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12:38:34

영등포구 을

영등포 을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영등포구/정치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종로 중·성동 갑 중·성동 을 용산
곽상언 전현희 박성준 권영세
광진 갑 광진 을 동대문 갑 동대문 을
이정헌 고민정 안규백 장경태
중랑 갑 중랑 을 성북 갑 성북 을
서영교 박홍근 김영배 김남근
강북 갑 강북 을 도봉 갑 도봉 을
천준호 한민수 김재섭 오기형
노원 갑 노원 을 은평 갑 은평 을
우원식 김성환 박주민 김우영
서대문 갑 서대문 을 마포 갑 마포 을
김동아 김영호 조정훈 정청래
양천 갑 양천 을 강서 갑 강서 을
황희 이용선 강선우 진성준
강서 병 구로 갑 구로 을 금천
한정애 이인영 윤건영 최기상
영등포 갑 영등포 을 동작 갑 동작 을
채현일 김민석 김병기 나경원
관악 갑 관악 을 서초 갑 서초 을
박민규 정태호 조은희 신동욱
강남 갑 강남 을 강남 병 송파 갑
서명옥 박수민 고동진 박정훈
송파 을 송파 병 강동 갑 강동 을
배현진 남인순 진선미 이해식
선거 결과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영등포구 을
신길동[1], 대림동, 여의동
永登浦區 乙
Yeongdeungpo B
}}}
파일:국회선거구 영등포구 을.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57,482명[2]
상위 행정구역 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영등포구 일부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여의동
신설년도 1988년
이전 선거구 영등포구
국회의원
김민석


1. 개요

영등포구 동남부 지역과 여의도동을 담당하는 선거구이다. 현직 국회의원은 21대 총선에 당선되어 정확히 20년 만에 국회로 돌아왔고, 제49대 국무총리에 오른 김민석 국무총리이다.[3]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소재지인 여의도를 품고있는 선거구이다 보니 정치 1번지 종로구 선거구와 함께 높은 상징성을 띠는 선거구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과 각종 증권사들이 밀집한 여의도가 있으며, 부촌여의도동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초강세 지지를 바탕으로 선거가 펼쳐지는 특이점인 선거구. 그 여의도동의 보수정당 초강세가 나머지 지역에서 민주당이 우세한 영등포구 을을 총선 때마다 서울 최대의 접전지로 만든다.

아래 21대 총선 행정동별 득표율만 봐도 알 수 있는데, 김민석 후보가 여의도동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박용찬 후보를 12~18% 차로 넉넉히 이겼고 신길7동에서도 박 후보를 2.41% 차로 승리했는데 여의도동에서는 박 후보가 무려 32.9%p차로 김 후보를 압도했다.

그도 그럴 것이 여의도는 집값이 매우 비싸고 소득이 엄청나게 높은 부촌이다. 여의도는 고소득층, 자산가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반면에 신길동이나 대림동 등은 전형적인 서민 거주 동네로 분류되는 곳이니 이런 빈부격차에 따른 정치 대결은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볼 수 있겠다.

민주당 후보 입장에서는 양자 대결일 때 신길동과 대림동에서 높은 득표를 하지 못하면 여의도에서의 더블 스코어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실상 승리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4]

신길7동은 민주당 성향이 강한 동네들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이 꽤 나온다.[5] 이는 이 지역에 과거 해군본부[6]/공군본부[7]가 위치했었기 때문이다. 군인들이 오래 전부터 거주했고[8], 지금도 용산 국방부에 근무하는 현역 장교들이 이곳에서 출퇴근하고 있다.[9] 그나마 과거와 달리 군 내부도 민주당 강세가 과거보다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서 조금씩은 보수화 경향이 약해지는 추세이긴 하다.[10]

그럼에도 부촌인 여의도에서의 몰표, 신길뉴타운의 영향으로 인해 신길7동에서 약해져가던 보수성향을 상쇄해버리면서 경합지역이 유지되고 있다.[11]

여담으로 이 지역에서 당선된 나웅배, 김민석, 권영세 의원 등은 모두 중앙 정계에서 거물급 인사로 자리잡았다는 공통점이 있다.[12]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제6대 박한상

1963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

[[신민당(1967년)|
신민당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제9대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강병규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제13대 김명섭

1988년 5월 30일 ~ 1989년 5월 26일
나웅배 1989년 8월 19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 김민석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2년 5월 25일
권영세
[[한나라당|
한나라당
]]
2002년 8월 9일~ 2004년 5월 29일
제17대

[[한나라당|
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신경민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김민석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
2024년 5월 30일 ~ 현재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3.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3.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3.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3.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3.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3.6. 제7대 국회의원 선거

3.7. 제8대 국회의원 선거

3.8. 제9대 국회의원 선거

3.9.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명섭(金明燮) 31,888 1위


29.15% 당선
2 이원범(李元範) 31,423 2위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28.72% 낙선
3 이용희(李龍熙) 31,337 3위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
]]
28.64% 낙선
4 박상웅(朴相雄) 14,739 4위


13.47% 낙선
선거인 수 162,702 투표율
67.82%
투표 수 110,352
무효표 수 965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명섭13.jpg 파일:이원범13.jpg 파일:이용희13대.jpg 파일:박상웅13.jpg }}}}}}}}}
1위인 민주정의당 김명섭 당선자와 3위인 평화민주당 이용희 후보와의 격차가 551표에 불과할 정도로 1위~3위 후보끼리 치열한 승부가 펼쳐졌다. 선거 이후에도 진통은 계속되었는데, 2위 통일민주당 이원범 후보와 3위 이용희 후보가 선거무효소송을 제기했고 대법원이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리며 김명섭 의원의 당선이 무효화되었다.

