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05:46:09

오타 타이세이

오우타 타이세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2025 시즌 투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1 다나카 마사히로 · 15 오타 타이세이 · 17 니시다테 유히 · 19 야마사키 이오리 · 20 토고 쇼세이 · 26 이마무라 노부타카 · 28 타카하시 레이 · 29 포스터 그리핀
30 콘도 타이스케 · 31 아카호시 유지 · 33 카일 켈러 · 36 바바 코스케 · 41 나카가와 코타 · 45 타나카 에이토
46 마타키 텟페이 · 47 모리타 슌야 · 48 타나카 치하루 · 49 알베르토 발도나도 · 53 타카나시 유헤이 · 54 나오에 다이스케
57 미야하라 슌스케 · 58 후나바사마 히로마사 · 62 요코가와 카이 · 63 이즈미 케이스케 · 64 오에 류세이 · 65 이시카와 타츠야 · 66 헤이나이 류타
90 이시다 쥬자 · 91 홋타 켄신 · 92 라이델 마르티네스 · 93 마츠이 하야테 · 97 이노우에 하루토 · 99 쿄모토 마코토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오타 타이세이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21815><tablebgcolor=#221815>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49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49C00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호리우치 츠네오 야마시타 츠카사(1) 츠치타 마코토 타카다 시게루 시마노 오사무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코사카 토시히코 유구치 토시히코 요코야마 타다오 나카이 야스유키 코바야시 히데카즈(5)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사다오카 쇼지 시노즈카 카즈노리 후지시로 카즈유키 야마쿠라 카즈히로 불참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하야시 야스히로(1) 하라 다쓰노리 마키하라 히로미 사이토 마사키(1) 미즈노 카츠히토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우에다 카즈아키(1) 쿠와타 마스미 키다 마사오(1) 하시모토 키요시 요시다 쇼지(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49C00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오모리 타케시 모토키 다이스케 다니구치 고이치(1) 마쓰이 히데키 미노 가쓰히로(2)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가와하라 준이치(2) 하라 슌스케(1) 이리키 유사쿠(2) 타카하시 요시노부(2) 우에하라 고지(2)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타카하시 히사노리(2) 아베 신노스케(2) 사나다 히로키(1) 기사누키 히로시(2)
쿠보 유야(2)
우츠미 테츠야(2)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노마구치 타카히코(2)
미키 히토시(2)
츠지우치 타카노부(3)
후쿠다 사토시(2)(4)
사카모토 하야토(1)(3)
카네토 노리히토(2)(4)
후지무라 다이스케(1)(3)
무라타 토오루(1)(4)
오오타 타이시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초노 히사요시 사와무라 히로카즈 마츠모토 류야(1) 스가노 도모유키 고바야시 세이지(1)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오카모토 카즈마 사쿠라이 토시키 요시카와 나오키(1) 쿠와하라 타쿠야(1) 다카하시 유키(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49C00 {{{#!folding [ 레이와 시대 ]
{{{#555555,#aaaaaa
2019년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홋타 켄신(1) 헤이나이 류타(1) 오타 타이세이(1) 아사노 쇼고(3) 니시다테 유히
(西舘勇陽)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3) 고교생 드래프트, (4)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5) 지명 후 미입단: 현재는 1973년도 코바야시 히데카즈가 유일하다.
}}}}}}}}} ||
오타 타이세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2023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24 프리미어 12
은메달
202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F8F2D>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센트럴 리그
역대 최우수신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투수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투수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외야수
곤도 마사토시
쇼치쿠 / 투수
히로오카 타츠로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니시무라 카즈노리
오사카 / 투수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투수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투수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투수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투수
곤도 히로시
주니치 / 투수
조노우치 쿠니오
요미우리 / 투수
수상자 없음 다카하시 시게유키
타이요 / 투수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수상자 없음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타케가미 시로
산케이 / 외야수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내야수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포수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내야수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투수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투수
수상자 없음 후지나미 유키오
주니치 / 내야수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수상자 없음 타오 야스시
주니치 / 외야수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투수
스미 미츠오
요미우리 / 투수
후지사와 키미야
주니치 / 투수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 내야수
하라 타쓰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츠다 츠네미
히로시마 / 투수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투수
고바야카와 타케히코
히로시마 / 내야수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카와바타 준
히로시마 / 투수
나가토미 히로시
히로시마 / 투수
아라이 유키오
야쿠르트 / 외야수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내야수
토마시노 켄지
야쿠르트 / 내야수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요다 츠요시
주니치 / 투수
모리타 코이치
주니치 / 투수
쿠지 테루요시
한신 / 외야수
이토 토모히토
야쿠르트 / 투수
야부 케이이치
한신 / 투수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야마우치 야스유키
히로시마 / 투수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 내야수
사와자키 토시카즈
히로시마 / 투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투수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내야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외야수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투수
키사누키 히로시
요미우리 / 투수
카와시마 료
야쿠르트 / 투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외야수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내야수
우에조노 케이지
한신 / 투수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투수
마츠모토 테트야
요미우리 / 외야수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외야수
사와무라 히로카즈
요미우리 / 투수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투수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사키 야스아키
요코하마 / 투수
타카야마 슌
한신 / 외야수
쿄다 요타
주니치 / 내야수
아즈마 카츠키
요코하마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 투수
쿠리바야시 료지
히로시마 / 투수
오타 타이세이
요미우리 / 투수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후나바사마 히로마사
요미우리 / 투수
}}}}}}}}}

