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05:52:14

이모

외고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이모(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모계 혈족 관계 호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PC로 열람 추천)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color:#373a3c"
<tablebgcolor=#ddd,#383b40>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외종현조부 외현조부 | 외현조모 외현대고모
외재종고조부 외재종고대고모 외종고조부 외고조부 | 외고조모 외고대고모 외내재종고조부 외내재종고대고모
외재종증조부 외재종증대고모 외종증조부 외증조부 | 외증조모 외증대고모 외내재종증조부 외내재종증대고모
외삼종조부 외삼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재종조부 외재종대고모 외종조부 {{{#!wiki style="margin:-10px -10px" 외할아버지
(외조부)
외할머니
(외조모)
}}} 외대고모
(외존고모)
외내재종조부 외내재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내내삼종조부 외내내삼종대고모
외재당숙
(외재종숙)
외재당이모
(외재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당숙
(외종숙)
외당이모
(외종이모)
외숙부 아버지 | 어머니
(엄마, )
이모
(외고모)
외내당숙
(외내종숙)
외내당이모
(외내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내내재당숙
(외내내재종숙)
외내내재당이모
(외내내재종이모)
외삼종형제자매 외이삼종형제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재종형제 외재종자매 외이재종형제 외이재종자매 외종사촌 <colbgcolor=#8c6879> 이종사촌 외내재종형제 외내재종자매 외내이재종형제 외내이재종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이삼종형제자매
(외종형제) (외종자매) (이종형제) (이종자매)
외재종질 외재종생질 외이재종질 외이재종생질 외종질 외종생질 이종질 이종생질 외내재종질 외내재종생질 외내이재종질 외내이재종생질
외재종손 외이재종손 외종손 외이종손 이종손 이이종손 외내재종손 외내이재종손
범례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 ||

친족 촌수 명칭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1. 개요2. 관계3. 매체에서의 등장4. 가족관계상 실존 인물들
4.1. 사람이 아닌 동물의 경우
5. 이모인 캐릭터

1. 개요



어머니자매를 이르는 말로, 어머니의 언니나 여동생에 해당 된다. 아버지의 입장에서 여동생은 처제, 언니는 처형이다. 촌수로는 삼촌에 해당하며, 이모 입장에서 본인은 생질이다. 물론 이모를 촌수로 부르는 일은 거의 없다. 이모의 남편은 이모부, 이숙이다. 부모님의 이모[1]는 이모할머니[2]라고 부른다. 남남끼리에 경우 타인의 이모를 부를 때 이모님이라고 부른다.

영어로 이모는 maternal aunt이다.(대화하며 부를 땐 다른 친척이나 친척이 아닌 아줌마처럼 aunt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큰이모나 큰고모를 큰어머니라고 한다. #

2. 관계

다른 친족이 다 그렇지만, 친족 간의 왕래 빈도와 친밀도에 따라 거의 친어머니에 버금갈 정도로 친밀한 사이가 될 수 있고 아닐 수도 있다.[3]

다만 일반적으로 고모와 조카 사이보다는 이모와 조카 사이의 친밀도가 높은 경우가 더욱 많다. 혈연이 더 확실한 만큼[4] 심리적으로 더 가까우며, 무엇보다 서로 성별이 다른 아버지와 여자 형제보다는 어머니와 여자형제가 더 같이 공유할 일도 많고 친해질 일이 훨씬 많기 때문. 그리고 아이들도 아무래도 이모가 자신의 엄마와 닮았을 확률이 높은 만큼 이모를 더 좋아한다고 한다.

참고로 어머니가 외조부모의 맏이이며 막내이모가 외조부모의 늦둥이일 경우 조카와 이모 사이의 나이 차가 크지 않은 경우도 생긴다. 예를 들어 큰언니가 10대 후반 내지 20대일 때 늦둥이 여동생이 태어났고, 그 여동생이 10살 ~ 15살 미만일 때 큰언니가 결혼해 아이를 낳는다면 막내 여동생은 큰언니의 아이에게 혈연상 이모가 되지만 나이 차이로는 오히려 이모보다 언니/누나에 가깝게 되는 것.[5][6]

극단적으로 큰언니가 자기 아이를 낳은 후에 늦둥이 동생을 본다면[7] 조카가 이모와 나이가 같거나 조카보다 더 많은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물론 비단 이모 뿐만 아니라 고모, 삼촌, 외삼촌의 경우에도 얼마든지 해당되는 일로, 이런 식의 관계가 몇 세대를 내려오면 할아버지뻘 되는 사람이 손자뻘 되는 사람과 나이가 비슷하거나 더 어린 이른바 족보가 단단히 꼬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8] 나보다 어린 이모가 있으면 벌어지는 실제 사례

