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
| | | | |
빌헬름 뢴트겐 | 헨드릭 로런츠 | 피터르 제이만 | 앙리 베크렐 | |
<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
| | | | |
피에르 퀴리 | 마리 퀴리 | 존 라일리 | 필리프 레나르트 | |
<rowcolor=#cd9f51> 1906 | 1907 | 1908 | 1909 | |
| | | | |
조지프 톰슨 | 앨버트 마이컬슨 | 가브리엘 리프만 | 굴리엘모 마르코니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 | | | |
카를 브라운 |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 빌헬름 빈 | 닐스 달렌 | |
<rowcolor=#cd9f51> 1913 | 1914 | 1915 | ||
| | | | |
헤이커 오너스 | 막스 폰 라우에 | 헨리 브래그 | 윌리엄 브래그 | |
<rowcolor=#cd9f51> 1917 | 1918 | 1919 | 1920 | |
| | | | |
찰스 바클라 | 막스 플랑크 | 요하네스 슈타르크 | 샤를 기욤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 | |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닐스 보어 | 로버트 밀리컨 | 만네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
| | | | |
제임스 프랑크 | 구스타프 헤르츠 | 장 페랭 | 아서 콤프턴 | |
<rowcolor=#cd9f51> 1927 | 1928 | 1929 | 1930 | |
| | | | |
찰스 윌슨 | 오언 리처드슨 | 루이 드 브로이 | 찬드라세카라 라만 | |
<rowcolor=#cd9f51> 1932 | 1933 | 1935 | ||
| | | |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폴 디랙 | 에르빈 슈뢰딩거 | 제임스 채드윅 | |
<rowcolor=#cd9f51> 1936 | 1937 | |||
| | | | |
빅터 헤스 | 칼 앤더슨 | 클린턴 데이비슨 | 조지 톰슨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3 | 1944 | |
| | | | |
엔리코 페르미 | 어니스트 로런스 | 오토 슈테른 | 이지도어 라비 | |
<rowcolor=#cd9f51> 1945 | 1946 | 1947 | 1948 | |
| | | | |
볼프강 파울리 | 퍼시 브리지먼 | 에드워드 애플턴 | 패트릭 블래킷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 | | | |
유카와 히데키 | 세실 파월 | 존 콕크로프트 | 어니스트 월턴 | |
<rowcolor=#cd9f51> 1952 | 1953 | 1954 | ||
| | | | |
펠릭스 블로흐 | 에드워드 퍼셀 | 프리츠 제르니커 | 막스 보른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 | | | |
발터 보테 | 윌리스 램 | 폴리카프 쿠시 | 윌리엄 쇼클리 | |
<rowcolor=#cd9f51> 1956 | 1957 | |||
| | | | |
존 바딘 | 월터 브래튼 | 리정다오 | 양전닝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
| | | | |
파벨 체렌코프 | 일리야 프란크 | 이고르 탐 | 오언 체임벌린 | |
<rowcolor=#cd9f51> 1959 | 1960 | 1961 | ||
| | | | |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 도널드 글레이저 | 로버트 호프스태터 | 루돌프 뫼스바우어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
| | | | |
레프 란다우 | 유진 위그너 | 마리아 메이어 | 한스 옌젠 | |
<rowcolor=#cd9f51> 1964 | 1965 | |||
| | | | |
찰스 타운스 | 니콜라이 바소프 |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 리처드 파인만 | |
<rowcolor=#cd9f51> 1965 | 1966 | 1967 | ||
| | | | |
줄리언 슈윙거 | 도모나가 신이치로 |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 한스 베테 | |
<rowcolor=#cd9f51> 1968 | 1969 | 1970 | ||
| | | | |
루이스 앨버레즈 | 머리 겔만 | 한네스 알벤 | 루이 네엘 | |
<rowcolor=#cd9f51> 1971 | 1972 | |||
| | | | |
데니스 가보르 | 존 바딘 | 리언 쿠퍼 | 존 슈리퍼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
| | | | |
에사키 레오나 | 이바르 예베르 | 브라이언 조지프슨 | 마틴 라일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
| | | | |
앤서니 휴이시 | 오게 보어 | 벤 모텔손 | 제임스 레인워터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
