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00:50:39

웨일스 공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파일:825px-Map_of_Northern_Ireland_within_the_United_Kingdom.svg._2.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위치.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위치.svg
웨일스
파일:잉글랜드 위치.svg
잉글랜드
고대 켈트족
히베르니아
,게일족,
칼레도니아
,픽트족,
,브리튼족,
로만 브리튼
,이후,
귀네드
왕국
더베드
왕국
앵글족 / 색슨족 / 주트족
앵글로색슨 7왕국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데인로 웨식스
중세 알라퍼
왕국
데허이
바르스
잉글랜드 왕국
웨식스 왕조
북해 제국
노르만 왕조
앙주 왕조(앙주 제국)
플랜태저넷 왕조
아일랜드 영지
스코틀랜드
왕국
웨일스 공국
잉글랜드 왕국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장미 전쟁)
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현대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윈저 왕조
아일랜드
}}}}}}}}}}}} ||
웨일스 공국
Tywysogaeth Cymru
Principality of Wales
파일:UTF-8''Banner_of_Llywelyn_(Square).svg.png 파일:UTF-8''Arms_of_Llywelyn.svg.png
국기 국장
파일:Wales_after_the_Treaty_of_Montgomery_1267_Colorblind.svg.png
1267년 지도
초록색 = 귀네드 왕국(공실 직할령)
자주색 = 허웰린 압 그리피드가 정복한 영토
파란색 = 허웰린의 가신(vassals)의 영토
주황색 = 변경영주들의 영지[1]
노란색 = 잉글랜드 왕의 영지
<colbgcolor=#ffda00><colcolor=#d30731> 1216 ~ 1283/1536[2]
<rowcolor=#d30731>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브리튼인
귀네드 왕국
잉글랜드 왕국
위치 웨일스
국교 가톨릭
언어 웨일스어
종족 웨일스인
수도 귀네드
국가원수
화폐 페니
역사 1216년 - 건국
1283년 - 잉글랜드의 하위 공국으로 편입
1536년 - 폐지 및 멸망
1. 개요2. 상세3. 역대 공4. 여담

[clearfix]

1. 개요

1216년 귀네드허웰린 압 요르웨르스웨일스를 통일하여 세운 공국.

1283년 잉글랜드 왕국의 침략을 받아 잉글랜드의 하위 공국이 되어 웨일스 공 지위를 가진 잉글랜드 왕세자의 통치를 받았으며, 1535년과 1542년 웨일스 법(Laws in Wales Acts 1535 and 1542, Y Deddfau Cyfreithiau yng Nghymru 1535 a 1542)이 제정되어 공국이 폐지되고 잉글랜드의 일부로 합병되었다.

2. 상세

웨일스의 위대한 군주로 추앙받는 아베르프라우(Aberffraw) 가문의 귀네드 왕국의 왕 허웰린 압 요르웨르스(Llywelyn ap Iorwerth, 혹은 허웰린 대왕-Llywelyn Fawr)가 다른 웨일스 귀족들을 복속시켜 하나로 통합했고 이후 1216년 스스로를 웨일스 공(프린스 오브 웨일스, Prince of Wales, Tywysog Cymru)이라 칭했다. 그리고 1218년 당시 잉글랜드의 군주였던 헨리 3세는 허웰린이 자칭한 웨일스 공을 정식 작위로 인정해 잉글랜드 왕의 봉신이자 웨일스의 군주로 승인했고 이로써 웨일스 지역에 통일된 국가인 웨일스 공국(Principality of Wales, Tywysogaeth Cymru)이 수립되었다.

1272년 잉글랜드의 헨리 3세가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왕으로 즉위한 에드워드 1세는 명목상으로 잉글랜드의 영토인 웨일스 지방과 봉신 관계라곤 해도 웨일스에 독립된 정권이 있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겼다. 브리튼 섬 통일을 원하고 있던 에드워드 1세는 1277년 웨일스를 공격했다. 웨일스 공국은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패배해 1282년, 웨일스 공이었던 허웰린 압 그리피드(Llywelyn ap Gruffudd)가 전사하였다. 1284년에 그 뒤를 이어 웨일스 공을 자칭한 허웰린 압 그리피드의 동생인 다비드 압 그리피드(Dafydd ap Gruffydd)가 잉글랜드군에 사로잡혀 처형당하면서 독립된 웨일스 공국과 그 군주인 웨일스 공의 지위가 사실상 소멸되었다. 그리고 1301년 웨일스 지역을 완전히 복속시킨 에드워드 1세는 아들이자 왕세자인 에드워드 2세에게 웨일스 공 작위를 수여해 더이상 독립된 웨일스 공국이 아닌 잉글랜드에 완전히 종속된 웨일스로 편입되었다.

1400년대에 오와인 글린두르가 웨일스 공을 자칭하며 끈질긴 무장 투쟁으로 독립을 이룰 뻔도 하였지만 금세 진압당하고 만다.