이후 치러진 1989년 8월 재선거에서 대타로 출마한 민주정의당 나웅배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이 당선된다. 김명섭은 지역구를 영등포구 갑으로 옮겨 두 번 더 당선된다.

이웃한 관악구 을만큼은 아니지만 나중에 알고 보면 이곳도 당시 총선에서 나름 별들의 전쟁이었던 선거구다. 왜냐하면 저때 나왔던 후보들이 나중에 다 한번씩은 국회의원을 역임하게 되기 때문.[13]

3.10. 1989년 재보궐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나웅배(羅雄培) 45,187 1위


38.68% 당선
2 이용희(李龍熙) 35,089 2위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
]]
30.04% 낙선
3 이원범(李元範) 21,945 3위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18.78% 낙선
4 박상웅(朴相雄) 5,737 5위


4.91% 낙선
5 고영구(高泳耉) 8,340 4위


7.14% 낙선
6 김형주(金亨住) 528 6위


0.45% 낙선
선거인 수 168,812 투표율
69.82%
투표 수 117,870
무효표 수 1,044
별들의 전쟁 시즌 2. 저번 정규 선거의 낙선자들이 이번 선거에 고스란히 다 다시 나왔다. 하지만 또 낙선.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이용희 후보의 득표수·득표율은 많이 올랐으며, 오히려 이원범·박상웅 후보의 득표수·득표율이 다소 떨어졌다.

당시 코미디언 김형곤 씨가 재야 후보인 고영구[14]를 지지함으로써 '의식 있는 연예인'이라는 이미지를 얻기도 했다.

3.1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나웅배(羅雄培) 48,411 1위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41.18% 당선
2 김민석(金民錫) 48,151 2위


[[민주당(1991년)|
민주당
]]
40.95% 낙선
3 유중현(劉重鉉) 16,637 3위


14.15% 낙선
4 나덕주(羅德柱) 4,360 4위


3.70% 낙선
선거인 수 175,365 투표율
67.74%
투표 수 118,800
무효표 수 1,241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나웅배14대총선.png 파일:김민석1.jpg 파일:유중현14.jpg 파일:나덕주14.jpg }}}}}}}}}
노태우, 김영삼 정권 시절 경제부총리통일부장관을 역임한 나웅배 후보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회장과 전학련(전국학생연합)회장 출신 김민석 후보와의 맞대결이었는데 특히, 김민석 후보는 28세 나이에 첫 출마를 해서 김대중 당시 민주당 총재의 지원을 받았지만 단 260표 차이로 낙선을 했다. 김민석 의원에 따르면 당시 지역구 개표는 2천표 이겼는데 군부재자투표에서 약2200표정도 져서 뒤집혔다고. 낙선 이후 KBS 아나운서였던 김자영과 결혼과 동시에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3.1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영한(崔英漢) 33,020 2위


32.49% 낙선
2 김민석(金民錫) 49,657 1위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48.87% 당선
3 김인동(金寅東) 9,075 4위


8.93% 낙선
4 전홍기(田鴻基) 9,850 3위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9.69% 낙선
선거인 수 166,636 투표율
61.92%
투표 수 103,173
무효표 수 1,571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9a44><bgcolor=#009a44> 15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 결과 ||
정당 신한국당 새정치국민회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최영한 김민석
득표수
(득표율)
33,020
(32.39%)
49,657
(48.87%)
-16,637
(▼16.48)
166,636
(61.36%)
여의동 40.68% 34.20% △6.48 60.57
신길1동 31.04% 47.82% ▼16.78 61.37
신길4동 32.38% 49.83% ▼17.45 60.93
신길5동 32.03% 49.87% ▼17.84 58.39
신길6동 34.75% 47.00% ▼12.25 63.20
신길7동 33.28% 48.15% ▼14.87 60.32
대림1동 30.64% 51.60% ▼20.96 59.11
대림2동 28.51% 57.84% ▼29.33 65.38
대림3동 29.02% 53.56% ▼24.54 61.39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최불암선거벽보.png 파일:김민석2.jpg }}}}}}}}}
최불암이 이 기간 동안 전원일기에 출연을 중단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4년 전 260표차로 이 지역에서 낙선했던 김민석은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다시 서울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정계를 은퇴한 현역 나웅배 의원 대신 공천을 받은 탤런트 출신 신한국당 최영한(최불암) 의원을[15] 큰 표차로 꺾고 31세의 나이에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 당시 김민석은 유세 중 "유권자 여러분께서 저 김민석을 선택해주신다면 1등 국회의원과 1등 연기자를 동시에 살릴 수 있다"는 말을 하면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16] 제15대 국회의원 중에서 최연소 의원이었다.

