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0:10:39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한국철도공사 열차번호 · 기타 수도권 광역전철 열차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여섯 자릿수)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파일:김포골드라인SRS 로고.svg
파일:GreatTraineXpress.svg 파일:의정부경전철 로고.svg 파일:용인경량전철 로고.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1000호대
(상세)
초저항
3000호대 341000호대
(상세)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21000호대 331000호대 351000호대 361000호대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371000호대 391000호대 1000호대 2000호대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파일:ULine_icon.svg 파일:EverLine_icon.svg 파일:GoldLine_icon.svg
D000호대 U100호대 Y100호대 1000호대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A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파일:DILine_icon.svg
1000호대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차번 미정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파일:현대로템 CI.svg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차 (EMU/DMU/PP)
🚄 고속열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라](34개 편성 한정) 한국철도공사 110000·120000·14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130000호대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EMU-250 한국철도공사 16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EMU-32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용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HSR-350X운행 불가 HEMU-430X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연구·개발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MU-370 EMU-400
}}}}}}}}} ||
[[대한민국의 일반철도| 🚅 {{{#000000 간선형·준고속형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MU-18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수도권 전철 한국철도공사 XXX000호대 전동차
(GTX-C)수도권 전철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EMU-15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EMU-150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4차분수도권 전철 우크라이나 HRCS2
}}}}}}}}} ||
🚆 디젤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DEC[퇴역][대우] NDC[퇴역]-[대우]-
DHC-PP[퇴역][대우][현대][한진] 경복호[대우]
한국철도공사 9500호대 디젤동차[퇴역][대우] 한국철도공사 9000호대 디젤동차[퇴역][대우](CDC 제작 한정)
수출차량 보기
}}}}}}}}} ||
🚇 통근형·근교형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한국철도공사(형태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9900호대 전동차(환승 불가능)[퇴역][대우] 1000호대 저항제어 2~8차분(상세)[퇴역][대우][한진][현공]
1세대 납작이[대우][한진][현공] 일산선 전용 1세대(상세)[퇴역][현공]
2세대 동작이·동글이 3세대 뱀눈이·삼눈이 4세대 주둥이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서울교통공사(세대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0호대 저항제어 2~4차분[대우][현공]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1~8차분
[퇴역][대우][한진][현공]
2000·3000·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1~5차분[퇴역][대우][한진]
1000·4000호대
VVVF 1세대
(상세)[대우][현공]
5000·7000·8000호대
VVVF 1세대
[현공][대우]
6000·7000·8000호대 VVVF 2세대[현공][한진] 2000·3000호대 VVVF 2세대
9000호대 3~4차분 5000호대 VVVF 3세대 2000·4000호대 VVVF 3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수도권 전철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항철도 1000호대(환승 불가능)
공항철도 2000호대 1~3차분 메트로9호선 9000호대 1~2차분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대우], 2차분 네오트랜스 D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0호대 1세대(1~7차분)(상세)[한진][현공] 1000호대 2세대(8~10차분)
2000호대 1차분[한진], 2차분 3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광역시 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한진]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제작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 표준형 전동차 AUT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출용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SEPTA Silverliner V 싱가포르 J151형 타이완 EMU600
타이완 EMU900 홍콩 정관오선·뚱충선
미쓰비시 합작 EMU
홍콩 동철선 EMU
그 외 수출 차량보기
}}}}}}}}} ||
🚊경전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제차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김포골드라인 1000호대
동북선 DL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자기부상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코비 (UTM-0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가선 저상 트램 수소전기 트램 보기 수출차량 보기
}}}}}}}}} ||
🚂 기관차 견인 (Locomotive/Passenger Cars/Generator Cars)
⚙️ 기관차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디젤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기관차[라][퇴역][현공]
한국철도공사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라][현공]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라]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기관차[라] BR(방글라데시 철도청) 디젤기관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전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기관차[라][대우]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기관차[라][대우]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기관차[라](73량 한정)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기관차
TCDD(터키 철도청) 전기기관차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전기기관차
}}}}}}}}} ||
💺 객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국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대우][현대] 무궁화호 격하 특실 [대우]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한진][현공]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대우][한진]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개조 새마을호 객차 (객차형 ITX-새마을)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해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LA 메트로링크 2층 운전객차 그 외 수출차량 보기
}}}}}}}}} ||
⚡️ 발전차 (문서 이동)
[라]: 라이센스 제작
[퇴역]: 전량 퇴역
[현공]: 현대정공 제작
[대우]: 대우중공업 제작
[한진]: 한진중공업 제작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Shinbundang Line D000 Series EMU
}}}
파일:Shinbundang_Line_D104.jpg
D04편성
파일:8c66519eae416d6bb771fa527c2fc464.jpg
D01편성 (도입 초창기)[1][2]
파일:신분당선_D000호대_전동차_내부.png
열차 내부 (도입 초창기 모습)
파일:d003.jpg
열차 선두칸 내부[3]
차량 정보
<colcolor=#d31145>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량수 6량 1편성
생산량수 138량 (총 23편성)
운행 노선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도입년도 2010 ~ 2011년 (1차분)
2014 ~ 2015년 (2차분)
2020년 (3차분)
제작사 현대로템
소유기관 신분당선(주)(D01~D12편성)
경기철도(D13~D20편성)
새서울철도(D21~D23편성)
운영기관 네오트랜스
차량기지 광교차량사업소
편성번호 D01 ~ D23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d31145> 전장 19,500㎜
전폭 3,020㎜[4]
전고 3,600㎜
궤간 1,435㎜
대차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
팬터그래프 유진기공 EC-YP165G
차상신호장치 Thales Seltrac RF-CBTC Moving Block
US&S[5] ATC[6]
제어방식 현대로템 VVVF-IGBT(IPM)[M]
동력장치 3상 교류 유도전동기
제동방식 공기제동, 회생제동
최고속도 영업 90㎞/h[8][9]
설계 120㎞/h
가속도 3.5㎞/h/s[10]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3M 3T (Tc-M'-M'-T-M'Tc) }}}}}}}}}
1. 개요2. 편성3. 상세4. 분류
4.1. 1차분 (2010~2011)4.2. 2차분 (2014~2015)4.3. 3차분 (2020)
5. 미디어 출연6. 기타