요즘 기준으로 보면 패륜, 근친상간에 해당하지만 고대에는 이모와 조카의 근친혼도 종종 그 사례가 보인다. 예를 들면 일본 황실 천황의 시조라고 전해지는 신화시대의 가상 인물인 진무 덴노의 어머니인 타마요리히메(玉依姬)의 남편이 바로 조카인 우가야후키아에즈노미코토이다. 또 고려 인종의 두 왕비가 바로 인종의 모후의 여동생들, 즉 이모들이었다. 물론 이건 이자겸이 자신의 권력과 위세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시킨 혼인이었고, 아무리 근친혼이 그리 드물지 않았던 고려 왕실이라 해도 이건 당시에도 부정적 시선이 많았다. 물론 이자겸은 신경 안 쓰고 기어이 밀어붙였지만...

이모의 아들/딸들은 이종사촌이라고 부른다.

3. 매체에서의 등장

일본 모에 서브컬처 창작물에서는 나이가 젊고 미혼인 이모 혹은 고모가 조카에게 '언니/누님이라고 불러라'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어로는 이모, 고모, 숙모, 아주머니를 가리키는 단어(おばさん)가 똑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친척이 아닌 사람과 호칭이 겹친다.[9]

엄마의 여자형제 전체일컫는 말이지만, 엄마의 언니라기 보다는 엄마의 여동생으로 훨씬 많이 등장한다.

에로물에서는 이모가 공략 히로인되는 작품이 종종 존재한다.

4. 가족관계상 실존 인물들

  • 강병옥
    문재인 전 대통령의 모친 강한옥의 여동생. 즉, 문재인의 이모이다. 다만 말만 이모지, 사실상 누나이다. 강병옥의 나이는 문재인보다 4살만 많은 1949년생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부모인 문용형과 강한옥 부부는 처제/여동생과 가족/처가 식구들을 북한 땅에 남겨두고 딸 문재월과 함께 6.25 전쟁 때 경상남도로 월남하여 이후 문재인을 임신 출산했다.
  • 의성왕후, 계아태후
    의성왕후는 자매 계아태후의 아들 경순왕의 이모이고, 계아태후는 자매 의성왕후의 아들 경명왕과 경애왕에게 이모이다.
  • 이케다 레이코, 시부야 세츠코
    일본 나루히토 황태자의 아내 마사코 황태자비의 쌍둥이 여동생으로, 각각 나루히토 황태자에게는 처제, 아이코 공주에게는 이모이다.
  • 고노에 야스코, 센 마사코
    쇼와 전 일본 천황의 남동생 다카히토 친왕의 딸들로 이들 자매들이 현재 남편인 고노에 타다데루와 센 소시츠와 결혼 후 낳은 자녀들에게는 각각 가족관계상 이모에 해당된다.