3.1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병원(丁炳元) 24,207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28.99% 낙선
2 김민석(金民錫) 50,438 1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60.39% 당선
3 박상오(朴商五) 3,779 3위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4.53% 낙선
4 이중식(李重植) 2,373 5위


2.84% 낙선
5 권유신(權有信) 2,710 4위


3.25% 낙선
선거인 수 163,904 투표율
51.35%
투표 수 84,170
무효표 수 663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aa7b><bgcolor=#00aa7b> 16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병원 김민석
득표수
(득표율)
24,207
(28.99%)
50,438
(60.40%)
-26,231
(▼31.41)
84,170
(51.35%)
여의동 48.22% 43.64% △4.58 50.51
신길1동 30.39% 59.89% ▼29.50 49.71
신길4동 28.96% 60.81% ▼31.85 49.09
신길5동 24.60% 65.25% ▼40.65 49.77
신길6동 29.78% 58.28% ▼28.50 51.48
신길7동 30.33% 60.56% ▼30.23 52.10
대림1동 24.62% 58.99% ▼34.37 51.04
대림2동 20.74% 67.42% ▼46.68 47.83
대림3동 25.09% 65.17% ▼40.08 50.89
후보 정병원 김민석 격차
부재자투표 11.66% 80.12% ▼68.46
이 지역구에서 제15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정치신인 김민석이 이번엔 과반이상을 득표하며 여유있게 재선을 이루어낸다.

3.14. 2002년 재보궐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영세(權寧世) 20,976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54.91% 당선
2 장기표(張基杓) 14,419 2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37.74% 낙선
3 구자일(具滋一) 937 4위


2.45% 낙선
4 김형수(金亨洙) 1,464 3위


3.83% 낙선
5 박상오(朴商五) 406 5위


1.06% 낙선
선거인 수 161,244 투표율
23.98%
투표 수 38,667
무효표 수 465
현역 김민석 의원이 의원직을 사퇴하고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출마하면서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사법시험 합격 후 검사,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정치계에 입문한 한나라당 권영세 후보가 '마지막 재야'로 불리는 새천년민주당 장기표[17] 후보를 가볍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3.1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영세(權寧世) 41,432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43.39% 당선
2 박금자(朴錦子) 12,674 3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13.27% 낙선
3 김종구(金種求) 39,798 2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41.67% 낙선
4 이중식(李重植) 1,594 4위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1.67% 낙선
선거인 수 157,628 투표율
61.20%
투표 수 96,461
무효표 수 963
||<-8><tablealign=center><bgcolor=#0095da><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95da> 17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권영세 김종구
득표수
(득표율)
41,432
(43.39%)
39,798
(41.67%)
+1,634
(△1.72)
157,628
(61.20%)
여의동 66.36% 22.92% △43.44 67.44
신길1동 40.25% 44.45% ▼4.20 57.89
신길4동 41.92% 42.47% ▼0.55[18] 58.00
신길5동 35.53% 49.80% ▼14.27 56.33
신길6동 41.97% 44.22% ▼2.25 60.15
신길7동 46.04% 40.78% △5.26 63.29
대림1동 37.44% 46.35% ▼8.91 57.93
대림2동 32.26% 49.29% ▼17.03 56.13
대림3동 38.64% 46.77% ▼8.13 62.13
후보 권영세 김종구 격차
부재자투표 34.95% 34.63% △0.32[19]
열린우리당은 시사평론가 이재경 후보와 전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이었던 김종구 후보가 경선을 치러, 김종구 후보가 최종 후보로 결정되었다.

김종구 후보는 기업인 출신으로 시의회에서 활동하다가 16대 대선 노무현 후보 선대위 영등포을 총괄본부장을 지냈고, 정동영 당의장 후보 조직 특보를 맡으면서 정치적 입지를 넓혀왔다. 구의원, 시의원을 지내면서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한 점을 강조하며, 구태 정치를 새 시대에 맞게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후보는 원내에 진출하게 되면 엄격한 도시계획법을 적용하면 영등포의 많은 건축물이 불법 건축물이 되는 만큼 특별법을 제정해 이 문제를 풀 것이며, 주거형 뉴 타운과 역세권 개발에 힘쓰고, 영등포가 교통의 중심지인만큼 고속철을 반드시 들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천년민주당은 박금자 후보가 출마했다. 성폭력 위기센터를 본질적으로 정착시키는 등 사회운동 분야에 대한 공헌도가 높은 인물로, 지역을 위해 힘쓴 깨끗한 여성 정치인임을 강조했다. 여성단체 등에서도 당선운동 대상자로 밀어주고 있는 상황.

여론조사에서는 탄핵 역풍으로 김종구 후보가 압도적으로 앞서나갔으나, 점차 격차가 좁혀지더니 결국 개표 결과 권영세 후보가 1.7% 차이로 승리하였다.

김종구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승리했지만, 여의도동에서 6,451표 차이로 패하면서 고배를 마셔야 했다. 권영세 후보와 김종구 후보의 표 차이가 1,634표 차이에 불과했던 것을 감안할 때, 여의도동에서의 표차가 결정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1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경숙(李景淑) 26,603 2위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39.74% 낙선
2 권영세(權寧世) 38,537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57.57% 당선
6 김용승(金容勝) 1,804 3위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
]]
2.69% 낙선
선거인 수 158,263 투표율
42.88%
투표 수 67,860
무효표 수 916
||<-8><tablealign=center><bgcolor=#0095da,#0095da><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95DA,#0095DA> 18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이경숙 권영세
득표수
(득표율)
26,603
(39.74%)
38,537
(57.57%)
-11,934
(▽17.83)
158,263
(42.88%)
여의동 24.70% 74.10% ▽49.40 46.88
신길1동 43.18% 53.81% ▽10.63 40.20
신길4동 43.57% 53.22% ▽9.65 42.26
신길5동 45.47% 51.18% ▽5.71 39.19
신길6동 41.21% 55.44% ▽14.23 41.63
신길7동 37.08% 60.29% ▽23.21 44.39
대림1동 43.92% 52.67% ▽8.75 39.21
대림2동 47.02% 49.93% ▽2.91 39.43
대림3동 45.52% 51.93% ▽6.41 41.61
후보 이경숙 권영세 격차
부재자투표 31.12% 66.49% ▽35.37
한나라당에서는 현역 권영세 의원이 3선에 도전했으며, 통합민주당에서는 이경숙 의원이 출마했다.