| | | | |
버턴 릭터 | 새뮤얼 팅 | 필립 앤더슨 | 존 밴블랙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
| | | | |
네빌 모트 | 표트르 카피차 | 아노 펜지어스 | 로버트 윌슨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 | | | |
스티븐 와인버그 | 무함마드 살람 | 셸든 글래쇼 | 제임스 크로닌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
| | | | |
벨 피치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아서 숄로 | 카이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82 | 1983 | 1984 | ||
| | | | |
케네스 윌슨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윌리엄 A. 파울러 | 카를로 루비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 | | | |
시몬 판 데르 메이르 | 클라우스 폰 클리칭 | 에른스트 루스카 | 게르트 비니히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1988 | ||
| | | | |
하인리히 로러 |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 카를 뮐러 | 리언 레더먼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
| | | | |
멜빈 슈워츠 | 잭 스타인버거 | 한스 데멜트 | 볼프강 파울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
| | | | |
제롬 프리드먼 | 헨리 켄들 | 리처드 테일러 | 피에르질 드 젠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 | | | |
조르주 샤르파크 | 러셀 헐스 | 조셉 테일러 주니어 | 버트럼 브록하우스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 | | | |
클리퍼드 슐 | 프레더릭 라이네스 | 마틴 펄 | 데이비드 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 | | | |
더글러스 오셔로프 | 로버트 리처드슨 | 윌리엄 필립스 | 스티븐 추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
| | | | |
클로드 코엔타누지 | 대니얼 추이 | 로버트 러플린 | 호르스트 슈퇴르머 | |
<rowcolor=#cd9f51> 1999 | 2000 | |||
| | |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마르티뉘스 펠트만 | 조레스 알표로프 | 허버트 크뢰머 | |
<rowcolor=#cd9f51> 2000 | ||||
| ||||
잭 킬비 | ||||
}}}}}}}}}
- [ 21세기 ]
- ##
<rowcolor=#cd9f51> 2001 2002 칼 위먼 에릭 코넬 볼프강 케털리 레이먼드 데이비스 <rowcolor=#cd9f51> 2002 2003 고시바 마사토시 리카르도 자코니 비탈리 긴즈부르크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 <rowcolor=#cd9f51> 2003 2004 앤서니 레깃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폴리처 프랭크 윌첵 <rowcolor=#cd9f51> 2005 2006 로이 글라우버 존 홀 테오도어 헨슈 조지 스무트 <rowcolor=#cd9f51> 2006 2007 2008 존 크롬웰 매더 알베르 페르 페터 그륀베르크 고바야시 마코토 <rowcolor=#cd9f51> 2008 2009 마스카와 도시히데 난부 요이치로 찰스 가오 윌러드 보일 <rowcolor=#cd9f51> 2009 2010 2011 조지 스미스 안드레 가임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솔 펄머터 <rowcolor=#cd9f51> 2011 2012 애덤 리스 브라이언 슈미트 세르주 아로슈 데이비드 와인랜드 <rowcolor=#cd9f51> 2013 2014 피터 힉스 프랑수아 앙글레르 아카사키 이사무 아마노 히로시 <rowcolor=#cd9f51> 2014 2015 2016 나카무라 슈지 가지타 다카아키 아서 맥도날드 데이비드 사울레스 <rowcolor=#cd9f51> 2016 2017 덩컨 홀데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킵 손 배리 배리쉬 <rowcolor=#cd9f51> 2017 2018 라이너 바이스 아서 애슈킨 제라르 무루 도나 스트리클런드 <rowcolor=#cd9f51> 2019 2020 제임스 피블스 미셸 마요르 디디에 쿠엘로 로저 펜로즈 <rowcolor=#cd9f51> 2020 2021 라인하르트 겐첼 안드레아 게즈 마나베 슈쿠로 클라우스 하셀만 <rowcolor=#cd9f51> 2021 2022 조르조 파리시 알랭 아스페 존 클라우저 안톤 차일링거 <rowcolor=#cd9f51> 2023 2024 피에르 아고스티니 크러우스 페렌츠 안 륄리에 제프리 힌튼 <rowcolor=#cd9f51> 2024 2025 존 홉필드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M. 마티니스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 ||||||
