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3 00:03:34

서용보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14대

심환지
제215대

이시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서매수
제218대

이병모
제219대

김재찬
제220대

서용보
제221대

한용구
제222대

김재찬
제223대

남공철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심상규
제226대

이상황
제227대

조인영
제228대

권돈인
제229대

정원용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9대

정원용
제230대

조인영
제231대

권돈인
제232대

김흥근
제233대

김좌근
제234대

정원용
제235대

김좌근
제236대

정원용
제237대

김좌근
}}}
제237대

김좌근
제238대

조두순
제239대

이경재
제240대

김병학
제241대

정원용
제242대

김병학
제243대

홍순목
제244대

이유원
제245대

이최응
제246대

서당보
제247대

홍순목
제248대

김병국
제249대

심순택
제250대

김병시
제251대

김홍집
}}}}}}}}}
서용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3·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박종훈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김홍근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조두순
제338대

박회수
제339대

조두순
제340대

이유원
제341대

김병학
제342대

강로
제343대

이최응
제344·345대

김병국
제346대

송근수
제347대

김병국
제348대

김홍집
제349대

김병시
제350대

김홍집
제351대

김병시
제352대

김홍집
제353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노론
老論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인
숙종
(1674 ~ 1720)
산당 한당
송시열 김수흥 민정중 김수항 김육
민유중 김만기 이세백 김만중 김우명
권상하 이여 이이명 민진원 김석주
경종
(1720 ~ 1724)
김창집 민진원 이건명 이이명 정호
조태채 김용택 윤지술
영조
(1724 ~ 1776)
준론 완론
낙당 화당 탕평론
정호 민진원 이병상 정언섭 홍치중
이관명 조관빈 이의현 원경하 홍계희
반탕평론 의리탕평론 조제탕평론
남당 동당 중당 북당
김상로 이천보 유척기 정휘량 홍봉한
홍계희 원경하 신만 홍인한
공홍론
남당, 청명당
양척론
동당, 중당
부홍론
북당
김상로 김귀주 유척기 정휘량 홍봉한
김치인 김종수 송명흠 김상복 홍인한
정조 - 순조 초기
(1776 ~ 1806)
벽파
(청명당)
북학파 시파
(탕평당)
김종수 심환지 홍대용 서매수 한용구
김귀주 김관주 박지원 남공철 정민시
서용보 김달순 김조순 이조원
순조 초기 - 철종
(1807 ~ 1851)
반척신파
(청명당)
척신파
(안동 김씨)
김노경 김정희 김조순 김유근 김좌근
조인영 권돈인 김홍근 김흥근 정원용
이지연 김로 김병국 김병학 홍직필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익헌공(翼獻公)
서용보
徐龍輔
출생 1757년(영조 33)
사망 1824년(순조 24)
재임기간 제220대 영의정
1819년 2월 19일 ~ 1820년 7월 24일
(음력 순조 19년 1월 25일 ~ 순조 20년 6월 15일)
시호 익헌(翼獻)
본관 대구 서씨[1]
여중(汝中)
심재(心齋)
붕당 노론 (청명당, 벽파)
부모 부친 - 서유령(徐有寧)
모친 - 진천 송씨 송의손(宋宜孫)의 딸
부인 반남 박씨 박지원(朴志源)의 딸
자녀 (양자) - 서대순(徐戴淳)[2]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문신.

고조부정성왕후의 아버지인 달성부원군 서종제이다.

2. 생애

영조 말기 1774년에 문과에 급제해서[3] 정조, 순조시대에 주로 활동했다. 대사헌, 전라도관찰사, 경기도관찰사, 이조판서, 우의정, 영의정을 역임했다. 1819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1년 만에 병으로 사직하고 4년 뒤에 사망하였다.

최연소 우의정이었던 이덕형에는 못 미치지만 이쪽도 승진이 빨라서 44세에 우의정에 올랐다. 다만 후술하는 아버지 문제로 고향에 칩거해 있다가 영의정을 한참 늦게 달았고 이것 때문에 공백기간이 길어서 능력의 한계를 느끼고 사임하였다.

3. 여담

  • 정조 초기에 정약용과 같이 일했는데, 1794년 경기도 관찰사 시절에 정약용이 암행어사로 가서 서용보의 비리를 고발하는 바람에 파직되어 사이가 틀어졌다는 썰이 있다. 실제로 1794년에 관찰사에서 물러난건 사실인데 실록에는 왜 물러났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다. 업무 보고가 늦어서 문책 받은 기록은 남아있는데 시점상 정약용이 암행어사로 파견되기 몇달 전 이야기다.

[1] 전첨공(典籤公) 경수(景需)파 22세 보(輔) 항렬[2] 동생 서응보(徐應輔)의 아들[3] 당시 한국나이로 18에 과거 시험에서 소과와 대과를 1년만에 급제했다는 기록이 있다.[4] 암행어사 중에 정약용이 끼어 있다.[5] 정확히 따지면 서용보의 양아들이자 서응보의 친아들인 서대순의 손자가 서광범이므로, 서응보가 친증조부이겠지만 어쨌든 족보상으론 서용보가 증조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