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5:58:12

윤준병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정읍시·고창군)
제20대
유성엽
제21-22대
윤준병
현직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강덕기
제2대
김의재
제3대
강덕기
제4대
이필곤
제5대
강홍빈
제6대
김우석
제7대
원세훈
제8대
김흥권
제9대
나진구
제10대
권영규
제11대
김상범
제12대
정효성
제13대
류경기
제14대
윤준병
제15대
강태웅
제16대
서정협
제17대
조인동
제18대
김의승
제19대
김상한
파일:SEOUL MY SOUL 한글병기.svg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 상하대칭.svg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도당위원장
한병도
전주 갑 전주 을 전주 병 군산·김제·부안 갑
김윤덕 이성윤 정동영 신영대
군산·김제·부안 을 익산 갑 익산 을 정읍·고창
이원택 이춘석 한병도 윤준병
남원·장수·임실·순창 완주·진안·무주
박희승 안호영
}}}}}}}}}}}}}}}
제14대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
<colbgcolor=#15248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1·22대 국회의원
윤준병
尹準炳 | Yoon Joon-byeong
파일:100134615.jpg
출생 1961년 3월 3일 ([age(1961-03-03)]세)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거주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본관 파평 윤씨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정읍시·고창군 지역위원장
재임기간 제14대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 (박원순 시정)
2018년 1월 11일 ~ 2019년 4월 30일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52484><colcolor=#fff> 학력 대흥국민학교 (졸업 / 23회)
호남중학교 (졸업 / 27회)
전주고등학교 (졸업 / 55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 / 학사)[1]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2] / 석사)[3]
오리건 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 석사)[4]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5]
병역 육군 육군종합행정학교 중위 전역 (학사장교 6기)
(1984년 7월 7일 ~ 1987년 7월 31일)
소속 정당
파일:zsdkl3gasdg.svg
지역구 전북 정읍시·고창군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21, 22
소속 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경력 제26회 행정고시 합격
서울특별시청 산업자원과장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서울특별시청 가족보건기획관
서울특별시 관악구 부구청장
서울특별시청 도시교통본부장
서울특별시 은평구 부구청장
서울특별시청 도시교통본부장
서울특별시청 기획조정실장
제14대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 (박원순 시정)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6]
제21대 국회의원 (전북 정읍시·고창군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제22대 국회의원 (전북 정읍시·고창군 / 더불어민주당)
}}}}}}}}}

1. 개요2. 생애3. 경력4. 여담5. 논란6. 저서7. 소속 정당8. 선거 이력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2. 생애

1961년 3월 3일, 전라북도 정읍군(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에서 태어났다. 외가는 고창군 상하면에 있다. 이후 정읍 대흥국민학교, 호남중학교, 전주고등학교(55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경제학 부전공)를 졸업하고 1984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개발행정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 6월 미국 오리건 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2006년 8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82년 제26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였다. 1984년 7월 7일 학사장교 2기로 대한민국 육군소위로 임관하였으며,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부관 병과 장교로 복무하였다. 1987년 7월 31일 중위로 전역하여 병역을 마쳤다.

이후 공무원에 복직하여 전라북도청을 거쳐 주로 서울특별시청에서 근무하였다. 이후 주차계획과장, 대중교통과장, 교통기획과장, 상수도사업본부 경영관리부장, 산업지원과장, 교통기획관, 가족보건기획관, 관악구 부구청장, 도시교통본부장, 은평구 부구청장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은평구 부구청장에서 복귀하여 다시 도시교통본부장[7]을 맡다가 2018년 1월 차관급 공직인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에 내정되어 박원순 시정 하의 행정1부시장이 된다. 2018년 5월 14일부터 2018년 6월 13일까지 한 달간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을 지내기도 했다.

2019년 4월까지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으로 근무하였고 퇴임 이후 집권여당이자 고향인 전라도에서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더불어민주당의 인재영입 제의를 수락하여 고향인 전북 정읍시·고창군지역위원장[8]을 맡게 된다. 총선 전 지역위원장 자리를 주고 영입한만큼 21대 총선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매우 유리한 고지를 밟을 것으로 보였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전라북도 정읍시·고창군 후보로 단수공천되었고 본선에서도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이던 민생당 유성엽 후보에 39.55%p(36,896표) 차이로 무난히 압승하며 당선되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번째로 당선이 확정되었다.