4.1. 사람이 아닌 동물의 경우

5. 이모인 캐릭터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할머니의 자매.[2] 정확한 명칭은 아버지의 이모는 진외존이모, 어머니의 이모는 외외존이모이다. 단, 진외존이모는 아버지에게는 이모이지만 본인에게는 진외가쪽이다.[3] 특히 친족간 왕래가 많고, 친밀도도 높은데, 이모랑 어머니가 일란성 쌍둥이라면 두 분 다 한 자리에 앉히고 본인 어머니를 고르라고 한다면(두 분 다 옷과 장신구 등을 비슷하게 했다는 가정하에) 쉽게 고르지 못한다.[4] 이모랑 외삼촌 입장에서 여자 형제의 자녀는 100% 본인의 혈육이지만, 고모랑 친삼촌 입장에서 모종의 이유로 남자 형제의 자녀는 자신의 혈육이 아닐 수도 있다. 똑같은 논리로 외할머니친할머니보다 손자, 손녀에게 느끼는 혈연의 정이 더 깊다고 한다.[5] 이로 인하여 그 이모가 조카에게 언니나 누나라고 부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정작 그 이모 본인도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일 때 조카한테 아주머니에 가까운 '이모' 소리를 듣기는 싫을 테니(...)... 이런 언니에 가까운 이모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 이모와 조카 간의 사이가 유사 남매처럼 조카가 사춘기 즈음에는 부모와의 관계가 어려워질 때 이모가 편을 들어주거나 중재해줄 수 있는 어른이 되어주는 경우도 생긴다. 물론 어느 가족관계라도 그렇듯 이것도 케바케라 조카가 개념이 없거나(이런 경우 부모인 언니 부부가 가장 문제일 가능성도 크다) 이모가 개차반이거나 하면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기도 하니 애초에 첨부터 서로 잘 하는 게 중요하다.[6] 순풍산부인과에서 박미달과 오혜교의 관계가 그렇다.[7] 그 큰언니가 20대 초중반 쯤에 아이를 낳고 그 어머니가 큰언니를 20대 초중반에 큰언니를 낳고 40대 초반 이후에 늦둥이를 낳아야 가능할 정도.[8] 사실 삼촌 및 그 조카의 항렬 내에서 이렇게 나오기는 드물지만 오촌 이상에서는 많아지며, 칠촌부터는 흔하다.[9] 사실 순우리말로도 한 세대 위의 친척을 남성(숙부/백부 등)은 아저씨, 여성(이모/고모/숙모/백모 등)은 아주머니로 지칭한다. 하지만 현대로 오면서 한국어로 아저씨/아주머니는 혈연이 없는 타인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진 경우이다. 예시로 우즈마키 보루토가 휴우가 하나비의 사이는 이모임에도 이모라 부르지 않고 누나라고 부른다.[10] 각각 박정희 전 대통령의 후처 육영수의 언니, 여동생으로 육영수 - 박정희 소생의 자녀들인 박근혜박근령박지만 남매에게는 전자는 큰이모, 후자는 작은이모에 해당.[11] 육영수의 언니 육인순의 자녀들인 홍세표와 홍소자 남매에게는 이모. 물론 육영수와 육인순의 여동생인 육예수 역시도 이들에게는 이모에 해당된다.[12]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주범인 최순실의 막내동생으로, 최순실의 딸 정유라와 최순득의 딸 장시호에게는 이모.[13] 최순천의 자녀들인 서애덕과 서현덕 남매에게는 이모.[14]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아내 박영옥의 여동생으로 김종필과 박영옥 소생의 자녀들인 김예리, 김진 남매에게는 이모에 해당.[15] 박계옥의 자녀들에게는 이모.[16] 재클린 케네디의 여동생으로 언니 재클린 케네디과 형부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자녀들인 캐롤라인 케네디와 존 F. 케네디 주니어에게는 이모.[17] 리 레지월의 자녀들에게는 이모.[18] 여동생 여수와 제부 번쾌의 아들인 번항의 이모.[19] 한고제 유방과 고황후 여씨의 아들이자 한나라 제2대 황제 한혜제의 이모.[20] 영국의 왕세자비 캐서린 미들턴|웨일스 공비 캐서린의 여동생[21] 극 중 장고래, 장다야의 모친인 나홍실의 늦둥이 여동생.[22] 늦둥이 친 여동생 나홍주강수일의 결혼으로 김도란의 이모가 되었다.[23] 김도란&김미란 자매의 이모이자, 소양자의 여동생.[24] 주인공보다 나이가 어린 이모.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25] 피튜니아의 아들인 더들리 더즐리에게는 이모.[26] 벨라트릭스와 안드로메다 둘 다 드레이크 말포이의 이모.[27] 님파도라 통스델피 디고리에게는 이모.[28] 마지막에 아라가미 사태가 종식되고 쌍둥이 여동생인 모미지와 쿠사나기 마모루와 이어져 그 둘 사이에서 자식이 태어나자 이모가 되었다.[29] 각각 노하라 신노스케, 노하라 히마와리 남매의 어머니인 노하라 미사에(봉미선)의 언니와 여동생.[30] 이모인데 조카인 아야노보다 더 어리다.[31] 완결 시점에서 언니형부가 결혼 이후에 낳은 1남 1녀의 이모가 된다.[32] 레베카의 이모.[33] 쌍둥이 언니 시폰이 카포네 벳지와 결혼해 아들을 펫츠를 낳았으니 로라는 펫츠의 이모다. 사실 정확히 따지면 빅 맘 해적단/샬롯 패밀리의 딸들 전원이 이모지만.[34] 검프와 제니의 사이에서 나온 아들에게는 이모.[35] 언니 차유리가 낳은 딸 조서우한테는 이모이다.[36] 아라, 사라 자매의 이모[37] 둘 다 각각 아랑사와 아비사의 이모 된다(미호는 아비사의 어머니, 시호는 아랑사의 어머니).[38] 중운의 이모.[유카리는] 하루카의 이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