{{{#ffffff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15번}}}
앙헬 산체스
(2021)
오타 타이세이
(2022~)
현역
}}} ||
}}} ||
파일:오타 타이세이.webp
<colbgcolor=#000000><colcolor=#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 No.15
오타 타이세이[1]大勢(타이세이).][2]이세이', 실제 발음은 /오ː타 다이세ː/ 정도다.]
翁田大勢 / Taisei Ota
출생 1999년 6월 29일 ([age(1999-06-29)]세)
효고현 타카군 타카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효고현립니시와키공업고등학교 - 간사이국제대학
신체 183cm | 90kg
포지션 셋업맨 [3]
투타 우사우타
프로 입단 2021년 드래프트 1순위 (巨人)
소속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2~)
등장곡 炎の呼吸 壱ノ型 不知火 / 炎の呼吸 弐ノ型 昇り炎天[영상]
연봉 2025년 / ¥90,000,000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이전2.2. 요미우리 자이언츠
2.2.1. 2022년2.2.2. 2023년2.2.3. 2024년2.2.4. 2025년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타6. 연도별 성적

1. 개요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의 마무리 투수. 리그 등록명은 '타이세이(大勢)'.

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이전

효고현립 니시와키공고 시절에는 입학부터 벤치 멤버 입성에 2학년 가을부터 팀의 에이스가 되었지만, 3학년 여름의 효고현 대회 16강이 최고 성적일 정도로 실적을 증명하기 어려웠고,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한 채 칸사이국제대에 진학하였다.

대학교 시절에는 2학년 봄부터 한신대학야구연맹 1부 리그전에서 활약하였고, 코로나 정국인 2020년 3월 한신 타이거스 2군과의 경기에서 4이닝 3피안타 5K 2실점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2021년 일본프로야구 신인드래프트에 참가하여, 스미다 치히로의 중복 지명 실패로 인한 하즈레 지명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순위로 입단하였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계약금 1억엔+수당 5천만엔, 추정 연봉 1600만엔에 계약하며 입단.[5] 등록명은 팀내 오오타 류([ruby(太田, ruby=おおた)][ruby(龍, ruby=りゅう)])와 혼동의 여지가 있어서[6], 하라 타츠노리 감독의 제안으로 이름인 '타이세이'로 등록했다.

2.2. 요미우리 자이언츠

2.2.1. 2022년

오프시즌엔 2군 캠프에 합류할 것으로 예정되었지만, 1월 27일에 코로나19 확진으로 자가 격리되었고 2월 5일에 3군 캠프에서 재활에 들어갔다.