3. 경력

4. 여담

  • 공무원으로서 이미지가 매우 강직했다고 한다. 부당하다고 생각되는 일에는 주위 눈치를 안 보고 본인의 의지대로 일을 처리했다. 그로 인해 공무원 근무 당시에 인사에 대한 불이익도 종종 받았다고 한다.[9][10] 그러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나 처리능력이 뛰어나 결국 차관급인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11]까지 역임하게 된다.
  • 2012년 4월에 서울 지하철 9호선 시행사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측이 서울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9호선 자체 추가요금 500원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하자 이에 강경하게 대응하는 것을 진두지휘한 인물이다.[12] 오세훈 시장 임기 초창기였던 2007년에 교통기획관으로 임명되고 4년 후인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박원순 시장이 불과 한달 후 도시교통본부장에 임명했을 정도로 교통 정책에 대해서 매우 해박한 것이 빛을 발한 사례인데, 2013년 5월 서울행정법원이 서울시의 9호선 요금 인상 거부를 정당하다고 판결하면서 9호선 요금 인상이 완전히 무산된 것은 물론이고 개화~신논현 1단계 구간에 대한 사업 협약도 뜯어고쳐 서울시가 9호선 요금 결정권을 완전히 가져오게 되었다. 한마디로 9호선의 공공성을 지켜낸 1등 공신인 셈이다.
  • 유성엽 의원과 전주고 55회 동문이자 서울대 동문이다. 행정고시는 윤준병이 26회, 유성엽이 27회(1983년)로 1년 먼저 합격했다.

5.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준병/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저서

파일:서울을 바꾼 교통정책 이야기.png파일:윤준병의 파란주전자 이야기.png파일:해결사 윤준병의 해결하는 정치.jpg

7.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zsdkl3gasdg.svg
2019 - 현재 정계 입문

8.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152484>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고창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5,082 (69.77%) 당선 (1위) 초선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zsdkl3gasdg.svg
79,593 (86.86%) 재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윤준병1.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21대 총선 (전북 정읍시·고창군) 22대 총선 (전북 정읍시·고창군) }}}}}}}}}

9. 둘러보기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제21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전주 갑 전주 을 전주 병 군산
김윤덕 강성희 김성주 신영대
익산 갑 익산 을 정읍·고창
김수흥 한병도 윤준병 이용호
김제·부안
이원택 안호영
* 전주 을 이상직 의원직 상실 (2022. 5. 12.)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 갑 전주 을 전주 병
김윤덕 이성윤 정동영 신영대
익산 갑 익산 을
이원택 이춘석 한병도 윤준병
박희승 안호영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득구 강민정 강병원 강선우 강준현
강훈식 고민정 고영인 고용진 권인숙
권칠승 기동민 김경만 김경협 김교흥
김남국 김두관 김민기 김민석 김민철
김병기 김병욱 김병주 김상희 김성주
김성환 김수흥 김승남 김승원 김영배
김영진 김영호 김용민 김원이 김윤덕
김의겸 김정호 김주영 김철민 김태년
김한규 김한정 김홍걸 김회재 남인순
노웅래 도종환 맹성규 문정복 문진석
민병덕 민형배 민홍철 박광온 박범계
박병석 박상혁 박성준 박용진 박재호
박정 박주민 박찬대 박홍근 백혜련
변재일 서동용 서삼석 서영교 서영석
소병철 소병훈 송갑석 송기헌 송옥주
송재호 신동근 신영대 신정훈 신현영
안규백 안민석 안호영 양경숙 양기대
양이원영 어기구 오기형 우상호 우원식
위성곤 유기홍 유동수 유정주 윤건영
윤영덕 윤영찬 윤재갑 윤준병 윤호중
윤후덕 이개호 이동주 이병훈 이소영
이수진 이용빈 이용선 이용우 이원택
이인영 이장섭 이재명 이재정 이정문
이탄희 이학영 이해식 이형석 인재근
임오경 임호선 장경태 장철민 전용기
전재수 전해철 정성호 정일영 정청래
정춘숙 정태호 정필모 조승래 조오섭
조정식 주철현 진선미 진성준 천준호
최기상 최인호 최종윤 최혜영 한병도
한정애 한준호 허숙정 허영 허종식
홍기원 홍성국 홍익표 홍정민 황희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득구 강선우 강유정 강준현 강훈식
고민정 곽상언 권칠승 권향엽 김교흥
김기표 김남근 김남희 김동아 김문수
김민석 김병기 김병주 김성환 김성회
김승원 김영배 김영진 김영호 김영환
김용만 김용민 김우영 김원이 김윤
김윤덕 김정호 김주영 김준혁 김태년
김태선 김한규 김현 김현정 남인순
노종면 맹성규 모경종 문금주 문대림
문정복 문진석 민병덕 민형배 민홍철
박균택 박민규 박범계 박상혁 박선원
박성준 박수현 박용갑 박정 박정현
박주민 박지원 박지혜 박찬대 박해철
박홍근 박홍배 박희승 백승아 백혜련
복기왕 부승찬 서미화 서삼석 서영교
서영석 소병훈 손명수 송기헌 송옥주
송재봉 신영대 신정훈 안규백 안도걸
안태준 안호영 양문석 양부남 어기구
염태영 오기형 오세희 위성곤 위성락
유동수 윤건영 윤종군 윤준병 윤호중
윤후덕 이강일 이개호 이건태 이광희
이기헌 이병진 이상식 이성윤 이소영
이수진 이언주 이연희 이용선 이용우
이원택 이인영 이재강 이재관 이재명
이재정 이정문 이정헌 이춘석 이학영
이해식 이훈기 임광현 임미애 임오경
임호선 장경태 장종태 장철민 전용기
전재수 전진숙 전현희 정동영 정성호
정을호 정일영 정준호 정진욱 정청래
정태호 조계원 조승래 조인철 조정식
주철현 진선미 진성준 차지호 채현일
천준호 최기상 최민희 추미애 한민수
한병도 한정애 한준호 허성무 허영
허종식 홍기원 황명선 황정아 황희 }}}}}}}}}


