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09:55:45

하와이 왕국


오세아니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99c5, #75b2dd, #5a99c5)"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선사 ~ 중세 근세 근대 현대
<colbgcolor=#5a99c5> <nopad> 영국의 식민지들 <#c8102e> 호주 자치령 호주
마오리족 <nopad> 뉴질랜드
멜라네시아인 <nopad> 영국령 피지 피지
뉴헤브리디스 제도 <nopad>
<nopad> 영국령 파푸아 <nopad> 파푸아 지역 <nopad> 파푸아 뉴기니 지역 <nopad> 파푸아뉴기니
<nopad> 독일령 뉴기니 <nopad> 뉴기니 지역
<nopad> 영국령 솔로몬 제도 <nopad>
미크로네시아인 <nopad> <nopad> <nopad> <nopad> 나우루
남양 군도 태평양 제도 <nopad>
<nopad> 미크로네시아
연방
<nopad> 팔라우
북마리아나 제도
<nopad>
<nopad> 영국령 길버트
앨리스 제도
<nopad>
폴리네시아인 <nopad> 투발루
투이 마누아
통가 제국
사모아 왕국 <nopad> 독일령 사모아 서사모아 지역 <nopad> 사모아
미국령 사모아
통가 왕국 <nopad> 통가(영국 보호령) 통가
하와이 왕국 <nopad> 하와이
공화국
하와이준주 하와이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colbgcolor=#eee,#2d2f34>
동부
중부
서부
남부
알래스카
하와이
독립
이전
영토
확장
<colbgcolor=#d4e9ff,#003166>
근대
미합중국
현대
미합중국
}}}}}}}}}}}} ||

하와이 왕국
Aupuni Mōʻī o Hawaiʻi
파일:하와이 주기.svg 파일:하와이 왕국 국장.svg
국기 국장
Ua Mau ke Ea o ka ʻĀina i ka Pono
대지의 생명은 정의 가운데 영원히 존재한다
파일:Hawaii_Islands2.png
하와이 왕국의 판도
1795년 ~ 1893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하와이 부족국가 하와이 공화국
위치 하와이
국가 하와이 포노이
수도 와이키키(1795년-1796년)
힐로(1796년-1802년)
라하이나(1802년-1812년, 1820년-1845년)
카일루아-코나(1812년-1820년)
호놀룰루(1845년-1893년)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1840년)
입헌군주제(1840년~1893년)
인구 400,000~800,000명 (1780년)
250,000명 (1800년)
130,313명 (1832년)
89,990명 (1890년)
국가 원수
언어 하와이어, 영어
민족 하와이 원주민
종교 하와이 신화성공회[1]
통화 하와이 달러
면적 28,311km²
현재 국가
[[미국|]][[틀:국기|]][[틀:국기|]](하와이 주)

1. 개요2. 역대 국기3. 역사4. 멸망5. 후손6. 역대 군주

[clearfix]

1. 개요

카메하메하 1세하와이의 부족국가들을 모두 정복한 이후, 하와이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세워진 통일국가. 1893년 미국인들에 의해 멸망당했다.

2. 역대 국기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상선기.svg.png
1795년 ~ 1800년[2]
파일:영국 상선기.svg
1801년 ~ 1816년[3]
파일:하와이 왕국 국기(1816).svg.png
1816년 ~ 1845년
파일:하와이 주기.svg
1845년 12월 29일 ~ 현 하와이 주기

국기에 유니언 잭이 있는 이유는, 제임스 쿡 선장과 함께 하와이를 방문한 적이 있는 조지 밴쿠버(George Vancouver)[4] 선장이 1793년에 카메하메하 1세를 만났을 때 영국 상선기인 Red Ensign을 선물한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하와이 통일에 도움을 준 영국과의 인연을 상징하는 것.

1990년대 말 카나카 마올리 플래그(Kanaka Maoli Flag)라고 하여 영국 국기가 들어간 디자인 이전의 깃발이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진위 여부는 알 수 없어서 신빙성은 없다.

영어 위키백과

3. 역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amehameha_I.png

카메하메하 1세(Kamehameha I) 대왕.

