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2:01:02

장원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장원진인 댄서에 대한 내용은 제인(댄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00><tablebgcolor=#ffff00> 파일:화성 코리요 엠블럼.png화성 코리요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 · 11 이태양 · 12 임준형 · 17 정성현 · 19 장지훈
· 20 김현수 · 21 김우진 · 25 박근엽 · 38 전주원
· 41 이승환 · 57 김경묵 · 59 고주원 · 61 이승윤 · 66 정현준
포수 · 2 송지호 · 33 도승현 · 42 천기백 · 57 김범진
내야수 · 3 허재영 · 7 정현민 · 8 최유승 · 16 박성준
· 18 심지훈 · 27 이정민 · 81 홍의성 · # 강산
외야수 · 4 권혁찬 · 15 강동우 · 32 평은규
· 50 황창기 · 51 정성균 · 77 윤재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원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진수 }}}}}}}}}}}}}}}
장원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원진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2.svg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1995 2001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코치}
2016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최다안타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103개
박종훈
OB 베어스 / 117개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117개
홍문종
롯데 자이언츠 / 112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3개
이광은
MBC 청룡 / 124개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124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1개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37개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46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60개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152개
김형석
OB 베어스 / 147개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96개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 147개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1개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70개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6개
이병규
LG 트윈스 / 192개
이병규
LG 트윈스 / 170개
장원진
두산 베어스 / 170개
이병규
LG 트윈스 / 167개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172개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151개
홍성흔
두산 베어스 / 165개
이병규
LG 트윈스 / 157개
이용규
KIA 타이거즈 / 154개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현곤
KIA 타이거즈 / 154개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68개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72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58개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72개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201개
유한준
넥센 히어로즈 / 188개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95개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93개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0개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7개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9개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2개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193개
손아섭
NC 다이노스 / 187개
레이예스
롯데 자이언츠 / 202개
* 최다안타왕은 199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 ||
장원진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00><tablebgcolor=#ffff00> 파일:화성 코리요 엠블럼.png화성 코리요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장원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파일:화성 코리요 엠블럼.png
}}}}}}}}} ||

OB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7번
서일권
(1988~1991)
장원진
(1992~2008)
고창성
(2009~2012)
두산 베어스 등번호 76번
최훈재
(2003~2010)
장원진
(2011~2020)
이정훈
(2021~2024)
}}} ||
}}} ||
파일:장원진.jpg
<colbgcolor=#ffff00><colcolor=#0000ff> 화성 코리요 No.37
장원진
張元鎭 | Chang Won-jin
출생 1969년 6월 15일 ([age(1969-06-15)]세)
인천광역시 중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인천신흥초 - 상인천중 - 인천고 - 인하대[1]
신체 188cm, 97kg
포지션 외야수[2], 1루수
투타 우투양타[3]
프로 입단 1992년 2차 4라운드 (전체 26번, OB)
소속팀 OB-두산 베어스 (1992~2008)
지도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연수코치 (2009)
두산 베어스 1군 외야수비코치 (2011)[4]
두산 베어스 1군 타격코치 (2011)[5]
두산 베어스 1군 주루코치 (2011)[6]
두산 베어스 1군 타격코치 (2012~2016)
두산 베어스 2군 타격코치 (2017)
두산 베어스 잔류군 코치 (2018~2020)
화성 코리요 감독 (2024~)
프런트 두산 베어스 전력분석원 (2010)
경력 KBO 재능기부위원 (2023~)
병역 공익근무요원 (1996~1997)

1. 개요2. 선수 경력
2.1. 연도별 주요 성적
3. 지도자 경력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장원진은퇴식당시jpg.jpg
2009년 9월 20일 잠실 롯데전 본인의 은퇴식에서 전광판의 특별 영상을 보고난 후

OB-두산 베어스의 원클럽맨 외야수이자 두산 베어스 잔류군 코치, 현역 시절 등번호는 37번이었다.[7] 포지션은 좌익수-1루수, 우투양타의 스위치 히터였다. [8]

2. 선수 경력

파일:/image/109/2006/08/09/200608092050391101_1.jpg
2006년, 현역 시절 모습

1992년 OB 베어스에서 데뷔, 삼성 라이온즈김한수와 함께 소리 없는 강자[9]로 자리잡았으며 1995년 우승2001년 우승에 기여했다. 2000년에는 170안타를 때려내 최다 안타 타이틀을 수상하기도 했다.[10] 참고로 당시 타격왕도 스위치 히터인 박종호 선수가 가져갔다.