그리고 1536년, 잉글랜드는 잉글랜드의 종속국인 웨일스 공국을 폐지시키고 잉글랜드의 일부로 합병해 버린다. 헨리 8세는 웨일스를 따로 통치하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 때 잉글랜드 왕실 최고 행정관(Chief administrator to the English crown)인 토머스 크롬웰(Thomas Cromwell)이 Laws in Wales Acts라는 법안으로 웨일스 공국을 잉글랜드 왕국에 합병하자는 아이디어를 올렸다. 마침 웨일스는 헨리 8세의 아버지인 헨리 7세의 고향이었고 이러한 이유로 헨리 8세와 정서적으로 가까웠으며,[3] 가톨릭을 믿는 아일랜드로 진출하기에 용이한 장소였다. 그리하여 1536년 4월 14일과 1543년 5월 12일 두 차례의 법안 발표에 걸쳐 웨일스를 잉글랜드의 일부로 합병한다. 웨일스에서는 웨일스어 대신 영어를 법원 등 공식 석상의 공용어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잉글랜드와 똑같은 법체계를 적용하였다. 다만 웨일스의 높으신 분들은 잉글랜드 귀족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며 오히려 좋아했다고 한다...오히려 좋아 이 병합 법률은 1536년 법은 1993년 12월 21일 폐지되었고, 1543년 법은 1995년 1월 3일 폐지되었다. 이후 웨일스에서는 웨일스 자치정부가 설립되어, 웨일스는 법적으로 완전히 잉글랜드에서 독립하게 되고 영국의 어였한 구성국으로 대접받게 된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에 비해 뒤늦게 세워져 13세기 단 한세기 동안만 독립적으로 존속해 영국사에서 큰 지분을 차지하지 못한 비운의 나라. 거기다 1707년 영국 통일 당시 웨일스는 영국의 정당한 구성국이 아닌 잉글랜드의 일부로 취급되어, 이러한 이유로 유니언 잭에는 웨일스의 상징이 없다.

3. 역대 공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ebe00, #ffda00 20%, #ffda00 80%, #debe00);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쿠네다 왕조
쿠네다 울레딕 에이니온 어르스 카드왈론 라우히르 마엘군 귀네드
룬 히르 벨리 압 룬 이아고 압 벨리 카드반 압 이아고
카드왈론 압 카드반 카다바엘 카도메드 카드왈라드르 벤디가이드 이두알 이두르흐
로드리 몰루어녹 카라독 압 메이리온 커난 딘다에수이 허웰 압 로드리 몰루어녹
마나우 왕조 아베르프라우 왕조
메르번 브러흐 로드리 마우르 아나라우드 압 로드리 이두알 보엘
아베르프라우 왕조
허우엘 다 이아고 압 이두알
이에이아브 압 이두알
허우엘 압 이에이아브 카드왈론 압 이에이아브
디네부르 왕조 아베르프라우 왕조 찬탈 리들란 왕조
마레디드 압 오와인 커난 압 허웰 아에단 압 블레거우러드 허웰린 압 세이설
아베르프라우 왕조 리들란 왕조 마스라발 왕조
이아고 압 이두알 압 메이딕 그리퍼드 압 허웰린 블레던 압 커난
리왈론 압 커난
트라하에아른 압 카라독
아베르프라우 왕조
그리퍼드 압 커난 오와인 귀네드 압 그리퍼드 허웰린 압 오와인 귀네드 다비드 1세
마엘군 압 오와인 귀네드
로드리 압 오와인 귀네드
아베르프라우 왕조 (웨일스 공)
허웰린 바우르 다비드 압 허웰린 오와인 고흐 허웰린 압 그리퍼드
아베르프라우 왕조 (웨일스 공) 마스라발 왕조 (웨일스 공)
다비드 압 그리퍼드 마독 압 허웰린 오와인 라우르 오와인 글린두르
}}}}}}}}}

잉글랜드의 정복 이전.
이름 출생 사망 재위
허웰린 압 요르웨르스
(Llywelyn ap Iorwerth)
1173년 1240년 4월 11일 1228년 ~ 1240년 4월 11일[4]
다버드 압 허웰린
(Dafydd ap Llywelyn)
1212년 4월 1246년 2월 25일 1240년 4월 11일 ~ 1246년 2월 25일
허웰린 압 그리피드
(Llywelyn ap Gruffudd)
1223년 1282년 12월 11일 1246년 2월 25일 ~ 1282년 12월 11일
다버드 압 그리퍼드
(Dafydd ap Gruffydd)[5]
1238년 7월 11일 1283년 10월 3일 1282년 12월 11일 ~ 1283년 10월 3일
마독 압 허웰린
(Madog ap Llywelyn)
1277년 1312년 1294년 ~ 1295년
오와인 압 토마스 압 로드리
(Owain ap Thomas ap Rhodri)
1330년 1378년 1372년
오와인 압 그리퍼드
(Owain ap Gruffydd)[6]
1354년 1415년 1400년 ~ 1415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0%,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281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3세 헨리 4세
카나번의 에드워드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보르도의 리처드 몬머스의 헨리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리처드 3세 헨리 7세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요크의 에드워드 미들햄의 에드워드 아서 튜더
헨리 7세 헨리 8세 제임스 1세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찰스 1세 제임스 2세 조지 1세 조지 2세
찰스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조지 오거스터스 프레더릭 루이
조지 2세 조지 3세 빅토리아 에드워드 7세
조지 윌리엄 프레더릭 조지 오거스터스 프레더릭 앨버트 에드워드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조지 5세 엘리자베스 2세 찰스 3세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티안 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
}}}}}}}}}}}}}}}

잉글랜드의 정복 이후.