[clearfix]

1. 개요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신분당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로, 2013년까지 분당차량사업소에 12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광교차량사업소에 모든 신분당선 열차 23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분당기지 시절에는 분당선 미금역연결선로를 통해 입출고했으며 이 노선에서 운행할 신차는 그곳을 통해 끌고 들어온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무인으로 운행하는 중전철 차량이다.

2. 편성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조성
신사 방면
D1##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D2## (2)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D3## (3)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D4## (4) T(무동력객차)
D7## (5)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D0## (6)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광교 방면
  • 8량화에 대비해서 중간에 번호가 비어있다.
    • D5##(T)
    • D6##(M')

3. 상세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에서 최초로 운행하는 무인 자동운전 전동차이다. 전국 최초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지만 중전철 중에서는 신분당선이 최초이다. 6량 1편성으로, 8량으로의 증결이 가능하지만 신분당선 정자역 이남 구간과 강남역 이북 구간이 6량 대응 승강장으로 건설되어 있고, 그 사이 구간도 스크린도어가 6량 기준으로 건설되어 8량 증결을 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통근형 전동차 최초로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적용하였고, 향상된 TCMS, 플러그인 도어를 탑재하는 등 AUTS의 신기술 중 일부를 시범적으로 채택한 차량이다. 플러그인 도어 역시 통근형 전동차 중 최초이다.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와 경춘선 ITX-청춘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도 플러그인 도어방식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 둘은 일반 여객열차방식의 좌석이 채택되어 통근형 전동차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렇듯 많은 기술적인 부분에서 한국형 표준 전동차에서 AUTS로 넘어가는 과도기를 상징하는 차량이다.

1차분인 D01~D12편성까지는 할로겐 전조등을, 2차분인 D13편성부터는 LED 전조등을 채택하였으며, 1차분 차량도 중검수 후 모두 LED 전조등으로 교체되었다. 3차분의 경우 처음부터 LED 전조등을 채택하였다.

D07, D13편성에는 선로 검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며, 차량 간 문이 없어서 개방감이 높다.

운전실이 없는 무인운전이기 때문에 앞부분에서 터널 조망이 가능하다. 영업 시 후미 차량도 전조등을 켜고 다닌다.

3차분 차량은 CEM 장치를 장착하고 출고되었다. 이로 인해 전면부 디자인이 아주 약간 변경되었다.[11]
파일:신분당선1차분신사연장노선도.jpg 파일:신분당선신사2차분.jpg
<rowcolor=white> 1차분 차량의 차내 LED 노선도[12] 2차분 이후 차량의 차내 LCD 노선도
열차 내 노선도는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의 LED 방식을 여기서도 적용하고 있다. 안내 화면에는 현재 질주하는 열차의 속도와 다음 역까지의 남은 거리가 표시되어 나온다.

신분당선 1차분의 LED는 용산 연장을 적용한 LED 방식으로 전환되었고, 신분당선 2차분 이후 차량부터는 LED 전자노선도 대신 LCD 노선도를 채용하였다. 서울 지하철 9호선에 적용된 LCD 방식과 똑같다고 볼 수 있다.

경전철을 제외하고 국내 최초로 숫자가 아닌 문자로 편성 번호를 매긴 전동차이자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한 몇 안 되는 전동차다.[13]

4.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3차로 분류된다.
  • IPM이 적용된 IGBT는 초록색 배경이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d31145><colcolor=white> 1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10~2011년 (12편성)
2차분 2014~2015년 (8편성)
3차분 2020년 (3편성)

4.1. 1차분 (2010~2011)

파일:Shinbundang_Line_D104.jpg
D04편성

신분당선주식회사 소유이며, 1차 구간인 강남역~정자역 개통에 따라 도입된 차량이다.

