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4:19:51

샤른호스트(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1. 개요2. 성능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4. 평가5. 템페스트 모드6. 여담

1. 개요


왜? 이제 내가 좀 무섭나?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샤른호스트. 2024년 5월 28일 템페스트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시나리오 전용 캐릭터로 선행 등장했다. 성우는 김혜성. 원작보다 붉은 브릿지 비중이 훨씬 많이 늘어난 것이 특징.

이후 6월 25일에 플레이어블 암속성 전설 참격 캐릭터로 추가되었다. 창모에서 최초로 아수라파천무를 초필살기로 사용하는 캐릭터. 전용 무기는 팬드래건 왕국의 삼신기 스톰블링거.

그리고 2024년 9월 24일 업데이트를 통해 서풍의 광시곡 시절, 즉 제피르 팰컨의 군사로서의 모습으로도 참전하게 되었다. 암속성 참격 캐릭터인 샤른과는 달리 이쪽은 녹속 마법사로 추가되었으며, 상세 사항은 클라우제비츠 팬드래건 문서를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성능

기본 직업은 파이터. 티어2에 전용 클래스인 '나이트워커'가 있으며, 티어 3 클래스는 소드마스터/다크프린스응?/조커. 초필살기로는 드디어 만인이 고대하던 창세기전을 대표하는 기술 아수라파천무를 들고 왔다.

고유 패시브는 '왕자의 이중생활'. 행동 종료시 주위 2칸 내에 다른 아군이 없다면 턴 당 1회 한정으로 선제공격, TP 제거 면역, 치명타 확률 10~30%를 제공하고 전투 공격 시 TP 1을 훔치는 해제 불가 버프 '왕자의 이중 생활' 버프를 얻는다. 또한 적을 공격해 처치했을 경우, 턴 당 1회 한정으로 체력이 일정 이하라면 추가 행동, 일정 이상이라면 추가 이동을 얻는다. 샤른호스트는 후술할 무극진광섬 때문에 체력이 낮게 유지되는 편이라 추가 행동 조건을 만족하기 쉽고, TP 약탈은 일종의 페이백 같은 기능이라 이래저래 매우 쓸만한 패시브.

티어 3 클래스의 경우 공증이 높은 소드마스터, 공방의 밸런스가 좋은 다크프린스, 단독 행동 암살 지향의 조커의 셋이 있다.
  • 1순위 추천 클래스는 다크프린스. 공방의 밸런스가 좋은건 그렇다치고 본작 최고의 뎀딜기 중 하나인 전용기 무극진광섬을 익히기 때문이다. 패시브인 어둠의 후예는 전투시 공격력이 최대 40% 상승하고 피감 25%를 제공하며, 치명타 발동시 범위 공격 피해를 무시하는 '어둠 장막' 버프를 3중첩까지 부여한다. 다른 클래스들에 비하면 방어 성능이 훌륭한 편.
  • 소드마스터의 경우 패시브인 검술의 달인은 공격력 상승이 우수한데 피회복까지 있어 밸런스가 좋다. 습득 스킬인 공아섬은 치확을 30% 상승시킨 상태에서 배율 170%의 공격을 날리는 단일기로 이후 2턴간 기본 공격시 공격력 30%의 피해를 주는 추가타가 발동하는 버프 '질풍'이 붙는 등 성능이 뛰어난 편.
  • 조커는 또다른 전용 클래스로 나이트워커 - 조커의 전용 트리를 타며, 전용기인 비영투혼과 인지니어스를 습득한다. 나이트워커와 조커 모두 다른 직업들보다 이동거리가 1칸 더 긴 것도 특징. 패시브인 '비장의 기술'은 이동 시 적의 존재를 무시하고 통과해서 이동하며 주위 2칸 내에 아군이 없다면 공격력이 최대 50% 상승하고 반격 피해를 최대 50% 절감해서 받으며, 적이 공격해올 때도 턴당 1회 한정으로 해당 피해를 최대 50% 절감해서 받는다. 액티브인 인지니어스가 사기적인데다가 직업 패시브와 고유 패시브의 궁합이 절묘하며 이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보통 종결 클래스로 추천된다. 다만 무극진광섬이 워낙 강력하기 때문에 다크프린스를 찍고 이쪽 루트를 타는 것이 편하다.