하와이 왕국은 카메하메하 1세 대왕이 하와이 제도의 다른 부족 국가들을 모두 정복하고 세운 나라이다. 1778년에 제임스 쿡 선장이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하와이에 도착했을 때 카메하메하 1세는 당시 그가 속해있던 부족의 추장이던 할아버지 칼라니오프의 명을 받아 쿡 선장을 만났고, 그에게서 영어를 배우고 영국의 많은 유용한 기술을 익혔다. 제임스 쿡의 부하와 원주민간 분쟁으로 인해 제임스 쿡 선장이 전사하고, 영국인 선원들이 패퇴했지만, 카메하메하는 그의 장례를 하와이 전통방식에 따라 정중히 치러주고 포로로 붙잡힌 영국 선원들을 군사 고문으로 임명해 유럽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그리고 추장이 되자마자 유럽에서 사온 무기로 정복사업에 나서 하와이 전역을 통일한다.

카메하메하 1세는 부족 국가들을 정복하고 하와이의 관습법과 영국의 성문법을 결합한 법을 제정하였다.

카메하메하 1세가 죽자 그의 아들 카메하메하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그의 치세에 첫 기독교 선교사가 왔다. 이 때 카메하메하 2세는 영어 로마자를 받아들여 하와이어 로마자를 만들고 교육하였다. 그는 왕후와 함께 영국을 방문해 조지 4세와 회견하여 동맹을 맺고자 하였으나 영국에서 홍역에 걸려 얼마 못 가 죽었다. 1824년에 그의 왕위는 동생 카메하메하 3세가 계승했다.

1840년에는 카메하메하 3세의 주도 하에 헌법이 제정되어 입헌군주국이 되었다. 1843년에는 영국, 미국, 프랑스 등으로부터 독립국으로 승인되었다.

1873년에는 카메하메하 5세가 아들 없이 죽자 선거를 통해 루날릴로(Lunalilo)가 군주가 되었으나 얼마 못가 죽었고, 다시 선거를 통해 1874년에 칼라카우아(Kalākaua)가 즉위했다. 이 때 경쟁자였던 카메하메하 4세의 부인 엠마(Emma)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미국과 영국의 힘을 빌려 진압했다.

4. 멸망

하와이는 태평양 한가운데 있어서 당시 태평양을 항해하던 서구 국가들과 많이 접촉했는데, 앞서 영국의 간섭도 있었고, 러시아 제국도 1814년부터 1817년까지 엘리자베스 포트항구를 소유했다.[5] 미국에서도 많은 이민자가 와서 사탕수수 농장을 경영하고 있었는데[6], 이들의 힘이 점점 커져서 하와이의 국정까지 좌지우지하게 되었다. 위기를 느낀 역대 하와이 군주들은 대영제국, 일본 제국 등 열강에게 미국을 견제해 달라고 도움을 청했다. 그 중에서 일본에게는 보호령 편입을 청하였다. 실현되었다면 태평양 절반이 일본령이 되는 일이 일어났을 터이지만 그 전에 우호적인 관계였던 미국과 괜한 일로 적대하고 싶지 않은데다 자기 몸 건사하기도 급급한 일본은 영미에게 오가사와라 제도 영유만 승인받고 거절했다.

1887년에는 샌퍼드 돌(Sanford Dole)[7]을 비롯한 미국계 이민자들이 들고 일어나 무력으로 왕궁을 점령한 뒤 군주인 칼라카우아를 협박하여 헌법을 개정하게 되었다. 이 개정된 헌법은 미국계 이민자의 참정권을 허용하여, 이는 칼라카우아의 권력 누수로 이어졌다. 결국 칼라카우아는 아무 실권이 없는 상징적 국가원수가 되었고, 1891년에 사망했다.

칼라카우아 사후 이후 그의 여동생인 릴리우오칼라니(Liliʻuokalani)가 왕위를 몰려받게 되었다. 그녀는 미국계 이민자들을 그대로 냅뒀다간 나라가 사라질 것이라 생각하고 헌법 개정을 통해 이들의 참정권을 대폭 제한하려고 했다. 하지만 1892년 각료회의에서 헌법개정안을 부결하면서 무산되고 이에 미국인의 농장들을 국영화시키는 식으로 대응했다.

그러자 미국인들은 근처 미 해군 선박에 도움을 요청하였으며, 그 즉시 수병 150명으로 무력으로 왕공을 점령한 뒤 릴리우오칼라니를 국왕에서 폐위시키고 군주정을 폐지함으로써 하와이 왕국은 멸망했다(1893).