GBE | |||||||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 리들리 스콧 (2024) | |||||
KBE | |||||||
프레더릭 벤팅 (1934) | 에드먼드 힐러리 (1953) | 게오르그 솔티 (1971) |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 찰리 채플린 (1975) | 앨프리드 히치콕 (1980) | 밥 호프 (1998) | |
앤드루 와일스 (2000) | 로저 무어 (2003) | 팀 버너스리 (2004) | 조너선 아이브 (2012) | ||||
Knight Bachelor | |||||||
아이작 뉴턴 (1705) | 찰스 라이엘 (1848) | 찰스 휘트스톤 (1868) | 조지프 리스터 (1883) | 아서 코난 도일 (1902) | W. S. 길버트 (1907) | 프랜시스 골턴 (1909) | |
핼퍼드 매킨더 (1920) |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 오언 리처드슨 (1939) | 알렉산더 플레밍 (1944) | 랠프 리처드슨 (1947) | 로런스 올리비에 (1947) | |
존 길구드 (1953) | 칼 포퍼 (1965) | 알프 램지 (1967) | 쉬리다스 람팔 (1970) | 제임스 블랙 (1981) | 마이클 아티야 (1983) |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 |
렉스 해리슨 (1989) | V. S. 나이폴 (1990) | 더크 보가드 (1992) | 피터 맨스필드 (1993) | 로저 펜로즈 (1994) | 팀 라이스 (1994) | 캐머런 매킨토시 (1996) | |
마이클 스타우트 (1998) | 폴 너스 (1999) | 리처드 브랜슨 (2000) | 숀 코너리 (2000) | 톰 커트니 (2001) | 믹 재거 (2002) | 벤 킹슬리 (2002) | |
리들리 스콧 (2003) | 클라이브 그레인저 (2005) | 조너선 색스 (2005) | 이언 윌머트 (2008) | 헨리 세실 (2011) | 케네스 브래너 (2012) | 안드레 가임 (2012) |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 패트릭 헤드 (2015) | 마크 라일랜스 (2017) |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 톰 무어 (2020) | 마이클 호턴 (2021) | 마틴 에이미스 (2023) | |
스티븐 프라이 (2025) | 게리 올드만 (2025) | ||||||
CBE + Knight Bachelor | |||||||
데이비드 린 (1953) |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 알렉 기네스 (1959) | 스탠리 매튜스 (1965) | 맷 버스비 (1968) | 알렉 이시고니스 (1969) |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 |
리처드 애튼버러 (1976) | 존 밀스 (1976) | 월터 윈터보텀 (1978) |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 피터 쉐퍼 (1987) | 윌리엄 골딩 (1988) | 피터 유스티노프 (1990) | |
이안 맥켈런 (1991) | 안소니 홉킨스 (1993) | 데릭 제이코비 (1994) | 바비 찰튼 (1994) | 사이먼 래틀 (1994) | 조지 마틴 (1996) | 마이클 갬본 (1998) | |
아서 C. 클라크 (1998) | 엘튼 존 (1998) | 이안 홈 (1998) |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 톰 피니 (1998) | 나이젤 호손 (1999) | 알렉스 퍼거슨 (1999) | |
프랭크 윌리엄스 (1999) | 마이클 케인 (2000) | 폴 스미스 (2000) | 바비 롭슨 (2002) | 앨런 파커 (2002) | 앨런 베이츠 (2003) | 그레고리 윈터 (2004) | |
트레버 브루킹 (2004) | 제임스 다이슨 (2007) | 크리스토퍼 리 (2009) | 브래들리 위긴스 (2013) | 존 허트 (2015) | 칼 젠킨스 (2015) | 로드 스튜어트 (2016) | |
레이 데이비스 (2017) | 빌리 코놀리 (2017) | 배리 깁 (2018) | 마이클 페일린 (2019) | 데이비드 수셰이 (2020) | 샘 멘데스 (2020) | 스티브 맥퀸 (2020) | |
로저 디킨스 (2021) | 조너선 프라이스 (2021) | 존 부어만 (2022) | 브라이언 메이 (2023) | 크리스토퍼 놀란 (2024) | 로저 달트리 (2025) | ||
OBE + Knight Bachelor | |||||||
어니스트 섀클턴 (1909) | 윌리엄 브래그 (1941) | 리처드 돌 (1971) | 잭 브라밤 (1978) | 지미 새빌 (1990) | 클리프 리처드 (1995) | 트레버 맥도날드 (1999) | |
