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0:53:28

티아무트(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colbgcolor=#ec1d23><colcolor=#fff>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티아무트
Tiamut
파일:MCU 티아무트8484.jpg
본명 티아무트
Tiamut
이명 소통자
The Communicator
종족 셀레스티얼
등장 영화 이터널스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등장 애니 왓 이프...?

[clearfix]

1. 개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티아무트.

2.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이터널스


파일:MCULOGO WHITE.png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빌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영화 ]
{{{#!wiki style="margin: -5px 0"
페이즈 1
아이언맨
(2008)
인크레더블 헐크
(2008)
아이언맨 2
(2010)
오베디아 스탠
라자
어보미네이션
썬더볼트 로스
이반 반코
저스틴 해머
토르: 천둥의 신
(2011)
퍼스트 어벤져
(2011)
어벤져스
(2012)
로키
라우페이
레드 스컬
아르님 졸라
히드라
로키
치타우리
페이즈 2
아이언맨 3
(2013)
토르: 다크 월드
(2013)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2014)
알드리치 킬리언
에릭 사빈
말레키스
알그림
알렉산더 피어스
윈터 솔져
크로스본즈
히드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2014)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2015)
앤트맨
(2015)
로난
네뷸라
코라스
울트론
스트러커 남작
히드라
옐로재킷
미첼 카슨
페이즈 3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2016)
닥터 스트레인지
(2016)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2017)
크로스본즈
헬무트 제모
썬더볼트 로스
아이언맨
도르마무
케실리우스
에고
아이샤
테이저페이스
소버린
스파이더맨: 홈커밍
(2017)
토르: 라그나로크
(2017)
블랙 팬서
(2018)
벌처
쇼커
대미지 컨트롤
스콜피온
헬라
수르트
그랜드마스터
에릭 킬몽거
율리시스 클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18)
앤트맨과 와스프
(2018)
캡틴 마블
(2019)
타노스
블랙 오더
고스트
소니 버치
욘-로그
슈프림 인텔리전스
코라스
어벤져스: 엔드게임
(2019)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2019)
타노스 (2014)
블랙 오더 (2014)
네뷸라 (2014)
미스테리오
엘리멘탈스
팀 미스테리오
페이즈 4
블랙 위도우
(2021)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2021)
이터널스
(2021)
드레이코프
태스크마스터
레드룸
어둠의 드웰러
웬우
데스 딜러
레이저 피스트
텐 링즈
티아무트
이카리스
크로
아리솀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2021)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2022)
토르: 러브 앤 썬더
(2022)
다른 차원의 불청객들
대미지 컨트롤
스칼렛 위치
시니스터 스트레인지
고르
제우스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2022)
네이머
나모라
아투마
페이즈 5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2023)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2023)
더 마블스
(2023)
정복자 캉
M.O.D.O.K.
하이 에볼루셔너리
아담 워록
다르-벤
크리 제국
데드풀과 울버린
(2024)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2025)
썬더볼츠*
(2025)
카산드라 노바
패러독스
리더
사이드와인더
레드 헐크
페이즈 6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2025)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드라마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
디즈니+ 방영
페이즈 4
완다비전
(2021)
팔콘과 윈터 솔져
(2021)
로키 시즌 1
(2021)
애거사 하크니스
타일러 헤이워드
칼리 모건소
플래그 스매셔
배트록
존 워커
남아 있는 자
TVA
호크아이
(2021)
문 나이트
(2022)
미즈 마블
(2022)
킹핀
마야 로페즈
트랙수트 마피아
옐레나 벨로바
아서 해로우
암미트
나즈마
대미지 컨트롤
변호사 쉬헐크
(2022)
헐크킹
타이타니아
페이즈 5
시크릿 인베이젼
(2023)
로키 시즌 2
(2023)
에코
(2024)
그래빅
라아바
라보나 렌슬레이어
미스 미닛
킹핀
전부 애거사 짓이야
(2024)
데어데블: 본 어게인
(2025)
아이언하트
(2025)
데스
세일럼 세븐
페이즈 6
원더맨
(2025)
파일:abc백.png
ABC 방영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1
(2013-2014)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2
(2014-2015)
에이전트 카터 시즌 1
(2015)
존 개릿
그랜트 워드
자잉
캘빈 재보
요한 펜호프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3
(2015-2016)
에이전트 카터 시즌 2
(2016)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4
(2016-2017)
하이브휘트니 프로스트마담 하이드라
인휴먼스
(2017)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5
(2017-2018)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6
(2019)
막시무스글렌 탤벗아이젤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7
(2020)
나다니엘 말릭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넷플릭스 방영
데어데블 시즌 1
(2015)
제시카 존스 시즌 1
(2015)
데어데블 시즌 2
(2016)
윌슨 피스크킬그레이브노부 요시오카
루크 케이지 시즌 1
(2016)
아이언 피스트 시즌 1
(2017)
디펜더스
(2017)
다이아몬드백해럴드 미첨엘렉트라
퍼니셔 시즌 1
(2017)
제시카 존스 시즌 2
(2018)
루크 케이지 시즌 2
(2018)
직쏘앨리사 존스블랙 머라이어
아이언 피스트 시즌 2
(2018)
데어데블 시즌 3
(2018)
퍼니셔 시즌 2
(2019)
다보스킹핀슐츠 부부
제시카 존스 시즌 3
(2019)
헬캣
파일:hulu logo white.png
훌루 방영
런어웨이즈 시즌 1
(2017-2018)
런어웨이즈 시즌 2
(2018)
런어웨이즈 시즌 3
(2019)
조나마지스트레이트
프라이드
모건 르 페이
파일:프리폼백.png
Freeform 방영
클록 & 대거 시즌 1
(2018)
클록 & 대거 시즌 2
(2019)
제임스 코너스
피터 스카버러
디스페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웹 시리즈
에이전트 오브 쉴드: 슬링샷
(2016)
빅터 라몬
애니메이션
왓 이프...? 시즌 1
(2021)
왓 이프...? 시즌 2
(2023)
왓 이프...? 시즌 3
(2024)
인피니티 울트론
왕 킬몽거
닥터 스트레인지 슈프림에미넌스
인카네이트
익스큐셔너
당신의 친절한 이웃 스파이더맨
(2025)
아이즈 오브 와칸다
(2025)
마블 좀비즈
(2025)
스페셜 프리젠테이션
웨어울프 바이 나이트
(2022)
베루사 블러드스톤}}}}}}}}}}}}
파일:티아무트의 탄생스.gif
본작의 진 최종보스. 세르시아리솀에게 이터널스와 데비안츠의 진정한 존재 목적과 셀레스티얼의 탄생에 관한 진실을 들을 때 환영으로 처음 등장한다. 지구의 인구가 티아무트의 부화에 필요한 수치만큼 모였으므로 머지않아 티아무트가 탄생할 것이라며 설명하면서 지구를 알 마냥 부숴버리는 모습과 함께 그 자신의 황금색 몸체를 드러내며 등장한다.[1]
파일:정지된 티아무트.jpg
이후 이머전스가 일어나자 지구를 서서히 부수면서 일어나기 시작한다. 드루이그가 유니마인드로 증폭된 코스믹 에너지를 이용하여 재워보려고 했지만 이카리스에게 저지당하고, 차선책으로 능력을 개방한 세르시가 물질변화로 석화시키자 황금색 몸체가 그대로 돌로 변해버리면서 완전히 기능을 정지한다. 결국 두 손과 머리가 반쯤 튀어나온 상태에서 그대로 석화됐다.[2] 이후 세르시의 언급을 보아 티아무트 역시 유니마인드에 동화되었으며[3][4] 그 자신의 탄생을 스스로 저지했다고 한다.[5]