3월 25일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1군 개막전 첫경기부터 9회에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였다. 1982년 야마오카 유키히코(山沖之彦)[7] 이후 40년만이자 일본프로야구 사상 두 번째로 신인 개막전 세이브 기록이다. 이튿날 역시 세이브를 기록하며,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개막2연전 세이브를 기록한 신인선수가 되었다.

4월 6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세이브를 기록하면서, 첫 등판부터 7연속 세이브 일본프로야구 신기록을 세웠고, 9일 야쿠르트전에서는 데뷔 첫 승을 신고, 4월 19일 히로시마전에서 10세이브를 달성하면서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단속도 10세이브 기록을 세웠다.

5월 8일 야쿠르트전에서 1점 리드 상황에서 올라와, 야마사키 코타로에게 역전을 허용하며 첫 블론세이브와 패전을 기록했다.

교류전 기간인 6월 4일 롯데전에서 시즌 20세이브를 달성했다. 시즌 60경기 만의 20세이브 기록은 1993년 이시게 히로시(石毛博史)와 2013년 니시무라 켄타로(西村健太朗)의 72경기를 경신하는 쿄진 구단 최단 신기록이며, 1990년 주니치 드래곤즈요다 츠요시의 일본프로야구 신인 최단 경기 기록인 68경기만의 20세이브 달성 기록도 동시에 경신했다.

데뷔 1년차부터 세리그 마무리투수 부문에서 팬투표 1위로 올스타에 선출되는 영예를 누렸지만, 신종 코로나 감염으로 출전을 사퇴해야만 했다.

8월 7일에 코로나19 격리 해제되어 복귀하였고, 26일에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 원정에 복귀하여 시즌 30세이브를 달성, 신인으로선 역대 네 번째로 달성했다.[8] 코로나19 감염과 쿄진의 DTD로 인해 아쉽게도 최다 세이브 타이틀은 주니치의 라이델 마르티네스에게 넘겨주었지만, 57경기 등판하여 블론세이브는 단 하나에 불과한데다 1승 3패 8홀드 37세이브 2.05의 준수한 성적으로 최우수신인(신인왕) 타이틀을 수상했다.

2.2.2. 2023년

데뷔시즌부터의 활약으로 인해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팀동료 오카모토 카즈마, 토고 쇼세이, 오시로 타쿠미와 함께 사무라이 재팬에 승선했다. 주니치 드래곤즈타카하시 히로토와 유이한 데뷔신인.[9]

4월 2일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경기에서 9회 마무리투수로 시즌 첫 등판해 삼자범퇴로 시즌 첫 세이브에 성공하며 위닝시리즈에 기여했다.

그러나 본인 빼면 불펜에 사람같이 던지는 선수가 없는 상황이라 세이브 상황에서 제대로 등판하지 못했고 그 결과 개막 1달이 지났는데도 9경기 9이닝이다. 그나마 적은 이닝에서 4세이브를 성공했단 것은 충분히 고무적이다. 하지만 히로시마만 만나면 개털리는 중인데 아라이 타카히로 감독한테 약점을 읽힌듯하다.

교류전 이후 컨디션 불량으로 고전하는 모습이 보였고, 결국 6월 30일 경기 전에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안그래도 불펜자원이 허접인 요미우리는 결국 치바 롯데 마린즈이시카와 신고를 주고 오누마 켄타를 받아오는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부상까지 겹쳐 결국 27경기 26이닝 3승 0패 14SV 1H 4.50 WAR 0.1 WPA -0.49라는 실망스러운 2년차를 보냈고 타이세이의 이탈 기간동안 쿄진의 뒷문이 완전히 붕괴되면서 CS 도입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B클래스라는 치욕적인 기록을 만드는 데 일조했다.

2.2.3. 2024년

5월 3일 한신전에서 오른쪽 어깨 위화감을 호소, 다음날인 5월 4일에 1군에서 등록 말소됐다.