이경숙 의원은 한국여성민우회 공동대표와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상임공동대표 등 여성운동계의 거물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5번)로 원내에 진출하였으며, 열린우리당의 대표격인 초대 공동의장을 지냈다.

원내에 진출해서는 여성 정년제 철폐, 남녀고용평등법, 성매매 방지법 제정운동, 호주제 폐지 대표 발의 등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했다. 남편은 열린우리당 최규성 의원. 헌정사상 최초로 17대 국회에서 부부 동반 당선으로 화제가 되었다. 선거 결과는 권영세 의원이 17.8% 차이로 크게 승리, 3선에 성공했다.

3.1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영세(權寧世) 40,950 2위


47.39% 낙선
2 신경민(辛京珉) 45,458 1위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52.61% 당선
선거인 수 156,689 투표율
55.57%
투표 수 87,071
무효표 수 663
||<-8><tablealign=center><bgcolor=#ffd400><tablebordercolor=#ffd400><tablebgcolor=#ffffff,#1c1d1f> 19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권영세 신경민
득표수
(득표율)
40,950
(47.39%)
45,458
(52.61%)
-4,508
(▽5.22)
87,071
(55.57%)
여의동[A] 63.75% 36.24% △27.51 61.30
신길1동 42.97% 57.02% ▼14.05 51.36
신길4동 43.95% 56.04% ▼12.09 54.01
신길5동 43.97% 56.02% ▼12.05 51.33
신길6동 43.39% 56.60% ▼13.21 55.14
신길7동[B] 50.56% 49.43% △1.13 59.00
대림1동 41.51% 58.48% ▼16.97 51.50
대림2동 39.79% 60.20% ▼20.41 50.23
대림3동 41.09% 58.90% ▼17.81 55.90
국외부재자투표 37.67% 62.32% ▼24.65 48.85
국내부재자투표 53.79% 46.20% ▼7.59 90.86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영등포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권영세 신경민 격차
전체 46.4% 53.6% 7.2%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19대 총선 권영세.jpg 파일:tlsrudals1.jpg }}}}}}}}}
현역 새누리당 권영세 의원이 4선에 도전한다. 권영세 의원은 새누리당 사무총장이 되는 등 당 내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물이 되었고, 공천위에 핵심적 실무 역할을 했다.

문제는 이런 실무를 맡게 되면 정작 자신의 지역구는 챙기기 어렵다는 것. 실제로 지난 18대 총선에서도 이방호 총장이 공천에 매달리다가 정작 본인은 낙선했다.

민주통합당김종구대한생명 부사장과 이경숙 전 의원이 공천 신청을 했으나, 권영세 같은 거물을 떨어뜨려 야권 승리의 상징으로 삼기 위해 표적공천 카드를 꺼내들었다. 김한길 전 의원[22], 금태섭 변호사 등을 고민하다가 선택한 인물이 MBC 뉴스데스크 앵커 출신의 신경민 대변인.

MBC, KBS가 이 지역구에 위치해 있고, 공영방송의 사유화 논란으로 사상 초유의 파업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에 비판적인 앵커 출신이 당선이 된다면 그만큼 상징성이 클 것이라고 봤다.

다른 후보들은 출마하지 않으며 권영세 vs 신경민의 양자 대결로 이루어졌는데, 신경민 후보가 약 5.2% 차이로 승리를 거뒀다.

권영세 의원은 이방호 전 사무총장처럼 당이 큰 승리를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정작 본인은 낙선해 4선에 실패하게 되었다. 여의도에서 더블스코어에 가깝게 압도적으로 승리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3.1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영세(權寧世) 32,341 2위


37.70% 낙선
2 신경민(辛京珉) 35,221 1위

41.05% 당선
3 김종구(金種求) 16,064 3위


[[국민의당(2016년)|
국민의당
]]
18.72% 낙선
5 성성봉(成性奉) 590 5위


0.69% 낙선
6 진재범(秦在範) 1,580 4위


1.84% 낙선
선거인 수 146,636 투표율
59.07%
투표 수 86,619
무효표 수 823
||<-6><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tablebgcolor=#ffffff,#1c1d1f> 20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권영세 신경민 김종구
득표수
(득표율)
32,341
(37.70%)
35,221
(41.05%)
16,064
(18.72%)
-2,880
(▼3.35)
86,619
(59.07%)
여의동[A] 49.95% 37.16% 9.67% △12.79 61.74
신길1동 35.43% 42.02% 19.34% ▼6.59 53.42
신길4동 36.92% 40.26% 20.67% ▼3.34 55.72
신길5동 36.89% 38.75% 21.95% ▼1.86 53.95
신길6동 34.76% 42.72% 20.68% ▼7.96 58.87
신길7동[B] 39.38% 40.86% 17.20% ▼1.48 61.57
대림1동 34.59% 38.89% 24.54% ▼4.30 54.08
대림2동 32.86% 39.39% 26.31% ▼6.53 52.31
대림3동 31.97% 44.72% 21.10% ▼12.75 58.70
후보 권영세 신경민 김종구 격차
거소·선상투표 51.06% 28.72% 15.96% △22.34
관외사전투표 33.13% 46.72% 16.44% ▼13.59
국외부재자투표 28.77% 60.82% 8.49% ▼32.0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영등포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권영세 신경민 격차
전체 39.6% 39.7% 0.1%p경합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0대 총선 권영세.jpg 파일:tlsrudals2.jpg 파일:20대 총선 김종구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성성봉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진재범 벽보.jpg }}}}}}}}}
현역 더불어민주당 신경민 의원과 새누리당 권영세 전 의원의 리턴매치가 이루어진다. 신경민 의원은 18대 대통령선거 정강정책 방송연설로 MBC에 출연해 "MBC가 편파·왜곡 보도로 공정성을 잃었다"며 "김재철 방지법을 만들겠다"고 밝혀 화제가 되었다.