전용기는 나이트워커에서 배우는 비영투혼, 다크프린스에서 배우는 무극진광섬, 조커에서 배우는 인지니어스가 있다.
  • 비영투혼은 방향을 지정해 전방 4칸 내의 적들에게 공격력의 80% 배율로 피해를 주면서 가장 멀리 떨어진 빈칸까지 적을 뚫고 이동하는 혼 계통 스킬이다. 이에 더해 피격당한 적들에게 받피증 10%에 치명타를 받을 확률이 10% 증가하는 디버프 '약점 노출'을 2턴간 부여하며, 치명타가 터졌을 경우 추가로 부여한다. 성능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후술할 무극진광섬과 인지니어스에 질주에 밀려서 기믹 풀이할 때에나 활용되는 편.
  • 무극진광섬은 아수라파천무를 능가하는 샤른호스트의 초 주력기로, 먼저 보유하고 있는 TP를 전부 소모한 다음 소모한 TP 1당 10% 만큼 치확을 증가시키고, 공격력 120%에 소모된 TP 당 총 체력의 10% 만큼을 추가한 수치[1]로 방어력 무시 피해를 준 다음 그만큼의 체력을 잃는 초 하이 리스크 초 하이 리턴 단일 폭딜기이다. 치명타 피해가 터지지 않는 패시브를 가진 발키리 캐릭터[2]나 부활기를 가진 캐릭터[3]를 제외한 대부분의 캐릭터를 한 방에 보내는 즉사기. 심지어 쿨타임도 2턴으로 연섬이나 단월섬과 같아서 샤른은 2턴에 한번씩 무극으로 적 캐릭터 하나를 삭제시킨다. 게다가 무극진광섬을 스테이지 첫 턴에 사용할 경우 TP가 3이므로 30%의 HP가 깎이게 되는데, 6각 샤른호스트의 추가행동 발생 체력 조건이 딱 70%이므로 시작하자마자 무극진광섬으로 적 하나를 삭제하면 바로 추가 행동을 얻을 수 있게 된다.
  • 인지니어스는 왕국 검법과 제국 검법을 모두 마스터했다는 설정을 살린 스킬로, 무작위 검/대검 공격 스킬 중 3개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이다. 쿨타임은 사용 스킬을 따르며, 선택되는 스킬은 스테이지마다 무작위로 선정되며 한 번 사용하면 다시 무작위로 선택된다. 샤른호스트 이후에 추가된 캐릭터의 기술도 대상에 추가된다.
    랜덤성이 강하긴 하지만 기술폭이 창모에 존재하는 검/대검 스킬 수 만큼 엄청나게 늘어나기 때문에 채용 가치가 높은 스킬. 아이스의 설화난격이나 흑태자의 암명연살검이 뜨면 땡잡았다는 생각이 든다. PVP에서는 상대방의 샤른호스트가 인지니어스를 채용하고 있을 경우 어떤 기술이 튀어나올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공격 측을 경계하게 만들 수 있어서 방어덱을 짤 때 전략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인지니어스가 없어도 샤른은 최우선 경계대상 중 하나지만 다만 랜덤성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겐 적합하지 않아서 단월섬 등을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초필살기인 아수라파천무는 주변 3바퀴 내의 적들에게 공격력의 140% 배율 피해를 입히는 광역기로, 사용 전에 남은 체력의 50%를 잃고 치명타 피해량이 최대 40% 증가한다. 암흑혈이 없기 때문에 아수라를 힘으로 제압해 사용한다는 기존의 설정이 충실히 구현된 부분. 발동 시 공격 범위가 다른 초필살기보다 월등히 넓은 것은 장점이지만 깡 배율 자체는 천지파열무와 같고, 아수라파천무의 공격 속성은 어째서인지 타격 속성이라 탱커 계열의 헤비 아머에게는 +25% 보너스를 얻지만 대부분의 적들이 미디움 계열 아머를 입는 본작에서는 많은 경우 -25% 대미지 페널티가 들어간다. 덕택에 충분히 강한 기술임에도 그 위명에 비하면 체감상 데미지는 약한 느낌. 다만 샤른호스트는 무극진광섬 쓰기 바쁘기 때문에 쓸 일이 자주 있지는 않다.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

전용 무기는 스톰블링거. 공격력과 치명타 확률을 올려주고, 전투 공격으로 치명타가 발생했는데 적이 살아있다면 적에게 공격력의 25~50%만큼 추가 전격 피해를 가하며 1턴간 감전을 부여한다. 또한 샤른호스트 전용 효과로 피해를 받아서 체력이 50% 이하로 내려간 경우 2턴간 공격력 비례 보호막을 부여한다. 쿨타임은 명함은 4턴, 5성부터 3턴. 무극진광섬으로 체력이 걸레짝이 나기 일쑤인 샤른에게는 감전 디버프를 통한 반격 차단과 보호막 모두 안성맞춤인 옵션이다.