[1] 경제학 부전공.[2] 개발행정 전공[3] 석사 학위 논문: 改革推進機構(개혁추진기구)의 制度化(제도화)에 關(관)한 硏究(연구) : 社會淨化推進協議會(사회정화추진협의회)를 中心(중심)으로(1984).[4] 석사 학위 논문: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roviding Mass Transportation/Bus Services in Seoul, Korea(1999. 6).[5] 박사 학위 논문 : 국가책임법제의 공백축소에 관한 연구(2006. 8).[6] 박원순 시장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함에 따라, 지방자치법 제111조제2항에 의거, 시장선거 후보등록일부로 시장 직무가 정지되어 선거날까지 행정1부시장으로서 시장 권한을 대행한 바 있다.[7] 주로 교통부서에서 근무하였고, 특히 서울시 최초로 도시교통본부장을 2번 지내는 이력으로 인해 서울시 안팎으로 교통전문가라는 평을 듣게 된다.[8] 원래 지역위원장이었던 이수혁 비례대표 의원은 이후 주미대사로 임명되어 의원직을 내려놓았다. 정은혜 의원이 승계.[9] 기조실장을 달기 이전까지의 이력을 보면 주로 교통부서에서 근무했는데, 교통부서는 업무량도 많은데 악성 민원도 많아 명백한 기피부서로 꼽힌다. (기초단체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게다가 행정직 출신이 인사, 기획, 예산, 감사부서에 들어가지 못하고 기술직이 갈 만한 교통부서에 주구장창 있었다는 것부터가 명백한 좌천인사다. 심지어는 사회복지 성격이 짙은 보건부서(가족보건기획관)에까지 있었으니 말 다했다.[10] 행정고시 3기수 후배인 류경기보다 2년이나 이사관 승진이 늦었고, 결과적으로는 3년 후배의 후임자로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윤준병이 인사에 있어 얼마나 큰 불이익을 받았을지를 짐작할 수 있다.[11] 비선출직 공무원으로서 승진할 수 있는 최고 자리까지 간 것이다.[12] 물론 서울시의 정책에 대한 모든 권한은 서울특별시장에게 있지만 9호선 요금 인상 파동 당시 재임했던 박원순 시장은 대중교통에 대해선 문외한이나 다름 없는 인물이었다. 2014년 상왕십리역 전동열차 충돌탈선사고와 2016년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가 발생한 원인을 미리 파악하지 못했을 정도였고, 대중교통 정책에 대해서는 윤준병 당시 도시교통본부장이 사실상 전권을 쥐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