즉, 신 의원은 MBC에 나와 MBC와 사장을 강력하게 비판한 것. 또한 필리버스터에서의 연설도 야당 지지자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권영세 전 의원은 본인은 낙선했지만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152석을 확보하는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에 원외에 있으면서도 정치권의 주목을 받았다.

권 후보는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의 중앙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을 맡았고, 박근혜 후보 당선 이후에는 주중 대한민국 대사로 갔다.

김기춘 비서실장이 물러난 후, 권영세가 박근혜 대통령 비서실장이 될꺼라는 강력한 설이 있었으나, 이병기 국가정보원장이 임명되었다. 여당의 거물급 인사지만 대선 과정에서 'NLL 대화록'과 '국정원 댓글'에 밀접한 관련이 있던 인물인만큼 이번 선거에서도 이러한 것들이 이슈가 될것이다.

한편 국민의당은 김종구 대한생명 감사위원장을 단수 공천했다.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총선에 나와 권영세 의원에게 패했고, 19대 총선에서는 당이 신경민 의원을 전략공천하면서 공천이 좌절되었으나 신경민 의원을 도와 당선에 기여했다. 이후 탈당해 국민의당으로 간 후 공천을 받아 신경민, 권영세 후보와 경쟁하게 되었다.

개표 결과 접전 끝에 19대 현역 신경민 의원이 권영세 후보를 약 3%차로 제치고 재선에 성공했다. 당시 출구조사 결과 신경민 39.7%, 권영세 39.6%라는 0.1%P 차이의 초접전으로 짤막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3.1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민석(金民錫) 47,075 1위

50.26% 당선
2 박용찬(朴容贊) 41,537 2위


[[미래통합당|
미래통합당
]]
44.35% 낙선
3 김지향(金志享) 1,278 4위


1.36% 낙선
7 이상륜(李相倫) 456 5위


[[국가혁명배당금당|
국가혁명배당금당
]]
0.48% 낙선
8 이정현(李貞鉉) 3,311 3위


3.53% 낙선
선거인 수 139,384 투표율
68.02%
투표 수 94,810
무효표 수 1,153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4ea2> 21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민석 박용찬
득표수
(득표율)
47,075
(50.26%)
41,537
(44.35%)
+5,538
(△5.91)
94,810
(68.02%)
여의동[A] 32.06% 64.96% ▼32.90 71.08
신길1동 55.88% 37.48% △18.40 60.82
신길4동 54.19% 41.28% △12.91 63.98
신길5동 54.15% 40.29% △13.86 63.89
신길6동 53.94% 40.54% △13.40 68.07
신길7동[B] 48.02% 45.61% △2.41 69.91
대림1동 55.54% 38.62% △16.92 61.32
대림2동 56.07% 37.64% △18.43 60.12
대림3동 55.66% 37.46% △18.20 64.54
후보 김민석 박용찬 격차
거소·선상투표 48.54% 42.69% △5.85
관외사전투표 60.20% 34.43% △25.77
국외부재자투표 66.67% 29.00% △37.67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영등포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김민석 박용찬 격차
전체 46.9% 48.3% 1.4%p경합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김민석6.jpg 파일:21대 총선 박용찬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김지향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이상륜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이정현 벽보.jpg }}}}}}}}}
민주당 우세 지역인 신길동과 대림동의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27]고, 여의도동은 악화된 경제지표 및 강화된 부동산 대책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 지역인 만큼 처음부터 접전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에서는 파이낸셜뉴스 200117 뉴스에 따르면 현역 의원 신경민과 15대, 16대 국회 당시 지역구 의원이었던 김민석이 본선 티켓을 두고 경선을 벌였는데, 이 둘은 각각 이 지역구의 전/현직이면서 서울대 사회학과 10년 선후배라고 한다. 경선 결과 김민석 전 의원이 공천을 받으면서 16대 총선 이후 20년 만에 자신이 재선을 했던 이 지역구의 후보로 나서게 됐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원외 위원장으로 신경민 의원처럼 MBC 기자, 앵커 출신인 박용찬이 후보로 확정되었다. 박근혜 탄핵 소추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한 무소속 이정현 의원이 3월 1일 뜬금없이 영등포구 을에서 출마하면서 미래통합당 박용찬 후보의 공천을 철회하라고 요구했으나 당연히 씹혔다.

4월 7일 공개된 여론조사에서는 경합지가 될 거라는 예상을 뒤집고 김민석이 박용찬 + 이정현보다도 10%p 이상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민선 7기 영등포구청장인 채현일이 취임 8개월 만에 지역구의 가장 큰 골칫덩어리였던 영등포역 일대의 노점상들을 기습철거하는데 성공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올라가기도 했었다.