스털링 모스 (2000) | 헨리 쿠퍼 (2000) | 재키 스튜어트 (2001) | 톰 존스 (2006) | 테리 프래쳇 (2009) | 패트릭 스튜어트 (2010) | 밴 모리슨 (2015) | |
앤디 머리 (2017) | 가즈오 이시구로 (2018) | 마이클 모퍼고 (2018)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2025) | 데이비드 베컴 (2025) | |||
MBE + Knight Bachelor | |||||||
폴 매카트니 (1997) | 제프 허스트 (1998) | 나이젤 쇼트 (1999) | 니콜라스 윈턴 (2003) | 닉 팔도 (2009) | 링고 스타 (2018) | 케니 달글리시 (2018) | |
루이스 해밀턴 (2021) |
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OM FRS[1] HonFInstP 로저 펜로즈 경 Sir Roger Penrose | |||
| |||
출생 | 1931년 8월 8일 ([age(1931-08-08)]세) | ||
에식스주 콜체스터 | |||
국적 |
| ||
직업 | 교수, 수학자, 이론물리학자, 과학철학자 | ||
분야 | 수리물리학, 테셀레이션 | ||
종교 | 무종교 (불가지론)[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학력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수학 / 1952년 학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대수기하학 / 1957년 박사) | |
경력 | 前 베드포드 컬리지[3] (조교수) 前 버크벡 런던 대학교 (정교수) 現 옥스퍼드 대학교 (수학연구소 / 명예교수)[4] 現 옥스퍼드 대학교 워담 컬리지 (명예펠로우) 現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명예펠로우) 現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명예펠로우) | ||
지도교수 | 윌리엄 밸런스 더글라스 호지 경 Sir William Vallance Douglas Hodge 존 토드 John Arthur Todd | ||
부모 | 아버지 라이오넬 펜로즈(1898년 6월 11일 ~ 1972년 5월 12일) 어머니 Margaret Leathes | ||
형제자매 | 형 올리버 펜로즈(1929년 6월 6일생) 남동생 조너선 펜로즈(1933년 10월 7일 ~ 2021년 11월 30일) 여동생 셜리 펜로즈 호지슨(1945년 2월 22일생) | ||
배우자 | 조안 이사벨 웨지(1958년 결혼 ~ 1980년 이혼) 바네사 디 토마스(1988년 결혼) | ||
자녀 | 장남 크리스토퍼 숀 펜로즈(1963년생)[a] 차남 토비 니콜라스 펜로즈(1964년생)[a] 삼남 에릭 알렉산더 펜로즈(1966년생)[a] 사남 맥스웰 세바스찬 펜로즈(2000년생)[8] |
1. 개요
영국 잉글랜드의 수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이면서 과학철학자이다. UCL에서 학사, 그리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프린스턴 대학교, KCL, 시라큐스 대학교 등을 거치며 수많은 연구 업적을 쌓았다. 1999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라우스볼 수학 석좌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이다.2024년 1월 14일 길에서 그를 우연히 만난 중국인 과학자와의 대화와 사진을 통해 90대가 넘은 나이에도 여전히 건강함이 확인되었다. 이 대화에서 본인보다 8세 위인 중국 과학자 양전닝(2024년 당시 101세)의 근황을 묻기도 했다.
2. 활동
현존하는 최고의 수학자 중 한 명이자, 최고의 이론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2020년 10월 6일에 독일의 라인하르트 겐첼, 미국의 안드레아 게즈와 함께 블랙홀 연구에 대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수학 외 학문에 대한 지식이 상당한 수준을 넘어섰다. 그 업적 중 하나가 양자 중력 연구에서 자주 쓰이는 스핀 네트워크. 이에 많이 묻힌 편인데, 스티븐 호킹과의 공동 논문 저술과 같은 물리학에 대한 기여가 상당하다. 호킹과의 합작품인 특이점 정리[9]가 가장 유명하며,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 등에 대한 지식도 상당하다. 그의 스승이 데니스 시아마(Dennis Sciama)[10]임을 감안하면 당연한 것. 후에 펜로즈는 시아마에게 바치는 책인 <The road to reality>를 썼다. 다만 이 책의 난이도는 관련학과 학부생에게도 조금 버거운 수준이다. 단 후술하겠지만 뇌과학의 경우 다소 유사과학적 주장을 하기도 한다.
1965년에는 천체물리학에 위상수학을 도입하여 블랙홀의 이론적 가능성을 증명하기도 했다. 현재는 양자 중력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자신이 개발한 트위스터 이론을 주축으로 연구 중이며, 고리 변수나 루프 양자 중력 이론에 대한 애정도 상당하다. 초끈 이론에 반하는 세력에 대한 애정이 강한 편이라 볼 수 있다. 이에 관한 교양서적들도 많이 집필했다.