2010년 4월 11일부터 2011년 1월 22일까지 반입되었는데, 신창원역을 출발해 영등포역에서 정차 후 안산역까지 갑종회송되었다. 이후, 충무로역 연결선로를 통해 수서역까지 이동 후 수서차량사업소의 연결선로를 통해 당시 임시 차량기지인 분당차량사업소까지 이송했다. 수서차량사업소의 연결선로는 2012년 6월 17일 분당선 351F40편성의 반입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다가 SRT 건설로 인해 철거되었다.

4.2. 2차분 (2014~2015)

파일:98b267f419edc7c661b88ef9c1c695ec.jpg
<rowcolor=#fff> D13편성
파일:20240729_204728.jpg
<rowcolor=#fff> 내부 모습

경기철도주식회사 소유이며, 2차 구간인 정자역~광교역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2014년 9월 22일부터 2015년 5월 7일까지 반입되었다. 1차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반입되었는데, D13~D14편성은 2014년 9월 22일10월 31일 도입 당시 광교역까지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연결선로 이용이 불가능하여 신창원역에서 의왕역까지 갑종회송했고, 동군포IC에서 영동고속도로로 이동 후 동수원IC에서 광교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을종회송하여 광교기지로 입고하였고, D15~D20편성은 2015년 3월 19일부터 5월 7일까지 신창원역을 출발해 왕십리역까지 갑종회송되어 정자역 연결선로를 통해 광교기지까지 이송했다.

4.3. 3차분 (2020)

파일:다운로드-51.jpg
<rowcolor=#fff> D22편성

새서울철도주식회사 소유이며, 3차 구간인 강남역~신사역 개통에 도입된 차량이다.

신분당선 열차 최초로 CEM 공법을 적용한 전동차이며, 전두부 이외의 사양은 2차분과 거의 동일하다.

2022년 5월 23일, D22편성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3차분의 영업운행이 시작되었다.

2017년 이후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등의 타 기관에서 발주한 전동차들이 7인석에서 6인석으로 변경된 것과 다르게 기존의 사양인 7인석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17]
파일:신분당선_이번역_D23_R.jpg
LCD 모니터
이 편성은 LCD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고, LCD에서 커다랗게 이번 역을 보여주는 화면이 추가되었다.
<rowcolor=white> 편성 대불선 시운전 목적의 이동 광교기지 반입 운행개시일
<colcolor=#d31145> D21 2020년 7월 20일 2020년 11월 17일 2022년 5월 24일
D22 2020년 9월 9일 2020년 12월 1일 2022년 5월 23일
D23 미진행 2020년 11월 22일 2022년 5월 25일

5. 미디어 출연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귀도퇴마사 22화에 나오는 별빛마을 지하철의 사용 차량으로 나오며 해당 에피소드에서 나온 귀신인 철륜귀의 모델이 된 차량이다. 단 실내나 출입문 형태 등에서는 실제 차량과 차이가 있으며, 철륜귀의 창문 부분은 일본205계 전동차와 유사하다.

오징어 게임 시즌 1에서도 양재시민의숲역과 함께 배경으로 등장한다.

6. 기타

파일:신분당선 초기 조감도.jpg
신분당선 전동차의 초기 조감도이다.
[1] 차량번호 수정 전[2] 옆면에DX Line 마크가 없다.[3] 좌측에 비상운전대가 숨어 있기 때문에 이 자리는 주로 승무원들이 서 있는 장소다.[4] 출입문 하부 발판 포함 시 3120mm, 참고자료: 신분당선전동차량소개자료, 신분당선 주식회사, 2009.04.06[5] 참고 자료: 영문 위키피디아 Union Switch & Signal,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문서, 도시철도 신호체계 및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PDF), 네이버 블로그[6] 분당선 연결선 이용 시 사용(분당선 연결선 이용 시에는 자동운전을 하지 않고, 기관사 1인이 수동운전), 관련 게시글, 출처: 다음 카페(Rail+ 철도동호회)[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8] 향후 120 증속떡밥이 있다.[9] 지상운행 시 110km/h, 참고자료: 신분당선전동차량소개자료, 신분당선 주식회사, 2009.04.06[10] 기동가속도로 35km/h까지 유지된다. 참고자료: 신분당선전동차량소개자료, 신분당선 주식회사, 2009.04.06[11]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12] 신사-강남 연장 이전에 촬영되었다.[13] 문자로 편성 번호를 매긴 다른 전동차는 각자 노선명의 약자나 앞글자를 따왔지만, 신분당선은 따로 유래가 알려진 바는 없다.[M] [M] [M] [17] 6인석이 된 이유는 시대가 달라지면서 한국인 평균 체형이 과거에 비해 커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