KBO 리그에서 스위치 히터로서는 박종호와 함께 가장 성공했다. 2000년도 타격왕과 연속 출루 기록을 세운 박종호가 일시적인 임팩트는 강했지만 장원진 역시 그해 170안타로 최다 안타왕을 수상했으며[11], 커리어 전체를 보면 장원진이 더 기복 없는 안정감을 보였다. LG 시절에는 스위치 히터로 완성도가 떨어져 사실상 좌타자에 가까웠던 박종호에 비해, 처음부터 스위치 히터로 양 타석에서 모두 안정적으로 꾸준한 기록을 보였던 점에서 국내 타자 중 사실상 가장 뛰어난 스위치 히터라 해도 손색이 없다.[12]

커다란 덩치(188cm)에도 장타력 대신 정확한 컨택 능력을 과시하며 주로 2번 타순을 맡았다.[13] 젊었을 때는 좌익수, 나이를 먹어서는 1루수를 맡았다. 양 포지션 모두 화려하지는 않지만 준수한 수비 능력을 자랑했다. 2000년 현대와의 한국시리즈에서 홈런성 타구를 잡아내는 호수비를 보여주며 7차전까지 시리즈를 끌고 가는 데 크게 공헌했다. 대학 동기였던 구한성의 칼럼에 따르면 권명철의 패키지로 인하대학교에 입학했지만, 노력 하나만은 끝내줘서 마침내 권명철보다 더 성공한 야구선수가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권명철이 1년 반짝으로 끝난데 비하면 크게 성공한 셈이다. 특히 대학교 2학년에서야 시작한 좌타자 연습이라 더욱 대단했다고. 하지만 원래 장원진은 왼손잡이였다. 야구를 시작했을 시기에는 왼손잡이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가 좋지 않았던 때라 야구를 오른손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본인은 자신이 원래 왼손잡이라 그런지 좌타 적응이 조금은 빨랐던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창 20대 시절에도 노장 선배인 당시 LG의 정삼흠에게 데드볼을 맞자 마운드까지 올라와 노려보고 큰소리칠 정도로 다혈질을 자랑했다. [14] 이 외에도 빈볼이라고 판단하면 선배 투수라고 해도 강하게 대응하기도 했다.

투수와 끈질긴 승부를 펼치다가 좌익수 앞에 떨어지는 텍사스성 안타로 상대 배터리를 허탈하게 만드는 플레이가 전매특허였다. 모 팬은 이런 플레이를 두고 '방망이 깎는 장샘'이라는 별명을 붙여주기도. 동기들이 몸집은 그렇게 크면서 비겁한 타격 좀 그만하고 풀 스윙 좀 하라고 하자 '먹고 살려면 이렇게라도 해야지'라고 응수했다고.

방위 복무 선수들의 출전금지 조치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그는 방위병 제도가 폐지되자 1996년에 공익근무요원으로 전환하여 잔여 기간 동안 복무했으며, 1997년 시즌 중 소집 해제되어 팀에 복귀했다. 이 원인 제공자는 불상수.
파일:장원진 은퇴식2.jpg
2009년 9월 20일 은퇴식 당시

이후 2005년까지 두산의 좌익수와 1루수 자리에서 제 몫을 다해 주다가, 2006년부터 노쇠화가 찾아오며 사실상 주전에서 밀리기 시작했다. 2008년 시즌에는 선수로 등록됐음에도 불구하고 1군에 올라오지 않고 사실상 플레잉코치 역할을 하였고 시즌 후 정식 은퇴하였다. 은퇴 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고 그해 시즌 막판이던 2009년 9월 20일 잠실구장에서 은퇴식을 치렀다.

2.1.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2 OB 23 48 .313 15 3 0 0 4 6 0 5 .375 .377
1993 49 72 .264 19 4 1 0 6 9 4 9 .347 .341
1994 99 259 .297 77 19 2 4 25 37 5 25 .432 .357
1995 123 393 .260 102 15 2 9 58 63 8 37 .377 .320
1996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
1997 97 339 .265 90 8 0 6 31 34 1 32 .342 .327
1998 98 249 .225 56 9 2 2 20 18 3 26 .301 .298
1999 두산 121 426 .317 135 15 2 2 58 59 3 43 .376 .372
2000 133 527 .323 170
(1위)
27 5
(1위)
7 59 94
(5위)
10 46 .433 .374
2001 129 513 .285 146 17 3 5 53 73 11 41 .359 .336
2002 130 444 .275 122 12 3 1 30 55 2 34 .322 .324
2003 124 386 .290 112 23 1 5 48 46 1 35 .394 .346
2004 130 429 .284 122 15 4
(4위)
5 49 51 5 49 .373 .356
2005 123 423 .286 121 16 0 3 42 58 4 51 .345 .361
2006 98 198 .253 50 8 0 2 19 8 1 9 .323 .280
2007 23 27 .185 5 2 0 0 3 1 0 2 .259 .226
2008 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15시즌)
1500 4733 .284 1342 193 25 51 505 612 58 444 .367 .342