6월 30일 카프전에서 복귀하여 세이브를 수확했다.

부상 복귀 이후에는 압도적인 피칭을 이어나갔다.

43경기에 등판하여 41이닝 0피홈런 8볼넷 54탈삼진 ERA0.88 WHIP0.88이라는 경이로운 성적을 기록했다.

2.2.4. 2025년

3. 국가대표 경력

3.1.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워드마크.svg
<rowcolor=#d9bb46>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4 0 4 1 0 1 0 4 0 0 0 3 1 0.00
해당 시즌의 뛰어난 활약으로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에 승선했다.

본선 1라운드 마지막 경기인 호주전과 2라운드 이탈리아전에 등판했다.

4강 멕시코전, 5-4로 뒤진 9회 초 올라와 알렉 토마스에게 몸에 맞는 공을 하나 내주었지만 1이닝 1K 무실점으로 틀어막았다. 그리고 9회 말 무라카미 무네타카의 끝내기 2타점 적시타로 일본이 승리하면서 승리 투수가 되었다.

결승 미국전에서는 7회에 등판해, 마이크 트라웃을 아웃시키고 폴 골드슈미트를 병살로 잡아내는 위력적 투구를 선보였다.

대회 성적은 4경기 4이닝 4피안타 1사사구 3K 무실점.

3.2. 2024 WBSC 프리미어 12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워드마크.svg
<rowcolor=#d9bb46>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4 0 4.0 0 0 0 2 4 0 1 0 3 0 0.00

4. 플레이 스타일


임창용을 연상시키는 사이드암 스로[10] 파이어볼러이다. 평균 155.4km/h[11], 최고 160km/h[12]에 이르는 포심 패스트볼과 포크, 슬라이더를 구사한다. 2024년 기준 구종 비율은 포심 패스트볼 62.7%, 포크 27.0%, 슬라이더 10.3%이다.

특히 포심 패스트볼의 구위가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구속이 빠를 뿐만 아니라 우타자 몸쪽으로 파고드는 수평 무브먼트가 훌륭하다. 現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 포수 카이 타쿠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강화시합에서 타이세이와 호흡을 맞춰보고 패스트볼은 자신이 받아본 공 중 최고라고 평가했다. 또한 2024년에 현역 프로야구선수 100명이 뽑은 최고의 패스트볼 1위에 선정되었다.

5. 기타

  • 리그 등록명에 대해서 일본인의 경우 풀네임을 강제하고 있는[13]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단 사상 최초로 이름만으로 등록한 선수이다. 참고로 '翁田' 표기를 사용하는 성씨는 일본 내에서 겨우 100여명밖에 없고 같은 발음의 大田, 太田과 혼동할 수 있어서 이름으로만 등록한 것이다. 실제로 타이세이가 입단하기 전 발음이 동일한 오타 류(太田龍)라는 선수가 있기에 혼동[14]을 우려한 하라 다쓰노리 감독이 직접 제안했다.
  • 이름인 '타이세이'(大勢)는, 출산예정일보다 2주 가량 늦게 태어나서 주변의 많은 사람들「大勢」이 '아직이냐, 아직이냐(まだか、まだか)'라고 말한 데서 붙여졌다.[15]
  • 4년 연상의 형 역시 효고현립 니시와키공고 출신으로 2013년 센바츠와 나츠 고시엔 첫 출장을 이루어냈을 때의 에이스를 맡았다고 한다. 6년 연상의 누나 오타 아카리(翁田あかり)는 2013년에 황후배 전국 도도부현 대항전 경주대회 4km 부문 우승과 전일본 실업단 육상선수권 우승 경력이 있는 육상 선수이다.
  • 간사이 출신이 대부분 그렇듯 한신 타이거스의 팬이다. 그냥 팬도 아니고 엄청난 광팬인지 한신의 유아사 아츠키가 방송에서 폭로한 바에 따르면 드래프트에서 요미우리에 지명된 후에도 한신 유니폼을 입고 고시엔에 직관을 갔으며, 개인 인스타에서도 요미우리 공식계정은 팔로우하지 않고 있다.[16] 이에 요미우리 팬들은 오히려 한신 팬이 입단하면 크게 활약해 주고[17] 타이세이가 한신만 만나면 호성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뻐하고 있다.
  • 팀 동료 타카나시 유헤이(高梨雄平)가 「大勢はガチ」[18]라고 트위터에서 중얼거린 것이 계기가 되어 그대로 별명이 됨과 동시에 해시태그까지 만들어지며 팬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공식 트위터에서도 사용하는 것은 물론, 「大勢はガチ」라고 새겨진 수건을 비롯한 굿즈까지 순식간에 만들어지면서 유행을 타고 있다.