블랙홀의 일종인 커 홀을 연구하면서 상대성 이론에 의거해서 틀 끌림 효과를 예견했다. 자세한 내용은 티플러 원통 참조.
그가 발견한 비주기적 테셀레이션[11]인 '펜로즈 타일링'은 준결정이 이론적으로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준결정 또한 노벨상을 수상한 중대한 발견이었다.
독특하게도 인간의 의식이 뉴런이 근원이 아닌 미세소관의 양자역학적인 특징을 가진 기능에 의해 존재한다는, 주류 과학계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조화 객관 환원 이론을 주장한다. 이 주장은 인간의 의식은 몸이라는 저장장치 안에 얽메여 있는데, 몸이 죽으면 인간의 의식은 소멸하지 않고 양자적인 상태로 회귀한다는 매우 이단적인 이론이다.
또한, 우주가 빅 프리즈로 종말을 맞은 후 억겁의 시간이 흘러 우주가 다시 빅뱅 이전 특이점의 물리적 성질과 같아지는 순간이 반드시 오게 되며, 이 때 다시 빅뱅이 발생하고 이것이 연속되어 기존의 우주에서 새로운 우주가 탄생되는 현상이 무한히 반복된다는 등각순환우주론(Conformal cyclic cosmology)도 제창했다.[12] 여하튼 전반적으로 매우 특이한 이론을 내놓는 인물로 과학계의 이단아라 말할 수 있다. 때문에 몇몇 비판적인 과학자들은 말년에 갑자기 이런 공상적인 이론들을 마구 내놓는 그를 두고 사이비 종교쟁이가 되었다고 까고 있다(...).
한국에 번역되어 출판된 펜로즈의 책은 <황제의 새 마음>[13], <마음의 그림자>, <The road to reality>, <시간의 순환>, <유행, 신조 그리고 공상> 등이 있다. 이 책들 모두 전공자가 아니면 시도 자체가 어려울 정도의 난이도가 있으며 수리물리학자답게 많은 수식과 기호가 등장한다. 이 외에 공저로 참여한 책들이 다수 있다.
3. 어록
While the theory agrees incredibly with experiment and while it is of profound mathematical beauty, it makes absolutely no sense.
(양자역학) 이론은 실험과 믿을 수 없을 만큼 일치하고 동시에 심오한 수학적 아름다움을 가졌지만, 전혀 말이 되지 않습니다.
로저 펜로즈
(양자역학) 이론은 실험과 믿을 수 없을 만큼 일치하고 동시에 심오한 수학적 아름다움을 가졌지만, 전혀 말이 되지 않습니다.
로저 펜로즈
4. 저서
* 대중과학 단독:
1. The Emperor's New Mind: Concerning Computers, Minds, and The Laws of Physics (1989)
2. Shadows of the Mind: A Search for the Missing Science of Consciousness (1994)
3. The Road to Reality: A Complete Guide to the Laws of the Universe (2004)
4. Cycles of Time: An Extraordinary New View of the Universe (2010)
5. Fashion, Faith, and Fantasy in the New Physics of the Universe (2016)
* 대중과학 공저:
1. The Nature of Space and Time (with Stephen Hawking) (1996)
2. The Large, the Small and the Human Mind (with Abner Shimony, Nancy Cartwright, and Stephen Hawking) (1997)
* 과학소설 공저:
1. White Mars: The Mind Set Free (with Brian Aldiss) (1999)
* 전문분야 서적:
1. Techniques of Differential Topology in Relativity (1972)
2. Spinors and Space-Time: Volume 1, Two-Spinor Calculus and Relativistic Fields (with Wolfgang Rindler, 1987)
3. Spinors and Space-Time: Volume 2, Spinor and Twistor Methods in Space-Time Geometry (with Wolfgang Rindler, 1988)
5. 기타
|
펜로즈 삼각형. |
대중에게는 펜로즈 삼각형으로 꽤 알려져 있다. 영화 인셉션에서 등장하는 펜로즈의 계단을 통해 알려져 있기도 하다.[14]
덤으로, 이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의 계단은 현실에서는 분명 성립할 수 없는 조형이지만. 이런 조형으로 보이게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물체는 제작이 가능하다.