3. 지도자 경력

파일:external/c39b353ea7dd8dcc9e01e476cf57476c40958cc43bcf828c229fc2c857d99f90.jpg
은퇴 후 일본으로 건너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고, 연수 중 잠시 귀국해 2009년 9월 20일 은퇴식을 치렀다. 이후 두산 베어스의 전력분석원으로 재직하다가 2011년 시즌부터 1군 외야수비코치를 맡게 되었다. 하지만 5월 들어 팀이 침체기에 빠지자 코치진 개편으로 인해 1군 타격코치를 맡게 되었다.

2016년까지 1군 타격코치를 맡다가 2017년부터 2군 타격코치를 맡게 되었다.

2018년부터는 잔류군 코치로 보직을 옮겼다.

2020년을 끝으로 팀에서 재계약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장장 29년에 걸친 베어스 생활을 마쳤다.

2022년 시즌 종료 후 김태형 감독이 두산과 재계약 하지 않으면서 감독 후보로 장원진 역시 거론되었지만 이승엽이 선임되면서 없던 얘기가 되었다.

2024년 2월 23일부터 화성시에서 창단하는 독립리그 화성 코리요 야구단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이승엽 후임으로 차기 두산 감독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4. 여담

  • 상술했듯이 원래는 왼손잡이였다. 다만 이종범과 비슷하게 야구는 오른손으로 시작해 프로 입단 당시만 해도 우투우타였고, 현재는 일상생활에서 양손 모두 사용한다고 한다. 본인 말로는 원래 왼손잡이였기 때문에 좌타석 적응이 더 빨랐던 것 같다고 술회했다.
  • 현역 시절 선수들이 불렀던 별명이 레간자였다고 한다.[15] 소리없이 강하고, 묵묵히 할일 하는 형이라서 붙은 별명이라고.
  • 덕아웃에서 열정적으로 응원하기로 유명했다. 상대팀 덕아웃까지 고함소리가 쩌렁쩌렁 울려 타 팀 코칭스태프에서는 싫어하기도 했다고. 홍성흔과 나란히 앉아 있으면 덕아웃이 정신이 없었다고 한다. 박명환야구TV에서 구자운이 술회하기를, 마운드 옆에 까지 와서 투수를 격려했는데 안 듣는 척하고 있으면 들을 때까지 계속 했다고..
  • 같은 방송에 출연한 정수근은 대한민국 야구 역사상 텍사스 안타(바가지 안타)를 제일 많이 친 2번타자라고 그의 스윙을 칭찬했다.[16] 또한 두산 시절 정수근이 도루를 많이 한 이유가 1번인 정수근이 출루를 하면 2번 타자인 장원진이 타석에서 정수근이 도루할 수 있도록 스윙을 참고 기다려줬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고마워했다.
  • 아무래도 두산 출신이다 보니 박명환야구TV에서 가끔 언급된다. 진행자가 두산 시절 후배인 박명환인데다 다른 후배들인 정수근, 구자운 등이 출연하면서 간간히 썰을 풀 때 언급되는 정도.
  • 안경현과 대립해 팀 내 파벌을 형성했다는 루머도 있다. 여기에 대해서 안경현은 2011년 박동희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장원진과는 그냥 친할 일이 없었을 뿐이지 갈등은 없었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실제로 장원진과 안경현은 성격도 꽤 다르다. 안경현 문서 참조.
