동~617동 3개, 11단지 1101동,1103동 2개, 12단지 1205동,1208동 2개, 15단지 1502동,1504동,1507동,1511동,1512동 5개, 17단지 1704동,1705동[14] 9,10,12,19단지에 있다. 단차형B와 거의 똑같지만 평수가 20평대로 작다. 상계주공 건설 이전부터 있던 형태이다. 9단지 902동,905동,909동,912동 4개 10단지 1002동,1009동 2개, 12단지 1210동,1213동,1214동 3개, 19단지 1905동 1개[15] 3,4단지에 있다. 단차형A 형태와 거의 똑같다. 다른 점은 평수가 30평대로 더 크며 뒷쪽 창문 형태가 다르다. 3단지 312동,314동,317동~319동 5개, 4단지 414동,415동 2개[16] 7,9,11,16단지에 있다. 단차형A,B의 구조와 다르게 하나의 평수만 존재하며 30평을 넘긴다. 7단지 707동,709동 2개, 9단지 916동,919동,922동 3개, 11단지 1109동,1110동 2개, 16단지 1611동,1612동 2개[17] 7,10,16,18단지에 있다. 다른 단차형과 달리 입구 양옆으로 호수가 4:6 비율로 일치하지 않다. 평수도 10~20평대로 다른 단차형에 비해서 작다. 7단지 719동,720동 2개, 10단지 1005동,1006동 2개, 16단지 1602동~1607동,1610동,1613동,1615동~1618동 12개 18단지 1805동,1806동 2개[18] 1804동 한개동 뿐이다. 평수도 13평,17평으로 작다. 아파트 입구 모서리가 각진 다른 단차형과는 다르게 입구 모서리 부분이 곡선으로 둥글다.[19] 1,2,3,10,11,19단지에 있다. 더블Y자 모형이지만 일반적으로 Y자형이라고 불린다. 1단지 122동 1개, 2단지 220동,223동 2개, 3단지 326동 1개, 10단지 1027동 1개, 11단지 1112동,1115동 2개, 19단지 1901동~1904동 4개[20] 1,2,3,4,6,11단지에 있다. 1호부터 6호까지 평수가 같으나 1,6호 2,5호 3,4호가 각각 다른 구조를 띈다. 입구 모양이 반원 형태이다. 1단지 123동,124동 2개, 2단지 221동,222동 2개, 3단지 313동,315동,316동,324동,325동 5개, 4단지 410동,411동,413동 3개, 6단지 609동,612동,613동,614동,627동,628동 6개, 10단지 1012동,1014동 2개, 11단지 1113동,1114동,1116동 3개[21] 7,9,13,14,18단지에 있다. 한 단지에 3개동 이상 있다. 예외로 U자형이 있는 단지는 V자형이 없고 V자형이 있는 단지는 U자형이 없다. 7단지 701동,704동,706동,708동,713동,716동,717동 7개, 9단지 901동,906동,913동 3개, 13단지 1306동~1309동 4개, 14단지 1420동~1426동 7개, 18단지 1801동~1803동 3개[22] 1단지에만 있다. 상계주공 건설 이전부터 있던 형태이다. 1단지 116동,117동 2개[23] 9,10단지에 있다. 9단지 907동,908동,915동,920동 4개, 10단지 1001동,1011동,1013동 3개[24] 9,12,14단지에 있다. 판상형에서 위쪽으로 꺾이는 구조다. 판상형+대각선B 보다 평수가 작다. 9단지 917동 1개 12단지 1203동,1204동 2개 14단지 1401동 1개[25] 9,12,13,14단지에 있다. 판상형에서 아래쪽으로 꺾이는 구조며 판상형+대각선A 보다 평수가 크다. 9단지 918동,923동 2개, 12단지 1209동 1개, 13단지 1302동 1개, 14단지 1406동 1개[26] 7,13,14,15단지에 있다. 판상형+대각선A,B를 합친 형태여서 판상형+대각선A,B에 있는 평수 둘 다 있다. 7단지 711동,712동,714동,715동 4개, 13단지 1301동 1개, 14단지 1402동~1405동 4개, 15단지 1503동,1508동~1510동 4개[27] 2,3,4,6단지에 있다. 층수가 9층으로 높지 않다. 상계주공에서만 볼 수 있는 형태이다. 2단지 201동,202동 2개 3단지 301동,302동 2개 4단지 401동,402동 6단지 601동,602동 2개[28] 14,19단지에 있다. 