이후 아리솀이 지구에 당도하지만 티아무트를 깨우지는 않았으며 이터널스들만 회수하며 지구의 가치를 지켜보고 심판의 때를 위해 돌아오겠다고 했으니 작중 시점까지는 아리솀 역시 그를 당장은 깨울 생각이 없는 듯하다.[6]

2.2.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사실상 배경으로 등장하며 석화된 티아무트를 '셀레스티얼 섬'이라고 부르는데 티아무트의 몸에서 채굴된 신물질 아다만티움을 두고 일본, 미국, 프랑스, 인도가 경쟁하는 것이 스토리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나온다.[7] 특히 일본은 유일무이하게 정제 기술을 완성해 오자키 총리의 발언권이 매우 강했다.

아다만티움이 비브라늄처럼 엄청난 문명 발전이 가능한 무안단물이라 많은 나라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으며, 미국 대통령이 된 썬더볼트 로스는 아다만티움을 공평하게 분배하기 위한 협정을 추진하고 있었다.[8] 그러나 리더의 계략으로 4개국의 사이가 틀어져 전쟁 일보 직전까지 가지만, 우여곡절 끝에 샘과 호아킨의 활약으로 사태가 마무리되었다. 로스는 결국 스스로 사임하고 래프트로 갔지만, 협정은 오자키가 그의 빈자리를 채워 대신 성사시켰다.

2.3. 왓 이프...? 시즌 3

2.3.1. 2화

지구에 부화 직전의 모습으로 등장. 별다른 저항도 못하고 에거사에게 흡수당해버린다.

2.3.2. 5화

이머전스가 성공한 시간선이기 때문에 티아무트가 탄생하면서 지구는 산산조각나는 것으로 나온다.