물론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착시를 이용한 트릭이다.
노벨물리학상 수상 발표 당시 샤워 중이었다.#
6. 둘러보기
[[블랙홀|'''블랙홀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display: inline"]]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구조 | 사건의 지평선 · 빛 구 · 제트 · 중력 특이점 |
용어 | 호킹 복사 · 에르고 영역 · 밀집성 · 티플러 원통 · 에딩턴 광도 · 블랙홀 정보 역설 | |
기타 | 종류 · 웜홀 · 화이트홀 · 마이크로 블랙홀 · 이중 블랙홀 | |
인물 | 스티븐 호킹 · 킵 손 · 로저 펜로즈 | |
문서가 있는 블랙홀 | 궁수자리 A* · 포웨히 · 백조자리 X-1 · S5 0014+81 · XTE J1650-500 · Tonantzintla 618 · 봉황자리 A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 <tablebordercolor=#663334><tablebgcolor=#663334>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rowcolor=#fff> 이름 | 연도 | 사유 | 비고 |
존 레일리 | 1904 | 아르곤의 발견 | 최초수상 | |
조지프 톰슨 | 1906 | 기체 전기전도성 연구 | ||
헨리 브래그 | 1915 | X선 회절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 | 부자수상 | |
윌리엄 브래그 | 부자수상 최연소 | |||
찰스 바클라 | 1917 | 뢴트겐 복사 발견 | ||
찰스 윌슨 | 1927 | 하전된 입자 경로의 가시화 | ||
오언 리처드슨 | 1928 | 리처드슨 법칙 고안 | ||
폴 디랙 | 1933 | 양자역학에 파동방정식 도입 | ||
제임스 채드윅 | 1935 | 중성자의 발견 | ||
조지 톰슨 | 1937 | 전자로 굴절된 결정 내 상호간섭현상의 실험적 증명 | ||
에드워드 애플턴 | 1947 | 전리층에서의 애플턴 층 발견 | ||
패트릭 블래킷 | 1948 | 핵물리학 및 우주선의 재발견 | ||
세실 파월 | 1950 | 중간자(메손)의 발견 | ||
존 콕크로프트 | 1951 | 가속입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 ||
데니스 가보르 | 1971 | 홀로그래피 발명 | 헝가리 국적 | |
브라이언 조지프슨 | 1973 |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 효과 | ||
마틴 라일 | 1974 | 전파천문학 분야의 연구 | ||
앤서니 휴이시 | ||||
네빌 모트 | 1977 | 비결정성 고체에서 나타나는 자기에 따른 전자의 반응에 대한 연구 | ||
앤서니 레깃 | 2003 | 초전도 및 초유체 이론의 공헌 | 미국 국적 | |
찰스 가오 | 2009 | 광통신용 광섬유의 빛 전송에 관한 획기적인 업적 | 미국 국적 홍콩 국적 | |
안드레 가임 | 2010 | 그래핀 합성 | 네덜란드 러시아 국적 | |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 ||||
피터 힉스 | 2013 | 힉스 입자의 예측 | ||
데이비드 사울레스 | 2016 | 위상 상전이와 위상부도체의 이론적 고안 | ||
덩컨 홀데인 | 슬로베니아 국적 | |||
마이클 코스털리츠 | 미국 국적 | |||
로저 펜로즈 | 2020 | 블랙홀 형성이 일반 상대성 이론의 확실한 예측이라는 것을 발견 | }}}}}}}}}}}} |
역대 울프상 물리학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 <rowcolor=#cd9f51> 1978 | 1979 | 1980 | |
| | | | |
우젠슝 | 조지 울렌벡 | 주세페 오치알리니 | 마이클 피셔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
| | | | |
케네스 윌슨 | 레오 카다노프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프리먼 다이슨 | |
<rowcolor=#cd9f51> 1981 | 1982 | 1983/84 | ||
| | | | |
빅터 바이스코프 | 레온 레더만 | 마틴 펄 | 어윈 한 | |
<rowcolor=#cd9f51> 1983/84 | 1985 | |||
| | | | |
피터 히르쉬 | 시어도어 마이만 | 코니어스 헤링 | 필리프 노지에레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
| | | | |
미첼 파이겐바움 | 알베르 리브차버 | 허버트 프리드먼 | 브루노 로시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1990 | ||
| | | | |