입구는 U자형과 같이 반원 모양이다. 1407동만 제외하면 모두 W형태를 띈다. 14단지 1407동~1409동 3개 19단지 1909동~1912동 4개[29] 19단지에만 있다. 상계주공에서만 볼 수 있는 형태이다. 1906동~1908동 3개[30] 최초의 고층주공아파트인 잠실주공5단지를 비롯하여 상계주공 이전의 고층주공아파트에서는 웬만하면 한동씩은 있었던 형태이다.[31] 10단지에만 있다. 일부 동은 아파트 입구 위에 베란다가 있는특이한 구조를 띈다. 1016동~2024동 9개[32] 1,2,3,14,18단지에 있다. 여기는 입구 위에 베란다가 있지 않으며 입구는 한쪽에만 있다. 1단지 107동,114동 2개, 2단지 216동 1개, 3단지 307동~309동 3개, 14단지 1412동~1414동,1416동,1417동 5개, 18단지 1807동,1811동,1812동 3개[33] 1,2,3,14,18단지에 있으며 2중평형B 구조에서 입구가 양쪽으로 있는 형태이다. 1단지 108동~113동 6개, 2단지 215동,217동 2개 3단지 310동,311동 2개, 14단지 1410동,1411동,1415동,1418동,1419동 5개, 18단지 1808동~1810동,1813동 4개[34] 2단지에만 있다. 211동,212동은 입구가 옆쪽으로 있으며 양방향으로 통행이 가능하고 213동,214동은 앞쪽에 입구가 있으며 앞쪽으로만 통행이 가능하다. 양끝으로는 4층으로 되어있다. 211동~214동 4개[35] 4단지 412동[36]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상계주공19단지 32평형이 이렇다.[37] 14단지, 19단지 35평형. 현관이 2개인 형태와 1개인 형태 두종류가 있다. 평면은 같다.[38] 도심지 재개발로 철거민들이 모인 곳은 현재 상계주공아파트가 들어선 마들평야(당연히 평야니 주택이 거의 없었다.) 보다는 현재의 상계역에서 당고개역사이의 주택가였다. 이들지역도 상계주공 개발 당시 조합아파트 등 아파트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원주민 반발이 큰 곳도 그곳이다. 당시 노원역 부근 마들평야가 어떠했는지는 노원역 문서 참고. 참고로 상계 신시가지 구역은 주공아파트가 들어선 구역만은 아니다.[39] 이와는 별도로 창동주공 1,2,3,4단지가 따로 있다. 과거 저 지역은 도봉구-노원구 행정구역 변경이 잦았던 지역이다.[40] 후술하겠지만 일대 아파트 중 유일한 조립식 주택인 탓에 연한 30년에 상관없이 재건축 결정이 났다. 재건축 이전에도 외벽에 금이 가는 등 이웃 주공단지에 비해 상황이 나빴다.[41] 상계주공아파트는 특히나 주차장 문제가 꽤나 심각한 편으로, 자가용 소유 가구가 적던 80년대 사정에 맞게 설계되어 주차하기도 어렵고, 주차 자리도 적다. 덕분에 밤에는 근처 도로에 주차된 차들이 많아 근처의 4차선 도로들의 2차로는 거의 주차장이나 다름없다.[42] 철거[43] 102번, 105번, 146번, 1137번[44] 지번이 상계동 634로 같다. 이는 대지권을 두 단지가 공유하고 있다는 의미이다.[45] 분당 공무원아파트 분양 팜플렛에서 상계지구 아파트가 나오는데 16단지와 세대 수가 동일하다.[46] 용적률은 낮지만 큰 함정이 있는게, 5층짜리 저층아파트가 깔고 있는 자리는 용적율 100%도 안될 정도로 한산하며 평수도 26, 30평으로 상계주공치고 큰 편에, 단지 중앙에는 용적률에 안 들어가는 구청 소유 공원까지 있어서, 좀 낡은 것을 제외한다면 면적도 적당하고 주차문제도 없어 재건축 의지가 거의 없다. 반면에 15층짜리 있는 곳은 200%에 육박하는 용적율에 13~24평으로 이루어져 호수밀도가 높다. 이론상 같은 단지 같은 대지권 공유라 니 땅 내 땅 따로 없지만 이 두 지역(창동 30,31)간의 재건축 의지가 극과 극이기 때문에 사업 진행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월계시영아파트가 20년 가까이 재건축 유망주로 부동산가에서 유명한 것과는 달리 창동 18단지 이야기는 별로 없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