미래통합당 박용찬 후보와 무소속 이정현 후보는 결국 단일화에 실패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구조사에서는 미래통합당 박용찬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왔으나 실제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후보가 당선되어 결국 20년 만에 국회에 다시 입성했다.

동별로 보면 여의도에서는 박용찬 후보가 김민석 후보보다 앞섰지만 나머지 신길1 · 4 · 5 · 6 · 7동과 대림1 · 2 · 3동에서 김민석 후보가 모두 이겨서 여의도 표를 상쇄시키고도 남았다. 다만 신길뉴타운이 어느 정도 완성된데다 군인 거주지가 있는 신길7동의 경우 1,2위 후보간의 득표율 차가 2.4%p 정도로 팽팽하긴 했다.[28]

여의도의 경우는 여의도공원을 기준으로 서여의도와 동여의도가 갈렸는데, 국회와 각 정당 당사를 끼고 있는 서여의도와 주택가 및 증권가를 끼고 있는 동여의도 간 표심이 차이가 있었다.[29]

박용찬 후보는 여의도동에서 사전투표를 포함해 6천 표 가까이 앞서긴 했으나, 19대, 20대 국회의원이었던 신경민처럼 앵커 버프를 받은 것에 불과하다. 장성급이나 고위 간부들 군인 근무자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신길7동에서조차 20대 총선에 비해 두 배 넘게 밀리는 등 다른 지역에서 모두 졌고, 표차도 20대에 비해서 한참 밀리고 말았다.

무소속으로 완주한 이정현은 고작 3%밖에 득표하지 못하면서, 사실상 박용찬 후보의 표를 분산시킨 채 힘없이 낙선하였다. 물론 김민석 후보가 과반을 득표했으므로, 이정현이 출마하지 않았더라도 바뀌는 것은 없었을 것이다.

한편 이 지역구의 의원 출신으로 지난 선거 때까지 계속 출마했던 권영세 후보는 이번 총선에서는 용산구에 출마해 아슬아슬한 차이로 당선됐다.

여담으로, 낙선한 박용찬 후보와 같이 뉴스를 진행했던 여성 앵커서울의 다른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3.2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영등포구 을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민석(金民錫) 49,651 1위

50.18% 당선
2 박용찬(朴容贊) 48,516 2위


49.03% 낙선
7 김정기(金正基) 778 3위

0.78% 낙선
선거인 수 141,494 투표율
70.80%
투표 수 100,141
무효표 수 1,196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152484> 22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민석 박용찬
득표수
(득표율)
49,651
(50.18%)
48,516
(49.03%)
+1,135
(△1.15)
100,141
(70.80%)
여의동[A] 32.41% 67.04% ▼34.63 71.25
신길1동 55.02% 43.99% △11.03 61.92
신길4동 53.38% 45.88% △7.50 69.60
신길5동 53.65% 45.33% △8.32 68.07
신길6동 52.61% 46.57% △6.04 70.73
신길7동[B] 48.55% 50.82% ▼2.27 71.90
대림1동 54.44% 44.76% △9.68 66.70
대림2동 55.53% 43.67% △11.86 62.29
대림3동 54.52% 44.77% △9.75 65.31
후보 김민석 박용찬 격차
거소·선상투표 47.27% 47.27% 0[32]
관외사전투표 59.35% 39.62% △19.73
재외투표 68.56% 31.08% △37.48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영등포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김민석 박용찬 격차
전체 53.1% 46.1% 7.0%p경합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2대 총선 김민석 벽보.jpg 파일:22대 총선 박용찬 벽보.jpg 파일:22대 총선 김정기 벽보.jpg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김민석 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경쟁 상대로 유력했던 신경민 전 의원은 민주당을 탈당하고 새로운미래에 합류했으나 출마는 하지 않았다.

국민의힘에서는 박민식국가보훈부장관이 이 지역구에 출마를 선언했으나 2월 27일 경선을 포기하면서, 지난 선거에서 석패했던 박용찬 전 당협위원장이 단수공천되어 두 후보의 리턴매치가 되었다.

개표 초반에는 김민석 후보가 앞서나가기 시작하였으나 중후반에 박용찬 후보가 역전하였다. 이후 엎치락뒤치락 하는 초 경합 승부가 이어지다가 막판에 김민석 후보에게 몰표를 준 관외사전투표함의 개봉으로 결국 김민석 후보의 4선이 확정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부촌여의도에서 보수정당이 몰표를 받았으나 나머지 동네들이 모두 민주당을 강하게 지지하면서 마지막까지 박빙 싸움을 벌였으며, 결과적으로는 수성에 성공했다. 신길 7동은 비등비등한 정도였다.

2020년에 비하면 분명 어려운 싸움이었지만 2년 전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해당 선거구 한정으로 12.19%p 차이로 승리했음을 감안하면 불과 2년 만에 다시 13%를 뒤집으면서 수성에 성공한 것이니 김민석 후보 입장에서는 결코 나쁜 결과가 아니었고 오히려 대성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33][34] 반대로 박용찬 후보 입장에서는 지난번보다 더 유리해진 지형을 살리지 못하고 분패한 셈. 박용찬 후보는 신길 1, 4, 5, 6동 쪽에서 표차를 좀 더 좁혔거나 국민의힘 지지세가 나름 강한 신길7동에서 격차를 더 별렸으면 충분히 승리 가능성이 있었는데 이쪽에서 표차를 좁히거나 벌리지 못한 것이 패배의 결정타가 되었다.[35]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가 큰 영향을 미쳤다. 강서구여의도는 아무 상관이 없을 듯 하지만[36], 서울에서 실시된 보궐선거가 서울에서 실시될 총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말이 안 됐다. 그간 대통령이 보여준 소신은 어디로 가고, 범법자를 사면해 바로 재공천하는 등으로 보수당 지지자들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모습이 보였기 때문에 여당에게 크게 실망해 투표를 포기하거나, 민주당으로 비판적 지지를 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다. 그래서 저번의 지방선거에 비해서 5%의 스윙이 나왔고, 민주당의 득표율은 국민의힘 득표율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저번 총선보다도 오른 결과가 나왔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도 낙선한 박용찬은 지난 선거에서 낙선한 뒤 지역위원장으로서 계속 지역구를 열심히 닦았으나, MBC가 여의동을 떠나 상암동으로 이전하면서 앵커 버프가 먹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쓸거 다 쓰고 진 선거인 셈.