방어구의 경우 전설 템은 치뎀과 치확을 올려주는 크로우 복장 모티프인 까마귀 세트가 추천된다. 치확을 충분히 확보한 경우 공격력과 치뎀을 올려주는 스승님 복장 모티프인 살수 세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영웅 템은 마찬가지로 치확과 치뎀을 올려주는 암살자 세트를 사용하거나 암살자2로 치확을 확보하고 협객2로 공격력을 확보해도 된다.

악세사리는 딜의 고점을 노린다면 화살촉, 공격력과 생존을 모두 챙기려면 고대 영웅의 반지가 추천된다. 영웅급에서는 상처 악화의 부적이 적절.

2턴에 1번씩 사용하는 무극진광섬이 방어력 무시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물리관통 효과의 필요성이 낮고, 따라서 전투시 공격력 증가와 물리관통 효과가 있는 낭천 복장 모티브인 일기당천 세트나 늑대 송곳니 악세사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4. 평가

본작 최고의 단일 폭딜러.

혼자 아군 진형에서 동떨어져서 적을 무시하고 이동해 타겟을 끔살해버리는 암살자처럼 굴리게 되는데, 다크 프린스에서 무극진광섬을 배운 후 조커 클래스로 전직하여 이를 사용할 경우 넓은 이동거리와 강력한 방어력 무시 대미지, 높은 치명타 확률이 합쳐진 사기 캐릭터가 된다. 특히 용자의 무덤(50층까지. 11, 20층 제외)을 공략할 때는 필수적인 캐릭터로, 극딜 세팅을 한 뒤 메디치, 랜담의 이동거리/공격력 버프, 힐러의 공격력 버프를 받은 뒤 리나의 리콜로 공략 대상 적 근처까지 이동해 무극진광섬으로 공략 대상을 핀포인트 암살해버리는게 추천 공략법으로 꼽히곤 한다. 어떤 덱에서든 1인분 이상을 톡톡하게 해내는 캐릭터.

25년 초 1주년 기념으로 흑태자가 출시되면서 약간 빛이 바랬지만, 그래도 단일 대상 폭딜은 샤른이 근소하게 앞서는 부분이 있다. 게다가 인지니어스의 대상엔 샤른 이후 추가되는 캐릭터들의 전용기도 포함되기 때문에 신캐가 추가될 때마다 간접 상향을 받는다는 농담이 나올 정도라 미래도 밝다. 확보해두면 절대 손해볼 일은 없는 캐릭터.

5. 템페스트 모드

원작처럼 연애 & 육성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모드. 원작에선 글자로만 나왔던 부분을 성우가 직접 말한다(단, 훈련 등에서는 목소리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여성 측도 NPC 같은 단편적인 대사만 돌려서 나온다). 원작 성우와 달리 밝은 목소리라 원작 팬은 적응을 못하는 중이나 창세기전 4 때보다도 더 나이가 찬 원작 성우를 기용하기엔 부담스러을 듯.[4]

원작과 달리 이번엔 여성진을 개별 공략 및 육성하는 방식인데(드디어 엘리 공략 가능), 샤른호스트는 전혀 참전하지 않고 육성 때 하던 대사(오호, 멋진데)도 없이 공략 대상 혼자 왔다갔다 하는 모습만 나온다. 브레드포트 축하연에서 코델리아를 제외한 여자들과 키스하는 것으로 끝.

6. 여담

  • 할로윈 기념으로 악마 뿔 코스튬이 나왔는데 심심하지만 나름 잘 어울리는 편.
  • 무극진광섬은 서풍의 광시곡에서 샤른호스트의 사용불가 필살기인 무극진광상을 구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무극'이 붙은 것 때문에 세라프 탑승시의 초필살기인 무극파라십삼익과 관련이 있는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지만, 본작엔 잡졸도 난사해대는 혼 계열 일반기인 무극일섬혼에도 무극이 붙어 있어서 아마도 아닐 것이다.


[1] 샤른호스트의 체력이 1000이고, TP 2로 무극진광섬을 썼다면 200이 데미지에 추가된다는 뜻이다. 요컨대 일종의 체력 비례 데미지가 추가된다는 것.[2] 사라 란드그리드, 메이 노틸런, 죠안 카트라이트[3] 크로우, 칼스 브란트, 에리히 슐츠, 카메오 보포트, 모르가이나 쉴렌, 3차 전직으로 메이터 클래스로 전직한 일부 힐러들 등[4] 원작 성우의 기용에 따르는 비용을 차치하더라도 현역이라고 볼 수는 없는 연령대고 일부는 은퇴하거나, 고인이 된 상태다. 애초에 창세기전 시리즈를 잘 아는 사람들도 30대 이상이지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