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21:22:54

울산 김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파일:울산 김씨 종문.png
蔚山 金氏
울산 김씨
관향 울산광역시
시조 김덕지(金德摯)
중시조 김환(金環)
집성촌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북도 고창군, 순창군 복흥면
울산광역시 북구 정자동·무룡동
함경남도 문천군
인구(2015년) 36,225명 (163위)[1]

1. 개요2. 시조3. 세계4. 김온 사후
4.1. 고려4.2. 조선
5. 분파
5.1. 장파(長派)5.2. 중파(仲派)5.3. 계파(季派)
6. 근·현대 인물7. 돌림자8. 집성촌9. 외부 링크

1. 개요

울산 김씨(蔚山 金氏)는 울산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 시조

시조 김덕지(金德摯)신라 제56대 경순왕의 둘째 왕자이다. 학성(鶴城)을 식읍으로 받고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에 봉작되어 울산 김씨 시조가 되었다.[2] 학성(鶴城)은 울산(蔚山)의 옛 지명이다.

사기에 의하면 그는 935년 10월 아버지 경순왕고려 태조에게 신라의 천년 사직을 양위하려 하자 불가함을 극력 간(諫)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처자를 버리고 형 마의태자와 함께 개골산(금강산의 겨울 이름)에 들어갔다고 한다.

일설에는 이후 화엄종에 귀의하여 법수사와 해인사에 드나들며 도를 닦으며 망국의 한을 달랬다고 하며, 승명이 범공(梵空)이라 한다. 이러한 행적들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어 자세하게 상고할 수 없다.

3. 세계

14세손 김환(金環)이 고려 충숙왕때 삼중대광 광록대부 영도첨의사에 이르고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학성의 별호인 울산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여말 선초에 이르러 17세손 김온(金穩)이 조선 개국원종공신으로 흥려군(興麗君)에 봉해지고 양주목사(楊州牧使)를 지내다 1413년(태종 13) 졸하니 수가 66세이다. 장성 학림사(鶴林祠)에 배향되고, 조선 개국공신의 지위가 인정되어 유림들에 의해 불천지위(不遷之位)에 오르고 그를 모시는 사당 부조묘(不祧廟)가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신평리 신평부락에 세웠졌다.

4. 김온 사후

정부인 여흥 민씨(驪興閔氏)는 조선 태종 이방원의 왕후 원경왕후와 종자매(從姉妹)인데, 친가가 태종의 왕권 강화 정쟁에 휘말려 피화(被禍)를 입자 아들 세 형제를 비롯한 식솔들을 데리고 장성에 낙담하여 새 터를 잡았다.[3] 이후 가문은 산림에서 명리(名利)를 멀리하고 학문과 존심양성(存心養性)에 주력하였다.

22세손 문정공(文正公) 하서 김인후필암서원문묘(文廟)에 배향되었으며, 이후 울산 김씨 집안을 울김(蔚金)이라 하며 명족으로 불렀다.

하서 김인후 이외에도 문, 무과 급제자, 음사(蔭仕), 은일(隱逸)로 출사한 인사들이 다수 나왔다. 또 나라가 어려운 고비 때마다 분기하여 의(義)와 충절(忠節)을 다하였으며, 계유정난, 임진왜란, 병자호란, 구한말의 국난 등에 의인, 열사가 지속적으로 나왔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충신 가문이라 할 수 있다.

근현대에 들어서도 인촌 김성수로 대표되는 동아일보 가문, 김병로, 김상협, 김종인 등 대한민국 주요 인물들을 배출하고 있다.

4.1. 고려

  • 김환(金環)[4]
  • 김계흥(金季興)[5]
  • 김황(金貺)[6]

4.2. 조선

  • 김온(金穩. 1348-1413)
  • 정부인(貞夫人)[7] 여흥 민씨(驪興 閔氏. 1351-1421)

5. 분파

5.1. 장파(長派)

  • 파조(派祖) 김달근(金達根)[8]
  • 김신덕(金愼德. 1400-1458?)[9]
  • 김수노(金粹老. 1401-1458)[10]
  • 김대명(金大鳴. 1536-1603)
  • 김천록(金天祿. ?-1593)

5.2. 중파(仲派)

  • 파조(派祖) 김달원(金達源)[11]
  • 김인후(金麟厚. 1510-1560)
  • 김남중(金南重. 1570-1636)[12]
  • 의인(宜人) 행주 기씨(幸州 奇氏)[13]
  • 김형지(金亨祉, 1621-1675)
  • 김기하(金器夏, 1649-1701)[14]
  • 김시서(金時瑞, 1652-1707)
  • 김희서(金羲瑞, 1675-1742)
  • 김녹휴(金祿休, 1827-1899)
  • 김익중(金翼中, 1851-1907)[15]
  • 김기중(金祺中. 1859-1933)

5.3. 계파(季派)