당선된 김민석 후보는 이후 제22대 국회의원들 중 전현희(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갑), 이언주(경기도 용인시 정), 한준호(경기도 고양시 을), 김병주(경기도 남양주시 을)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이후 김민석 최고위원은 윤석열계엄도 적중했는데 당시 윤석열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37],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38],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39],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40], 정청래 의원(서울특별시 마포구 을),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41], 언론인 김어준 등을 체포하라고 지시했다. 당시 전재수 부산광역시 북구 갑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42]배현진 의원(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국민의힘), 이기헌 의원(경기도 고양시 병, 더불어민주당), 조정훈 의원(서울특별시 마포구 갑, 국민의힘)과 함께 해외 출장 중이었는데 윤석열의 계엄 소식을 듣고 아마 사전에 계엄을 준비한 것 같다고 했다. 당시 국민의힘 국회의원들 중 안철수(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 김상욱(울산광역시 남구 갑) 등은 윤석열 탄핵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후 2025년 4월 4일에 윤석열이 탄핵되었고[43] 21대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당선[44]되어 정권교체에 성공한 이후 이재명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가 되어 최고위원직을 사퇴했다.[45] 현재는 남인순 의원(서울특별시 송파구 병), 박홍근 의원(서울특별시 중랑구 을), 서영교 의원(서울특별시 중랑구 갑), 전현희 의원(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갑)[46], 추미애 의원(경기도 하남시 갑)[47], 한정애 의원(서울특별시 강서구 병), 홍익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48] 등과 함께 차기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장 후보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1] 3동 제외.[2] 2025년 9월 기준[3] 김민석 총리가 초선 당시 나이는 불과 만 31세였기에 20년 만에 원내 입성했음에도 환갑의 나이에 22대 총선에서 4선 고지를 밟았다.[4] 어차피 여의도동도 하나의 행정동인데 왜 그렇게 되는지 의아할 수도 있는데, 여의동의 전체 표가 해당 선거구의 20% 안팎이나 되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탓에 여기서의 더블스코어 몰표가 크게 작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민주당 입장에서는 다른 동들에서 표차를 최대한 벌려야 이 선거구를 이길 수 있는 구조인 것.[5] 21대 총선 당시 비례 득표율은 28.95 : 37.22로 미래한국당이 앞섰고(목동, 분당, 과천과 거의 비슷한 수치) 지역구 득표율은 48.02 : 45.60으로 통합당 박용찬 후보가 여의동을 제외한 지역 중에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표 분산이 된 이정현 후보의 표까지 합치면 오히려 48.02 : 50.23 으로 통합당이 앞섰기에 표 분산만 없었다면 여의동을 제외한 지역 중 유일하게 통합당이 이긴 지역이다.[6]서울지방병무청.[7] 現 공군회관 등.[8] 양천구의 목동은 동네별 편차가 현저하다. 목동아파트 단지가 있는 목1,5동과 신정1,6동은 보수세가 매우 강하고, 목2,3,4동은 민주당세가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 동대문구 갑과 비슷하지만,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이래로는 민주당이 어렵지 않게 4연승하면서 퇴색된 감이 없잖아 있다.[9] 서울지방병무청과 공군회관, 해군회관 인근 아파트에는 군인 전용 세대가 있다.[10] 실제 고위직 군인들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 계룡시의 경우, 과거 보수우위에서 경합지로 바뀐 상황이다. 멀리 갈 것도 없이 파주의 경우에도 군부대가 상당히 많음에도 민주당 우위가 이어지고 있다.[11] 일단 뉴타운이 입주한 2020년 총선부터 추이를 보면 미세하게나마 뉴타운 투표소보다 기존 군인 거주지 투표소가 더 보수정당에 표를 많이 던지는 경향이 보인다.[12] 나웅배는 전두환 정부의 재무부장관, 상공부장관과 경제기획원장관, 문민정부의 통일원장관과 제정경제원 장관을 지냈고, 권영세윤석열 정부의 통일부장관을 지냈으며, 김민석이재명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를 지내고 있다.[13] 이용희는 알다시피 충북 남부 3군에 '이용희 나라'를 구축했으며, 지역위원장을 그 아들이 사실상 계승해서 맡고 있다. 이원범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전 서구 갑자유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해서 당선, 그리고 박상웅마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에 출마하여 늦깎이 당선.[14] 민주화추진협의회 등 쟁쟁한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민변 창설자이자 초대 회장직을 지내기도 하다.[15]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정주영통일국민당에 입당하여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그해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정주영이 낙선하면서 사실상 국민당이 해체되자 민주자유당으로 이적했던 것이었다. 이때는 전국구 의원이 탈당해도 국회의원직 유지가 가능했다.[16] 상대였던 최불암 마저도 후일 김민석의 선거 전략을 호평하였다.#[17]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공교롭게도 노무현의 고향인 경남 김해시 을 선거구에 미래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였다.