  • 별명은 "장샘"이었지만, 그의 불같은 성격 탓에 타 팀 팬들으로부터는 장승질이라고 불렸다. 성질 더러운 타이론 우즈[17]와 말싸움을 한 일화, 2004년 빈볼 시비를 일으킨 서승화[18]에게 곧장 벤치 클리어링을 일으킨 일화들이 있었다.
  • 다만 위에 서술된 불같은 성격과 파벌 형성 루머 등의 이야기와는 달리, OB 베어스 시절부터 똥군기가 심했던 팀 내에서[19] 특이하게 구타에 대한 이야기는 없는 편이다. 김태형, 이명수, 강병규, 정수근 등이 후배들을 때린 이야기는 많지만, 장원진이 줄빠따를 쳤다거나 후배 선수를 손찌검했다는 소문은 거의 없는 편. 박명환, 구자운, 이경필 등 두산 시절 후배들은 물론이고 모두까기였던 정수근 역시 성격은 괄괄해도 FM적으로 움직이고 묵묵히 주어진 일 잘 하는 좋은 형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아마 성격은 좀 불같고 고지식한 면이 있어도 사소한 일을 핑계로 아랫사람의 트집을 잡거나 폭력을 휘두르거나 하지는 않는 엄할 땐 엄하고, 유쾌할 땐 유쾌한 선배의 전형이었던 듯.[20]
  • 지하철을 타고 출근했다는 소문이 있지만, 정수근이 차 타고 출근했다고 직접 언급했다.
  • 베어스 역사상 가장 순도높은 원클럽맨이다. 물론 선수 경력만으로 원클럽맨은 여러명이 더 있지만, 장원진은 선수 뿐 아니라 은퇴후에도 프런트 또는 코치로 단 한시도 베어스를 떠난 적이 없는 점에서 팀에 대한 애정과 구단과의 신뢰관계를 엿볼 수 있게 한다.[21] 박철순은 OB 입단 전에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마이너리그 경력이 있으며[22], 김동주 역시 한 팀에서만 선수생활을 했지만, 선수 본인이 해외진출을 시도한 일도 있고 구단과의 불화로 코치직 제안을 거절하고 타팀 이적을 타진한 일도 있는 등 팀과 그다지 원만한 관계였다고 보기는 어렵고, 은퇴 후에는 프로야구 코치직을 맡지도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비록 선수 시절 슈퍼스타는 아니었지만[23], 1992년 입단한 이래 2020년까지 무려 29년간을 오로지 한 팀에서만 헌신해 온 장원진이야말로 현역선수 시절의 별명 그대로 소리없는 강자라는 칭송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 프랜차이즈 홀대하기로 유명한 베어스에서 이 정도의 원클럽맨은 없기에.
  • 상술하였듯 원클럽맨이면서 지도자로서의 능력도 좋은 편이라 김상진과 함께 두산 팬들이 원하는 차기 감독 후보에 자주 오르내리는 편이다. 2024년 들어 이승엽의 막장 경기 운용으로 인해 사퇴여론이 높아지면서 차기 감독 후보에 더더욱 오르내리고 있다.
  • 2023년 6월 13일 최강야구 44회 방송에 이광길 코치를 대신해 일일 코치로 등장했다. 경기 후 소감으로 최강야구는 예능이 아니라며 질겁하는 건 덤.
  • 2024년 8월 20일엔 간만에 BEARS TV에 출연하였다.# 휠라 30주년 기념을 맞이하면서 이에 대해 축하 인사를 올렸다.