2.4. 언급

2.4.1. 변호사 쉬헐크

파일:마블울버린.jpg
2화에 등장하는 기사 우측의 아이언맨 농구화 광고 하단에 바다에 나타난 거대 조각상 운운하는 기사가 나오면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9][10]

3. 기타

  • 어벤져스 코믹스에서는 지구에서 죽은 셀레스티얼의 몸이 어벤져스 기지로 이용되고 있다. # 업스테이트 기지가 타노스에게 파괴된 현재로서는 매우 유력한 전개로, 영화에서도 티아무트의 몸이 기지로 이용될지는 향후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금색의 몸체, 그리고 고릴라처럼 상체와 팔이 더 두꺼운 체형 등은 그대로 재현됐지만 원작과는 다르게 에손처럼 둥그런 눈이 생겼다. 아리솀 또한 에손처럼 얼굴이 변경된 것을 보아 MCU의 셀레스티얼은 이런 디자인을 표준으로 하는 듯하다.
  • 영화에 전체적으로 고대 신화의 영향이 짙고, 바빌론이 등장하며, 메소포타미아 전승의 원형이 되는 존재도 여럿[11] 등장하는 만큼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창조신이 티아마트이니 그가 지구의 셀레스티얼로 선정된 듯하다. 티아마트가 여러 신화에 등장하는 무에서 홀연히 나타나 우주를 창조한 거신이라는 점에서 셀레스티얼들, 그 중에서 특히 아리솀과 유사하다는 걸 생각해보면 재미있는 요소다. 재밌게도 그러한 거신들은 대부분 외로움 등의 인간적인 이유로 우주를 창조했고, 티아마트 또한 잔혹하면서도 자비로운 복합적인 존재인데, 그러한 신화의 특색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아리솀은 인간적인 존재가 아닌 반면, 티아무트는 지성체들의 행성을 대가로 탄생하는 잔혹한 존재지만 그들을 딱하게 여겨 부화를 중단한 존재라는 점에서 상당히 유사하다.
  • 인터뷰에 의하면 신장은 500km라고 한다.[12]

[1] 이때 지구를 부숴버리는 모습은 원작에서 엑시타르가 지구를 심판할 때와 비슷한 구도이며, 이후 부화한 티아무트의 모습과 체형 모두 코믹스와 비슷하게 생겼다.[2] 뉴스에서 그 모습이 등장하는데, 파스토스의 남편이 그걸 보더니 당신이 그런것이냐면서 질문한다. 물론 파스토스는 사랑한다고만 하고 묵묵부답이다.[3] 파스토스가 개발한 유니마인드용 팔찌를 하지 않은 이카리스와 스프라이트도 유니마인드에 동참할 수 있던 것이 그 증거다.[4] 본래는 폭발할 행성에서 권속인 이터널스를 보호하기 위해 아리솀이 넣은 기능이라고 한다.[5] 원작에서 티아무트는 유일하게 감정을 지닌 셀레스티얼이며, 우주의 섭리도 거스르며 자신의 뜻대로 살아가는 유일한 셀레스티얼이다. 이 설정이 그대로 적용된다면 티아무트도 이터널스처럼 자신 위에 살아가는 생명들을 가엾게 여겨 스스로 부화를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는 그냥 가엾게 여겼다기보단 드루이그의 삶과 기억을 보고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얼마나 아름답고 숭고한 것인지를 느낀 것으로 보인다.[6] 순환의 과정을 진두 지휘한 아리솀 입장에서는 셀레스티얼 본인이 탄생을 거부한 초유의 사태이기 때문에 티아무트가 무엇 때문에 그런 결정을 내렸는지 궁금할만 했을 것이다.[7] 2020년대의 국제정세 때문인지, 인도양 위치에 있는 막대한 전략적 가치를 지닌 신물질 쟁탈전이라는 설정에 걸맞지 않게 중국과 러시아는 철저할 정도로 언급되지 않는다. 아예 인도양과 접점이 있기는 커녕 북해와 지중해 정도에만 해군력을 투사 가능한 프랑스가 인도와 비슷한 위치의 협상 주요 주도국으로 나오는게 어색해보일 정도. 이런 작품 외적 부분을 제외하고 추측해본다면 작중 언급된 4개국보다 훨씬 더 많은 국가들이 관여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8] 도널드 트럼프의 공격적인 관세 부가와 캐나다, 그린란드에 대한 제국주의적 확장 행보 같은 현재 미국의 모습을 보면 괴리감이 느껴질 수도 있는 설정으로, 이는 북미에서 본작의 호불호로 이어지기도 했다. 다만 로스가 그동안 겪었던 일련의 사건들로 성격이 많이 유해지기도 했고, 무엇보다 딸 베티를 위해 좋은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었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9] 티아무트라고 명확하게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다에 나타났고 거대한 조각상 내용 등을 미루어보아 정황상 티아무트일 가능성이 높다.[10] 여담으로 농구화 광고와 거대 조각상 기사 사이에 술집 대난투에서 싸움을 벌인 금속 발톱을 가진 남자에 대한 헤드라인이 보인다.[11] 길가메시킨고는 말할 것도 없고, 구갈안나의 원형이 되는 듯한 황소 모습의 데비안츠도 등장한다.[12] 대략 부산에서 평양까지의 길이와 비슷하며, 한반도 남북 최대길이의 절반 정도 된다. 다만 작중에서 보여진 모습을 본다면 지구의 지름 보다 살짝 작은 대략 10,000km 정도 크기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