리카르도 자코니 | 스티븐 호킹 | 로저 펜로즈 | 피에르질 드 젠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1992 | ||
| | | | |
데이비드 사울레스 | 모리스 골드하버 | 발렌틴 텔레그디 | 조셉 테일러 | |
<rowcolor=#cd9f51> 1993 | 1994/95 | 1996/97 | ||
| | | | |
브누아 망델브로 | 비탈리 긴즈부르크 | 난부 요이치로 | 존 휠러 | |
<rowcolor=#cd9f51> 1998 | 1999 | 2000 | ||
| | | | |
야키르 아로노프 | 마이클 배리 | 단 셰흐트만 | 레이먼드 데이비스 | |
<rowcolor=#cd9f51> 2000 | 2002/03 | 2004 | ||
| | | | |
고시바 마사토시 | 버트런드 할페린 | 앤서니 레깃 | 피터 힉스 | |
<rowcolor=#cd9f51> 2005 | 2006/07 | 2010 | ||
| | | | |
대니얼 클레프너 | 알베르 페르 | 페터 그륀베르크 | 존 클라우저 | |
<rowcolor=#cd9f51> 2010 | 2011 | |||
| | | | |
알랭 아스페 | 안톤 차일링거 | 하랄트 로제 | 크누트 우르반 | |
<rowcolor=#cd9f51> 2012 | 2013 | 2015 | ||
| | | | |
야코프 베켄슈타인 | 페터 졸러 | 이냐치오 시랙 | 제임스 요르겐 | |
<rowcolor=#cd9f51> 2015 | 2016 | 2017 | ||
| | | | |
로버트 키쉬너 | 요셉 임리 | 디디에 쿠엘로 | 미셸 마요르 | |
<rowcolor=#cd9f51> 2018 | 2020 | |||
| | | | |
찰스 베넷 | 질 브라사르 | 라피 비스트리저 | 파블로 헤레로 | |
<rowcolor=#cd9f51> 2020 | 2021 | 2022 | ||
| | | | |
앨런 맥도널드 | 조르조 파리시 | 안 륄리에 | 크러우스 페렌츠 | |
<rowcolor=#cd9f51> 2022 | 2024 | |||
| | |||
폴 코쿰 | 마틴 리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역대 수상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959 | 1960 | 1961 | 1962 | |||
| | | | ||||
머리 겔만 | 오게 보어 | 마르빈 골드버거 | 레온 판호프 | ||||
<rowcolor=#fff> 1963 | 1964 | 1965 | 1966 | ||||
| | | | ||||
키스 브루크너 | 툴리오 레제 | 프리먼 다이슨 |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 ||||
<rowcolor=#fff> 1967 | 1968 | 1969 | 1970 | ||||
| | | | ||||
지안카를로 윅 | 세르조 푸비니 | 아서 와이트먼 | 난부 요이치로 | ||||
<rowcolor=#fff> 1971 | 1972 | 1973 | 1974 | ||||
| | | | ||||
로저 펜로즈 | 제임스 요르겐 | 케네스 윌슨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
| | | | ||||
류드비크 파데예프 | 스티븐 호킹 | 스티븐 와인버그 | 엘리엇 리브 | ||||
<rowcolor=#fff> 1979 | 1980 | 1981 | |||||
| | |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제임스 글림 | 아서 야페 | 제프리 골드스톤 |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
| | | | ||||
존 워드 | 마틴 크루스칼 | 로버트 그리피스 | 다비드 루엘 | ||||
<rowcolor=#fff> 1986 | 1987 | 1988 | |||||
| | | | ||||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 로드니 벡스터 | 율리우스 베스 | 브루노 추미노 | ||||
<rowcolor=#fff> 1989 | 1990 | 1991 | |||||
| | | | ||||
존 벨 | 야코프 시나이 | 토마스 스펜서 | 위르크 프뢸리히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
| | | | ||||
스탠리 맨델스탐 | 마틴 구츠빌러 | 리처드 알노위트 | 스탠리 데서 | ||||
<rowcolor=#fff> 1994 | 1995 | 1996 | 1997 | ||||
| | | | ||||
찰스 미즈너 | 로만 재키브 | 로이 글라우버 | 해리 레만 | ||||
<rowcolor=#fff> 1998 | 1999 | ||||||
| | | | ||||
에드워드 위튼 | 나탄 자이베르그 | 배리 맥코이 |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 ||||