5. 관련 문서



[1] 1988학번이다.[2] 주로 좌익수로 뛰었다.[3] 원래는 왼손잡이다.[4] ~5월 30일[5] 5월 31일~7월 26일[6] 7월 27일~[7] 이후 두산의 37번을 대표하는 외야수로는 박건우가 있었지만, 2022 시즌을 앞두고 NC로 FA를 통해 이적했다. 2023년 현재는 유망주 김대한이 사용하고 있다.[8] 스위치 히터로서 타이틀 홀더를 기록해 본 몇 안되는 선수다.[9] 물론 통산 성적 중 OPS .800을 넘긴 것이 2000년 한 시즌 밖에 없어, 공격력 위주의 포지션인 사이드 외야수와 1루수로 주로 나온 선수 치고는 공격력이 한참 모자란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현역 시즌 내내 두 자릿수 홈런을 한번도 기록한 적이 없기도 하다. 준수한 타율과 6푼 정도의 타출갭을 가졌음에도 OPS가 .800을 넘긴 시즌이 단 한 시즌인 이유이기도 하다.[10] 물론 이때는 LG의 이병규(9번)와 공동으로 따냈다.[11] 그해 타격왕인 박종호는 150안타.[12] 다만 선수로서의 평가는 박종호가 우위다 타격 성적이야 둘 다 통산 wRC+ 90 후반대로 거의 동일한데 박종호는 주로 수비 부담이 큰 2루수로 뛰었고 장원진은 주로 수비 부담이 적은 1루수나 좌익수로 뛰었기 때문.[13] 실제로 당시 스카우팅 리포트를 보면 컨택 능력은 우수하지만 체격에 비해 타구를 멀리 못보내고 그 외 모든 부분은 평균이하라는 평이 있었다.[14] 이 사건 및 이후 이택근 밀치기 사건 등 계기로 LG 팬덤에서 평가가 매우 좋지 않다. 94시즌 LG가 한창 잘나갈 때였는데 유독 그 경기에서 LG타자들이 죽을 쑤면서 관중들 욕설이 난무하고 경기가 과열되기 시작해 벤클만 두차례 일어났던 경기. 정삼흠 위협구에 장원진이 성질부리면서 마운드까지 올라가서 벤클이 일어났는데 심지어 정삼흠 멱살까지 잡은 사건이었다. 까마득한 후배가 아무리 흥분했다해도 요즘 관념으로도 있을 수 없는 일. 둘이 멱살잡고 싸우는 과정에 갑자기 조그만 누군가 바람같이 조력자로 나타나 정삼흠에게 강력한 싸대기를 날렸는데 당시 OB의 김광수 코치..[15] 실제 대우자동차에서 레간자를 출시하고 홍보했을 당시 소리없이 강하다는 슬로건을 이용했다.[16] 장난기 많은 정수근이 그 형은 희한한 타구 참 많어~라고 유쾌하게 말했는데 그 뒤에 그게 다 스윙 매커니즘이 좋아서 그런 거야라고 칭찬했다.[17] 이 우즈를 말 한마디 못하게 꼼짝없이 커튼 속에 가둬서 얌전한 어린이로 만들어버린 같은 팀 동료가 장원진 뿐만 아니라 한 명 더 있었으니, 바로 튼동이다.[18] 2003년 이승엽과의 난투극을 시작으로 당 해에도 김한수, 김재걸, 윤재국 등 숱한 선수들에게 빈볼 시비와 살인 태클을 비롯한 비매너 플레이를 선보이는 막장행각으로 악명이 자자했다. 이후엔 세간에 알려진 그대로 각종 범죄 행각과 성적 부진, 박종훈 감독과의 마찰 및 워크 에씩 파문 등을 일으키며 완벽히 금기어로 전락.[19] 이건 사실 2000년대 이전 프로야구단이라면 피해갈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당시 다른 구단들(특히 해태 타이거즈)에 비하면 OB는 김인식 감독 부임 이후에는 군기 문화가 나름 수그러들던 축이었다. 이후 두산으로 구단명이 바뀌고 자유방임파인 안경현이 주장이 되고 나서는 더더욱 그런 색채가 옅어지며 가장 분위기가 자유로운 구단으로 인식되기도 했고.[20] 그리고 결정적으로 정수근이 장원진을 대할 때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정수근과 장원진은 나이 차이가 꽤 있다. 장원진은 1969년생이고 정수근이 빠른 77이라 76년생들과 학교를 다녔음을 감안해도 8살이라는 적지 않은 나이 차이가 난다. 그런데 정수근은 장원진을 언급할 때 자연스럽게 "원진이 형~"이라고 편하게 부르고 인터넷 방송에서 장원진을 발 느리다고 스스럼없이 놀릴 정도로 편하게 대한다. 아무리 정수근이 넉살 좋고 웃긴 말 잘 하는 성격이라지만 엄격한 체육계의 군기를 생각하면 장원진이 이를 용인해 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21] 여기에 비견될 수 있는 이가 김광수 전 감독대행이다. 2012년 김성근 감독을 따라 고양 원더스의 수석코치로 옮기기 전까지만 해도 30년 동안 OB-두산 프랜차이즈에서 선수와 코치로 길게 활동을 했다. 그 30년 동안 있던 잠깐의 공백기는 해설위원 혹은 모교 인스트럭터로 활동한 게 전부다.[22] 일반적으로 해외리그 경력이 있어도 국내에서 한팀에서만 뛰었으면 원클럽맨으로 인정해주는 정서가 강하기는 하고, 특히나 박철순은 초기 베어스의 상징과도 같은 대스타인만큼 굳이 프로야구가 출범하기도 전의 마이너리그 경력을 들어 원클럽맨 이미지를 희석하려는 경우는 없지만 말이다.[23] 물론 어디까지나 리그 최고의 선수들과 비교해서 그렇다는 것이다. 10여년 가까이 한 팀에서 주전 외야수로서 준수한 활약을 펼치면서 한 번은 최다안타 타이틀까지 획득했다는 시점에서 그 또한 선수 시절 활약상만으로도 기억될 가치가 충분했던 스타급 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