  • 파조(派祖) 김달지(金達枝)[16]
  • 김처리(金處离. 1403-1456)
  • 김응두(金應斗. 1492-1552)
  • 김경수(金景壽. 1543-1621)[17]
  • 김신남(金信男. 1552-1598)
  • 김진호(金鎭祜. 1847-1924)

6. 근·현대 인물

7. 돌림자

28세 口현(賢)
29세 口조(祖),경(敬)
30세 방(邦), 지(志)
31세 口휴(休)
32세 口환(煥), 口경(景)
33세 요(堯), 口규(圭), 口기(基), 口규(奎)
34세 口중(中), 口기(基), 종(鍾), 용(鎔)
35세 口수(洙), 口주(柱), 口영(永)
36세 상(相), 원(源), 용(容), 동(東), 인(仁)
37세 병(炳), 규(奎), 口섭(燮), 口형(炯)
38세 재(載), 재(在), 진(鎭)
39세 口구(九), 식(湜), 종(鍾)
40세 치(治)
41세 口래(來)
42세 광(光)
43세 口표(杓)
44세 연(鍊)
45세 口홍(洪)
46세 병(秉)
47세 口희(熙)
48세 노(老)

8. 집성촌

현재 수많은 후손들이 70~80년대 공업화에 따라 광주,서울 대도시로 상경하고 해외로 진출해 있지만, 선산 및 위토 등은 그대로 보유하고 있으며, 봄·가을 선조들의 시제를 모시고 있다. 전남과 경남에 아주 많다.

9. 외부 링크



[1] 대한민국 김씨 중에서 매우 적은 수이다.[2] 학성부원군에 봉해진 기록이 후손 《하서 김인후 가장》 , 《증보문헌비고》, 《조선씨족통보》등에 기록 되어있다.[3] 장성은 울산김씨 집성촌중 하나이다.[4] 고려말 처음 출사하여 삼중대광(三重大匡) 광록대부(光祿大夫) 영도첨의사(領都僉議事)에 이르렀고, 학성군(鶴城君)으로 봉군(封君)되었다.[5]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며,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학성군(鶴城君)에 재봉군(再封君) 되었다.[6] 봉상대부(奉常大夫) 전공총랑(典工摠郞)을 지냈다.[7] 조선 시대에, 정이품ㆍ종이품 문무관의 아내에게 주던 봉작. 숙부인의 위, 정경부인의 아래[8] 흥려군(興麗君) 김온(穩)의 장자. 수의부위(修義副尉) 좌군부사정(左軍副司正)를 지냈으며, 세종대왕(世宗大王) 내외족(內外族) 육촌계원(六寸契員)이다.[9] 단종(端宗) 퇴위에 벼슬을 버리고 시골로 내려와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10] 의정부 녹사(議政府 綠事), 중부령(中部令)을 거쳐 세조 3(1457) 단종(端宗) 퇴위에 벼슬을 버리고 귀향 후, 단종 승하 소식을 듣고 투신 자결하였다.[11] 흥려군(興麗君) 김온(穩)의 차자. 충좌위(忠佐衛) 중령사정(中領司正)을 지냈으며, 세종대왕(世宗大王) 내외족(內外族) 육촌계원(六寸契員)이다.[12] 하서 김인후의 손자이다. 선조 24년(1591) 종계변무(宗系辨誣)[21]공(功)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봉해지고, 임진왜란 때 종군(從軍)하였다. 장성 회계사(晦溪祠)에 제향되었다.[13]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선생의 딸이다. 정유재란 때 왜군들에게 잡혔는데, 절개를 지키고자 잡힌 팔을 잘라 버리고 강물에 투신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남편 김남중(金南重)이 잘린 팔 하나를 거두어 맥동 원당 선산에 장사지냈는데 이를 일비장(一臂葬)이라 한다.[14] 조선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15] 구한말 의병장. 고종(高宗) 강제 퇴위에 격분하여 1907년 9월 장성 수록산(隨綠山)에서 성재(省齋) 기삼연(奇參衍)을 대장으로 하는 호남창의회맹소(湖南倡義會盟所)를 결성하여 종사(從事)하였다. 이후 장성, 영광 등지에서 순사주재소, 일본인 상점, 일진회 사무소 등을 습격하였고, 그해 9월 23일 전북 고창 문수사(文殊寺)에서 야습해온 일본군과 싸우다가 북문루(北門樓)에서 전사함에서 전사하였다.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고, 전라북도 진안(鎭安) 이산묘(駬山廟)에 배향되었다.[16] 흥려군(興麗君) 김온(穩)의 삼자. 호분위(虎賁衛) 부사정(副司正)을 지냈으며, 세종대왕(世宗大王) 내외족(內外族) 육촌계원(六寸契員)이다.[17] 조선 중기의 의병[18] 인촌 김성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19] 독립유공자 김병로가 이 마을 출신이다.[20] 현재는 만료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