<rowcolor=#fff> 1999 | 2000 | 2001 | 2002 | ||||
| | | | ||||
타이썬 우 | 시드니 콜먼 | 블라디미르 아르놀트 | 존 슈워츠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
| | | | ||||
마이클 그린 | 이봉 브루하 | 제임스 요크 |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 ||||
<rowcolor=#fff> 2005 | 2006 | ||||||
| | | | ||||
조르조 파리시 | 세르조 페라라 | 대니얼 프리드먼 | 페터르 판니우언하위전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
| | | | ||||
후안 말다세나 | 조셉 폴친스키 | 미첼 파이겐바움 | 이고르 튜틴 | ||||
<rowcolor=#fff> 2009 | 2010 | ||||||
| | | | ||||
카를로 베치 | 알렝 루에 | 레몽 스토라 | 마이클 아이젠만 | ||||
<rowcolor=#fff> 2011 | 2012 | 2013 | |||||
| | | | ||||
헤르베르트 슈폰 | 조반니 조나라지노 | 진보 미치오 | 미와 테쓰지 | ||||
<rowcolor=#fff> 2014 | 2015 | 2016 | |||||
| | | | ||||
그레고리 무어 | 피에르 라몽 | 캄란 바파 | 앤드루 스트로민저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
| | | | ||||
칼 벤더 | 배리 사이먼 | 빌 서더랜드 | 프란시스코 칼로게로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
| | | | ||||
스베틀라나 지토미르스카야 | 조엘 레보위츠 | 안티 쿠피아이넨 | 크쉬슈토프 가벤트스키 | ||||
<rowcolor=#fff> 2023 | 2024 | 2025 | |||||
| | | |||||
니키타 네크라소프 | 데이비드 브리제스 | 샘슨 샤타슈빌리 |
}}}}}}}}}}}} ||
[1] Fellow of the Royal Society (FRS)
왕립학회 회원[2] 2010년 9월, BBC 라디오에서 어떠한 종교도 믿지 않으며 자신을 불가지론자로 여긴다고 말했다.[3] 현재 로열 홀러웨이 대학교[4] 라우스볼 수학 교수직[a] 전처 소생[a] [a] [8] 후처 소생[9] 정확한 논문 제목은 <The Singularities of Gravitational Collapse and Cosmology>이다.[10] 국내에선 잘 안 알려져 있는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스승으로 유명하다. 이분의 저서도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어 있지만 비인기 과목인 우주론이라 상당히 묻힌 편. 펜로즈를 특히 아꼈다고 한다.[11] 쪽매맞춤, 평면 도형을 겹치지 않으면서 빈틈이 없게 모으는 것이다.[12] 빅 크런치로 우주가 수축하지 않고, 영구팽창하면서도 가능하다는 독특한 입장이다.[13] 영국왕립학회 과학도서상 수상작[14] 여담으로 해당 부분은 크리스토퍼 놀란 특유의 CG를 최대한 피하는 성향으로 인해 이어지지 않은 계단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펜로즈 계단씬의 마지막 부분은 영화 소품으로 허공에 계단이 뻗어있는 상태라 두 배우가 걸을 때마다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왕립학회 회원[2] 2010년 9월, BBC 라디오에서 어떠한 종교도 믿지 않으며 자신을 불가지론자로 여긴다고 말했다.[3] 현재 로열 홀러웨이 대학교[4] 라우스볼 수학 교수직[a] 전처 소생[a] [a] [8] 후처 소생[9] 정확한 논문 제목은 <The Singularities of Gravitational Collapse and Cosmology>이다.[10] 국내에선 잘 안 알려져 있는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스승으로 유명하다. 이분의 저서도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어 있지만 비인기 과목인 우주론이라 상당히 묻힌 편. 펜로즈를 특히 아꼈다고 한다.[11] 쪽매맞춤, 평면 도형을 겹치지 않으면서 빈틈이 없게 모으는 것이다.[12] 빅 크런치로 우주가 수축하지 않고, 영구팽창하면서도 가능하다는 독특한 입장이다.[13] 영국왕립학회 과학도서상 수상작[14] 여담으로 해당 부분은 크리스토퍼 놀란 특유의 CG를 최대한 피하는 성향으로 인해 이어지지 않은 계단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펜로즈 계단씬의 마지막 부분은 영화 소품으로 허공에 계단이 뻗어있는 상태라 두 배우가 걸을 때마다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