국왕으로 즉위한 경우는 칸을 노란색으로 표시했다.
이름 출생 사망 재위
에드워드 2세
카나번의 에드워드
1284년 4월 25일 1327년 9월 21일 1301년 2월 7일 ~ 1307년 7월 7일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1330년 6월 15일 1376년 6월 8일 1343년 5월 12일 ~ 1376년 6월 8일
리처드 2세
보르도의 리처드
1367년 1월 6일 1400년 2월 14일 1376년 11월 20일 ~ 1377년 6월 22일
헨리 5세
몬머스의 헨리
1386년 9월 16일 1422년 8월 31일 1399년 10월 15일 ~ 1413년 3월 21일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1453년 10월 13일 1471년 5월 4일 1454년 3월 15일 ~ 1471년 4월 11일
에드워드 5세
요크의 에드워드
1470년 11월 4일 1483년? 1471년 6월 26일 ~ 1483년 4월 9일
미들햄의 에드워드 1473년 1484년 3월 31일 또는 4월 9일 1483년 8월 24일 ~ 1484년 3월 31일 또는 4월 9일
아서 튜더 1486년 9월 20일 1502년 4월 2일 1489년 11월 29일 ~ 1502년 4월 2일
헨리 8세
헨리 튜더
1491년 6월 28일 1547년 1월 28일 1504년 2월 18일 ~ 1509년 4월 21일
에드워드 6세
에드워드 튜더
1537년 10월 12일 1553년 7월 6일 1537년 10월 18일 ~ 1547년 1월 28일[7]
웨일스 공국 폐지 이후 웨일스 공 작위를 받은 왕세자들은 웨일스 공 문서 참조. 웨일스 공국 폐지 이후로 웨일스 공은 웨일스를 통치하는 직위가 아닌 왕세자의 호칭으로 남게 되었다.

4. 여담

허웰린의 소관(웨일스어: Talaith Llywelyn, 영어: Llywelyn's coronet)이라는 지금은 사라진 보물이 있었다고 한다.

허웰린 압 그리피드가 1282년 잉글랜드와 최후의 결전을 앞두고 이 소관을 비롯한 보물들을 커메르 수도원의 수도승들에게 맡겼다. 그러나 그해 말 허웰린은 전사했고, 귀네드 왕국도 멸망하면서 소관과 십자가는 1284년 다른 성유물들과 함께 잉글랜드군의 손에 넘어가게 되었다. 이후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1세는 웨일스의 보물들을 런던으로 가져가 웨스트민스터 수도원의 참회왕 에드워드를 모신 법당에 봉헌했다. 에드워드 1세는 이 소관을 두고 아서 왕의 관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소관을 봉헌했다. 물론 아서 왕이 실존 인물인지는 알 수 없지만 웨일스 정복을 상징하는 점에서 느낌이라도 내는 것이다.

그 뒤 웨스트민스터에 있다가, 1303년 이 관을 비롯한 다른 왕실 보물들이 일시 도난되는 사건이 있게 되어 런던탑으로 옮겨졌다. 그 뒤 1649년 올리버 크롬웰의 명령으로 다른 왕실 보물들과 함께 파괴된 것으로 대개 여겨진다. 하지만 당시 의회군이 왕실 보물을 파괴하기 전에 작성한 목록에는 이 관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경위로 사라졌는지는 불명이다.
[1] 잉글랜드에 후작 작위가 도입되기 전 잉글랜드에서 임명된 웨일스 남부를 통치한 영주들.# 이 지역들은 잉글랜드 출신 영주들의 영향으로 웨일스에서 도시화가 높은 지역이며 웨일스어 사용 비중이 낮고 영어의 사용 비중이 높다.[2] 1283년 잉글랜드의 하위 공국으로 편입 후 잉글랜드 왕세자와 동군연합, 1536년 폐지 및 잉글랜드 편입.[3] 다만 헨리 8세의 할아버지인 에드먼드 튜더는 헨리 7세가 태어나기도 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헨리 8세는 웨일스의 할아버지댁을 방문하는 일은 해 보지 못했다.아빠 고향에 놀러가면 되지[4] 사실상의 웨일스 통일은 1216년부터다.[5] 이후 잉글랜드 왕세자가 웨일스 공으로 재위하고 있다. 하지만 잉글랜드의 지배 이후에도 웨일스 공을 자칭한 웨일스인들이 있었다.[6] 오와인 글린두르(Owain Glyndŵr)로 잘 알려져 있다.[7] 1536년 웨일스 공국 합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