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 #0089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신칸센 총괄본부 | ||
| |||
모리오카 지사 | |||
■ 도호쿠 본선 · ■ 오후나토선 · ■ 키타카미선 · ■ 카마이시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하나와선 · ■ 야마다선 · ■ 하치노헤선 · ■ 오미나토선 · ■ 오우 본선 · ■ 츠가루선 | |||
아키타 지사 | |||
■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 키타카미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우에츠 본선 · ■ 오가선 · ■ 고노선 | |||
도호쿠 본부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조반선 ·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센잔선 · ■ 이시노마키선 · ■ 케센누마선 · ■ 반에츠토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 야마가타 신칸센) · ■ 요네사카선 · ■ 아테라자와선 · ■ 리쿠우토선 · ■ 리쿠우사이선 | |||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조반선 · ■ 미토선 · ■ 스이군선 | |||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소부 본선 ( | |||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 |||
수도권 본부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 |||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 |||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 |||
■ 신에츠 본선 · ■ 우에츠 본선 · ■ 조에츠선 · ■ 에치고선 · ■ 야히코선 · ■ 하쿠신선 · ■ 요네사카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이야마선 | |||
나가노 지사 | |||
| |||
폐선 | |||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 }}}}}}}}} |
[ruby(久留里, ruby=くるり)][ruby(線, ruby=せん)] Kururi Line | 쿠루리선 | |
<nopad> | |
키하 E130계 동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방교통선 |
기점 | 키사라즈역 |
종점 | 카즈사카메야마역 |
역 수 | 14 |
개업일 | 1912년 12월 28일 |
소유자 | JR 동일본 |
운영자 | |
사용차량 | 키하 E130계 동차 100번대 |
차량기지 | 마쿠하리 차량센터 키사라즈 파출소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32.2㎞ |
궤간 | 1067㎜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비전화 |
폐색방식 | 특수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ATS-P |
최고속도 | 65㎞/h |
|
실측지도 상의 쿠루리선 |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
1. 개요
JR 동일본의 지방교통선 중 하나로, 우치보선의 키사라즈역에서 분기하여 카즈사카메야마역까지 간다. 전 구간 단선에 비전철화 구간으로, 치바현내 JR 노선에서는 유일하다.이 노선은 1912년에 '치바현영철도 쿠루리선'으로 개통되었다. 1923년, 국유화되어 쿠루리선이 되었고, 1987년 민영화되어 JR 동일본에 속하게 되었다.
지도를 보면 노선이 태평양 쪽으로 가지 못하고 끊겨있다. 원래 이 노선은 키사라즈역과 오하라역을 잇는 '키하라선'으로 계획된 노선이었고 반대쪽의 오하라역에서 출발하는 현 이스미 철도 이스미선(당시 키하라선)과 이어져 운행할 예정이였으나 그 계획은 결국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스미선의 카즈사나카노~카즈사카메야마 구간은 현재 국도 465호선이 이어주고 있다.
배차간격은 매우 띄엄띄엄하다. 러시아워에도 1시간에 1대라는 위엄을 보여준다. JR 동일본 구간 중 마지막까지 통표폐색을 사용한 구간으로서 2013년 키하 E130계 동차의 도입과 함께 자동폐색장치를 도입했다. 수요가 많지 않아 교통카드 단말기를 설치하기도 아까운 건지 치바현내 JR 노선 중 유일하게 Suica 등 교통카드를 쓰지 못하는 노선이다.
JR 동일본에서 발표한 2020년도 노선별 영업수지 자료#에 따르면 쿠루리선 말단구간인 쿠루리역 - 카즈사카메야마역 간의 영업 계수[1]가 17,074로서, JR 동일본 수도권 근교구간 관할노선 중 압도적인 WORST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즉, 1만 엔을 벌기 위한 운영비용으로 171만 엔이 나가고 있는 상황인데, 이 수치는 JR 동일본 전체 관할노선 중 리쿠우토선 나루코온천역 - 모가미역(22,149)과 반에츠사이선 노자와역 - 츠가와역(17,706)에 이은 3위에 해당하며, 전국적으로 봐도 굴지의 적자노선이다. 주의할 점은, 이런 영업계수가 나쁜 노선이 다 그렇지만 절대적인 적자금액 자체는 크지 않다. 영업비용은 9.6km 구간 276백만 엔으로, 이것보다 돈이 더 드는 노선은 이 자료 안에도 넘쳐난다. 다만 돈을 끝내주게 못 벌어서 비율로 바꾸면 환상적인 숫자가 나올 뿐이다.
키사라즈역-쿠루리역 간의 영업계수도 1200으로 매우 나쁜데, 이유는 키사라즈역 주변의 공동화와 쿠루리선 연선에 도쿄방면 직통 고속버스의 운행, 스쿨버스 운행 등으로 파악하고 있다. #
2023년 3월에 일부 구간을 버스 노선으로 전환 검토에 들어갔다. 2024년 11월에 쿠루리-카즈사카메야마 구간은 운행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예전에는 키하 35-37계 등 노령화가 진척되다 못해 좀비화된 차량을 운행했으나 2010년대 들어와서는 신형 키하 E130계를 제작, 쿠루리선에 투입하면서 기존 키하 35/37/38계[2]는 밀려나 폐차되었고 일부는 또 미즈시마 임해철도에 양도되어 현재도 굴러다니고 있다.
테츠코의 여행 1화(만화/애니메이션 공통)에서 등장하는 노선이며 철덕 만화답게 전역승하차를 한다. 그리고 신 테츠코의 여행이나 테츠코의 여행 3대째에서도 반복하게 되면서 전통으로 굳혀가고 있다.
1.1. 노선 데이터
- 관할: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키사라즈~카즈사카메야마 32.2km
- 궤간: 1067mm
- 역 수: 14
- 복선구간: 없음
- 전화구간: 없음
- 폐색방식: 특수자동폐색식 (궤도회로검지식)
- 보안장치: ATS-P
- 최고속도: 65km/h
- 운전지령소: 치바 종합지령소 (우치보 지령)
- 운전취급역: 키사라즈, 요코타, 쿠루리
- 수도권 근교구간: 전구간
- 교통카드 호환지역: 없음 (비대응)
- 영업본부: 치바 지사
2. 역 목록
- 전역 치바현내 소재.
JR 쿠루리선 | |||
역명 | km | 환승노선 | 위치 |
키사라즈 (木更津) | 0.0 | ¶JR 동일본 ■우치보선 | 키사라즈시 |
기온 (祇園) | 2.6 | ||
카즈사키요카와 (上総清川) | 4.2 | ||
히가시키요카와 (東清川) | 6.1 | ||
요코타 (横田) | 9.3 | 소데가우라시 | |
히가시요코타 (東横田) | 10.8 | ||
마쿠타 (馬来田) | 13.9 | 키사라즈시 | |
시모고리 (下郡) | 15.2 | 키미츠시 | |
오비츠 (小櫃) | 18.2 | ||
타와라다 (俵田) | 20.0 | ||
쿠루리 (久留里) | 22.6 | ||
히라야마 (平山) | 25.7 | ||
카즈사마츠오카 (上総松丘) | 28.3 | ||
카즈사카메야마 (上総亀山) | 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