[18] 불과 36표 차이었다.[19] 불과 10표 차이었다.[A] 국회의사당, 여의도 및 각종 증권사가 밀집한 부촌[B] 신길뉴타운이 있고 서울지방병무청이 위차한 동네[22] 김한길 전 의원은 서울 광진구 갑 지역에 공천받아 당선되었다.[A] [B] [A] [B] [27] 그나마 신길동은 신길뉴타운으로 인구 감소가 심각하게 진행이 될 공산이 낮은데 대림동은 1,2동의 경우에는 대림역을 중심으로 중국인 비중이 매우 높은 점, 3동은 기존에 있거나 새로 지어진 대규모 시설이 있는 다른 동들에(도림동은 자이 아파트, 문래동은 문래 자이+다수 오피스빌딩+세종문화회관 2공연장, 신길동의 뉴타운, 신도림역+테크노마트&서부금융센터+디큐브시티&쉐라튼호텔+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생기거나 있는 구로구의 신도림동, 구로5동) 비해 개발이 더딘 점이 크다.[28] 다만 신길7동은 박용찬과 표 분산된 이정현 표를 합치면 48%p : 50.2%p로 통합당이 우세하는 결과이기는 했다.[29] 국회가 있는 서여의도와 주택가/증권가가 있는 동여의도의 민심 간에 온도차가 있다. 21대 총선의 경우, 동여의도에 있는 1~7투표소는 보수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지만 서여의도에 있는 8투표소(여의도더샵아일랜드파크)는 보수표가 과반을 살짝 웃도는 정도였다. 심지어 여의동 사전투표소가 8투표소보다도 보수표가 더 많이 나왔다.[A] [B] [32] 두 후보 똑같이 78표를 얻었다.[33] 20대 대선의 경우는 신길7동에서 이재명 후보가 무려 17%p 차이로 패한데다 신길동을 모조리 넘겨주고 심지어 대림동조차도 3동은 아예 패하고 1,2동도 격차가 5%p 안팎으로 어려운 싸움을 했다.[34] 게다가 민주당 중앙선대위 상황실장을 하면서 지역구에 신경 쓸 여력이 부족했음에도 승리한 것이기 때문에 더욱 값진 승리라고 할 수 있다. 권영세새누리당 사무총장을 맡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승리를 이끌었으나 막상 본인 지역구에서는 신경민에게 패했던 사례를 떠올려보면 확실히 대비되는 결과.[35] 게다가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선 여의도동 득표율이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가 25.5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채현일 구청장이 27.27%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32%가 넘은 득표율을 거두어 결정적으로 승리하게 되었다.[36] 그러나 강서구와 여의도가 5호선이나 9호선을 이용하면 한번에 오고 갈 수 있기 때문에 서술한것 처럼 아무 상관 없다고 보기에는 좀 무리가 있다. 당장 강서구의 집에서 여의도의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적지 않기도 하고...[37] 당시 인천광역시 계양구 을 국회의원[38] 당시 인천광역시 연수구 갑 국회의원[39] 당시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국회의원[40] 당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국회의원[41] 당시 비례대표 국회의원[42] 22대 총선 당시 부산에서 당선된 유일무이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상대 국민의힘 서병수 후보를 인물론에서 누르고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22대 총선 당시 국민의힘 서병수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들 중 장경태(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 노종면(인천광역시 부평구 갑), 박선원(인천광역시 부평구 을), 권칠승(경기도 화성시 병), 조한기(충청남도 서산시·태안군) 후보들을 천안함 망언 5적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심판해달라고 호소했는데 이는 먹히지 않았다.[43] 만약 윤석열 탄핵이 기각되었다면 윤석열은 대통령 직무에 즉각 복귀하고 2027년 5월 9일에 임기 종료 예정이었다.[44] 당시 이재명 후보는 자신의 고향을 관할하는 지역구 경상북도 안동시·예천군문재인 전 대통령의 고향을 관할하는 지역구 경상남도 거제시에서는 선전했지만 김문수 후보의 고향을 관할하는 지역구 경상북도 영천시·청도군에서는 대경권 치고도 부진했다.[45] 이후 그의 최고위원직은 황명선 제22대 충청남도 논산시·계룡시·금산군 국회의원이 이어받았다.[46] 20대 총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당적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에서 당선[47] 전 제15, 16, 18-20대 서울특별시 광진구 을 국회의원[48] 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당적으로 민주당계 정당 험지에 출마해 국민의힘 후보에 밀려 낙선한 후보들 중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을김병욱 후보 등과 함께 나름 선전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영등포구 갑|영등포구 갑]]}}}{{{#!if external != "o"
[[영등포구 갑]]}}}}}}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영등포구 갑?uuid=6d8470a4-1ec3-4728-8357-7978572a2f1c|r44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영등포구 갑?uuid=6d8470a4-1ec3-4728-8357-7978572a2f1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영등포구 갑?from=443|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영등포구 갑|영등포구 갑]]}}}{{{#!if external != "o"
[[영등포구 갑]]}}}}}}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영등포구 갑?uuid=6d8470a4-1ec3-4728-8357-7978572a2f1c|r44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영등포구 갑?uuid=6d8470a4-1ec3-4728-8357-7978572a2f1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영등포구 갑?from=44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