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
유연 · 유화 | 유총 | 유총 | 유총 · 유찬 | |
<rowcolor=#fff>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 |
유요 | 유요 | 유요 |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 |
<rowcolor=#fff>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석륵 | 석륵 | |
<rowcolor=#fff>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 |
석륵 | 석홍 | 석호 | 석호 | |
<rowcolor=#fff>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 |
석호 | 석세 · 석준 · 석감(鑒) | 석민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rowcolor=#fff>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용외 | 모용황 | |
<rowcolor=#fff>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 |
모용황 | 모용준 | 모용준 | 모용위 | |
<rowcolor=#fff> 29권 -2l 「전연록칠(前燕錄七)」 |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 |
모용위 |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rowcolor=#fff>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 |
부홍 | 부건 | 부생 | 부견 | |
<rowcolor=#fff>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 |
부견 | 부견 | 부비 | 부등 | |
<rowcolor=#fff>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용수 | 모용수 | |
<rowcolor=#fff>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 |
모용수 | 모용보 | 모용성 | 모용희 | |
<rowcolor=#fff>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 |
모용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rowcolor=#fff>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 |
요익중 | 요양 | 요장 | 요흥 | |
<rowcolor=#fff>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 |
요흥 | 요흥 | 요홍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rowcolor=#fff>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용덕 | 모용초 | |
<rowcolor=#fff>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 66권 「하록일(夏錄一)」 | 67권 「하록이(夏錄二)」 | 68권 「하록삼(夏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혁련발발 | 혁련창 | 혁련정 | |
<rowcolor=#fff> 69권 「하록사(夏錄四)」 |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장궤 | 장실 | 장준 | |
<rowcolor=#fff>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 76권 「촉록일(蜀錄一)」 | |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 장현정 · 장천석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특 | |
<rowcolor=#fff> 77권 「촉록이(蜀錄二)」 | 78권 「촉록삼(蜀錄三)」 | 79권 「촉록사(蜀錄四)」 | 80권 「촉록오(蜀錄五)」 | |
이류 · 이웅 |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rowcolor=#fff>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 |
여광 | 여소 · 여찬 | 여륭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rowcolor=#fff>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 |
걸복국인 · 걸복건귀 | 걸복치반 · 걸복모말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 |
<rowcolor=#fff>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 |
독발녹단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고 | 이흠 | |
<rowcolor=#fff>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저거몽손 | 저거무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rowcolor=#fff>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풍발 | 풍홍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1. 개요
趙秋생몰연도 불명
후연의 인물. 자는 자무(子武). 사주(司州) 급군(汲郡) 조가현(朝歌縣) 출신.
2. 생애
젊은 시절에 재물을 가볍게 여기고 나눠주기를 좋아하였다. 한번은 이웃인 이현도(李玄度)의 어머니가 사망하였는데, 집이 가난하여 장례를 치를 수 없었다. 이에 조추가 형에게 말했다."죽고 사는 일을 돕는 것이 곧 인(仁)의 근본입니다"
그리고는 집에 있던 두 마리 소 중 한 마리를 이현도에게 주었고, 이현도는 그 소로 어머니의 장례를 무사히 치를 수 있었다.몇 년 후, 조추는 밤길을 걷다가 한 노모를 만났는데, 그녀는 조추에게 금덩이 하나를 주고 말했다. "네가 나를 묻어주어 그에 대한 보답으로 이걸 주겠다. 너는 50세 이후에 부귀할 것이니 이현도를 잊지 말아라"
그러고 나서 노모는 곧바로 사라졌다.모용수가 전진에서 관군장군을 지낼 때, 조추는 그의 참군이 되었다. 이후 천왕 부견이 비수대전에서 패하자, 조추는 1,000여 기병을 이끌고 모용수를 찾아가 말했다.
"명공(明公)께서는 연나라를 다시 세우셔야 합니다. 천시(天時)가 이미 도래하였으니 더는 기다리실 필요가 없습니다. 진왕(秦王: 부견)을 죽이고 업도(鄴都)를 점령한 후, 서쪽으로 진군한다면 삼진(三秦) 지역도 더이상 부씨(苻氏)의 것이 아니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모용수는 이를 따르지 않고, 패주하여 온 부견을 낙양까지 안전하게 호위하였다.건원 19년(383년) 12월, 모용수가 업에 이르렀을 때, 장락공 부비는 그 소식을 듣고 반란을 일으키려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여 직접 나가 그를 맞이하였다. 조추는 모용수에게 좌중에서 부비를 사로잡고 업을 점거해 거병하라 권하였으나, 모용수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건원 20년(384년) 정월, 모용수는 정령족의 반란 진압하라는 명령을 받고 황하 이남으로 내려갔다가, 오히려 정령족과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때 조추는 모용농과 함께 열인(列人)에서 거병하였고, 흉노족 도각부의 필총(畢聰)을 설득해 동이족과 오환족을 끌어들이는 공을 세웠다.
어느 정도 세력이 갖추어지자, 모용농은 스스로 군대를 이끌고 관도(館陶)를 공격하여 격파한 뒤, 그 군수물자와 병장기를 거두었다. 그리고 조추, 난한, 단찬(叚讃), 모여희(慕輿悕)를 보내 강대(康臺)의 목장을 공격하여 말 수천 필을 약탈하였다. 이에 보병과 기병이 구름처럼 모여 무리가 수만 명에 이르렀고, 장양 등은 합심하여 모용농을 사지절•도독하북제군사(都督河北諸軍事)•표기대장군으로 추대하였다. 모용농이 여러 장수들을 각기 감독하여 재능에 따라 알맞는 부서를 정하니 위아래가 숙연하였다. 모용농은 모용수가 아직 이르지 않아 감히 상을 내리지 못하였는데, 이때 조추가 모용농에게 권했다.
"군대에서 포상하지 않으면 병사들은 전쟁에 나서지 않는 법입니다. 지금 오는 자들은 모두 한때의 공을 세워 만세의 이익을 도모하고자 하는 자들이니, 의당 승제하여 봉배함으로써 중흥의 기틀을 넓혀야 합니다."
모용농이 이에 따라 상을 내리자, 더 많은 이들이 달려와 모용농의 군대에 합류하였고, 이를 들은 모용수는 오히려 모용농을 칭찬하며 기뻐하였다.같은 달 14일[1], 업성의 장락공 부비가 파견한 효기장군 석월이 보•기 10,000명을 이끌고 열인에 당도하자, 조추는 참군 기모등(綦母滕)과 함께 석월군의 선봉을 격파하였다. 이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1] 384년 정월 신묘일. 음력으로 1월 14일이고, 양력으로 2월 23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