미국계 이민자들은 미국에 하와이를 편입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당시 미국 대통령이 반제국주의자였던 그로버 클리블랜드였기에 보류되었다. 잘 알려져있다시피 미국 자체가 영국의 식민지로 시작한 국가라, "미국이 제국주의 식민지 쟁탈전에 참여하지 말아야 한다"는 여론도 다른 서구 열강에 비하면 어느 정도는 있었다.[8]

결국 군주정을 무너뜨린 하와이 거주 백인[9]들은 자신들끼리 샌퍼드 돌을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해서 임시로 하와이 공화국(Lepupalika ʻo Hawaiʻi)을 수립하고 준비과정을 거쳐 1897년 합병조약을 체결한 뒤 하와이를 미국령으로 편입했다. 그 뒤로 하와이는 하와이 준주(Territory of Hawaii)로서 한동안 현재의 과 비슷한 지위의 자치령이 되었다가 나중에 1959년 본토와 대등한 정식 주로 편입되어 미국의 50번째 주인 하와이 주가 되었다.

빌 클린턴 대통령 때, 즉 100년 뒤에야 미국은 하와이 멸망에 대해 사과했다. 영어 자료 물론 그렇다고 왕국을 부활시키거나 원주민 특권을 인정하진 않았다.

5. 후손

세월이 흐르면서 하와이 왕가의 후손들[10]은 대부분 백인과 혼혈되어 백인 상류층과 비슷한 외모를 가졌는데, 이들은 여전히 하와이 전역에 상당한 토지를 보유하고 재정적 기반과 사회적 영향력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 이를 간접적으로 다룬 영화로 디센던트가 있다.

2022년 12월 11일 하와이의 마지막 공주라 불린 왕족 애비가일 카와나나코아가 96세로 타계했다.#

6. 역대 군주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메하메하 1세 카메하메하 2세 카메하메하 3세 카메하메하 4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카메하메하 5세 루날릴로 칼라카우아 릴리우오칼라니 }}}}}}}}}
파일:Royal_Coat_of_Arms_of_the_Kingdom_of_Hawaii.png 파일:Insigne_Havaii.png
카메하메하 왕조 칼라카우아 왕조

루날릴로 이후의 군주들은 카메하메하의 직계 자손이 아니다. 카메하메하의 자손은 5대에 끊겼고, 루날릴로는 카메하메하의 형제의 손자이며, 칼라카우아와 그 여동생 릴리우오칼라니는 카메하메하의 증조부 때에 갈려 나온 집안 출신이다. 또한 6, 7, 8대 군주 모두 자녀 없이 사망해서, 하와이 왕가와 깨알만한 연관이라도 있으면 모두 왕위 요구자가 될 수 있는 게 현실이다.
[1] 군주 카메하메하 4세가 영국을 방문했을 때 성공회의 전례에 감명받아 국교로 채택했다. 하와이가 미국에 합병 후로는 당연히 미국 성공회에 합병된다. 명칭은 하와이 교회(Church of Hawaii) 또는 하와이 개혁 가톨릭교회(Hawaiian Reformed Catholic Church)였으며 명칭에 가톨릭이 들어가지만 성공회 체제를 택했고 세계성공회공동체에 소속되었기 때문에 가톨릭에 속했던 것이 아닌 개신교 성공회 교단이었다.[2] 영국 상선기[3] 영국 상선기[4] 도시 이름 밴쿠버가 이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했다.[5] 당시는 미서부 많은 지역이 러시아령 아메리카였기에 러시아가 하와이에서 굉장히 가까웠다.[6] 참고로 이들은 거의 대부분 반세기 전에 하와이로 선교를 온 성직자들의 자손이었다.[7] 파인애플로 유명한 식품 회사인 그 맞다. 정확히 말하면 샌퍼드 돌이 하와이에서 권력을 잡고 자신의 사촌인 제임스 돌에게 막대한 파인애플 농장 이권을 줘서 생긴 회사다.[8] 미국은 이후 필리핀, 등을 식민지로 삼지만, 거기서도 일단은 의회 민주주의를 이식하는 모양을 내거나 장기적으로 독립을 준비하는 등, 반제국주의 유권자 여론도 신경 쓰는 척은 해야 했다. 쿠바를 식민지로 만들지 않은 이유 중 하나도 이것이다.[9] 백인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하울리(Haule)라고 부르는데, 원래 하와이어로서의 뜻은 이방인이라는 뜻이지만, 당시 이방인들은 모두 백인이었기 때문에 현재 백인을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다. 나쁜 단어는 아니지만, 백인들 앞에서는 하울리라는 단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10] 직계는 끊기고 방계들은 살아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