6.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NP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탈삼진 WHIP WAR
2022 巨人 57 57 1 3 37 8 .250 2.05 38 7 13 60 0.89 1.2
2023 27 26 3 0 14 1 1.000 4.50 26 4 11 34 1.42 0.1
2024 43 41 1 2 29 5 0.333 0.88 28 0 8 54 0.88 1.3
NPB 통산
(3시즌)
127 124 5 5 80 14 .500 2.18 92 11 32 148 1.00

[1] 등록명은[2]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의거하면 '오타[3] 2024년까지는 마무리 투수였으나 라이델 마르티네스 영입으로 인해 포지션 변경[영상] 도쿄 돔[5] 계약금 1억엔+수당 5천만엔+연봉 1600만엔은 신인 계약 규모의 상한이다.[6] 'おおた'와 'おうた' 모두 표기는 달라도, 장음으로 '오-타'로 발음한다.[7] 1959년생, 191cm의 거구로 유명했던 투수로 1982~1995년까지 한큐/오릭스 브레이브스한신 타이거스(단 1995년 FA 이적한 한신에서는 부상 악화로 1군 등판 없이 한 해만에 은퇴했다.)에서 통산 112승 101패 24세이브를 기록했다.[8] 1990년 요다 츠요시, 2015년 야마사키 야스아키, 2021년 쿠리바야시 료지에 이은 네 번째.[9] 타카하시는 심지어 고졸 신인이라 만20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 승선했다.[10] 일본 현지에서는 로우 쿼터(ロークォーター)라고 부르는데, 재플리시이다.[11] 2024년 기준[12] 2024년 4월 4일 주니치전에서 기록[13] 일본계 호주인 마이클 나카무라(マイケル中村)는 닛폰햄에서 MICHAEL이었으나, 요미우리로 트레이드 후 M.나카무라로 등록하였다.[14] 타이세이의 翁田(おうた)와 류의 太田(おおた)는 둘다 장음으로 인해 '오ː타'라 발음하기에 헷갈릴 만하다. 거기에 타이세이와 류 둘 다 투수로 포지션이 겹친다. 단, 팀내 입지는 타이세이 쪽이 더 높은 편. 류는 2군과 1군을 전전하는 유망주 투수다.[15] 「大勢」는 일본어 명사 또는 부사로 '많은 사람들'(또는 '사람들이 많이')이라는 의미로 독음은 '오ː제ː'(おおぜい). 추가로 외래어 표기법에선 えい 계열의 장음은 생략하지 않기에 '오제'가 옳은 표기다. 예시로 센세는 표기법을 따라 적으면 '센세'가 옳고 오다 에이치로는 '오다 에이치로'가 옳다.[16] 요미우리에게 혼을 팔았다고 방송에서 발언한다든지 한신전에 등판할 때마다 마운드에서 같이 한신 타자들의 응원가를 부른다고 방송에서 직접적으로 말할 정도로 한신 팬임을 드러내고 있다.[17] 구단 레전드들 부터가 죄다 한신 팬 출신이다.[18] '가치'는 '진짜', '진심' 정도의 의미의 부사. 인터넷 슬랭으로 쓰일 때는 찐, 진짜배기 정도의 의미로 쓰인다. '타이세이 이 새끼 찐이다' 정도의 뉘앙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