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5:53:11

황푸강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일본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구즈류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아가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츠강
대만 지룽강 ·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강 · 일리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강 · 스와니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황푸강
黄浦江
Huangpu River
파일:ㅎㅍㄱ.jpg
위치 <colcolor=#000,#ddd><colbgcolor=#fff,#383838>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시 일원
수계 장강 수계
발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시 칭푸구 뎬산호
하구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시 푸둥신구 우쑹커우
유입 주요 지류
└원자오방 · 우쑹강 · 촨양허 · 타이츠허 ·진후이강
유출 장강
길이 114 km
유역면적 3,653 km²

1. 개요2. 지류3. 시설
3.1. 교량3.2. 하저터널 및 부두

[clearfix]

1. 개요

중국 동부 상하이시 중심을 가로지르는 최대 하천으로 칭푸구의 뎬산호와 타이호(太湖)에서 유출된 물이 창장 하구로 흘러나가고 있으며 주변에 연결된 무수한 수로를 통해 수많은 화물선이 지나가는 등 수운교통이 활발한데 대한민국 서울의 한강의 너비가 1km에 육박한다면 이곳은 700m 정도이다. 상하이 시내에서는 이 강을 경계로 서쪽을 푸시(浦西), 동쪽을 푸둥(浦东)이라고 부르고 있다.

중국에서는 황허(黄河)가 중화민족의 젖줄이라고 부른다면, 이곳 황푸강은 상하이의 젖줄이라는 말이 있다.

2. 지류

운하로 유명한 상하이 답게 여러 운하들이 황푸강을 따라 항저우만, 동중국해 등으로 거미줄처럼 연결되어있다.

3. 시설

수심이 깊고 대형조선소와 석유화학단지 같은 수많은 산업시설들로 인해 오래전부터 대형선박들의 이동이 빈번해서 상하이 도심쪽에는 높이 제한이 있는 교량보다 하저터널로 시공되었으며 남서쪽 외곽으로 갈수록 유동인구가 적어져서 현수교량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하저터널과 현수교량의 90%가 푸둥지역이 개발된 1990년대 이후에 놓였는데 이전까지 푸둥과 푸시를 오갈때는 페리를 이용해야만 이동할 수 있었다.

3.1. 교량

  • 양푸대교(杨浦大桥) : 1993년 10월 23일 개통한 황푸강 최북쪽에 자리잡은 현수교로 서쪽 양푸구와 동쪽 푸둥신구를 이으며 상하이의 주요 도시고속도로인 내환고가로에 속한다.
  • 난푸대교(南浦大桥) : 내환루 일부를 구성하며 서쪽 황푸구와 동쪽 푸둥신구를 잇는 현수교로 지난 1991년 12월 1일 개통되었다.
  • 루푸대교(卢浦大桥) : 서쪽 황푸구와 동쪽 푸둥신구를 잇는 세계 최장의 아치교량[1]으로 2003년 6월 28일 개통되었다.
  • 쉬푸대교(徐浦大桥) : 쉬푸구와 푸둥신구를 이으며 S20 상하이외환고속공로를 구성하는 현수교량으로 1997년 6월 24일 개통되었다.
  • 민푸대교(闵浦大桥) : 민항구와 푸둥신구를 잇는 현수교량으로 2009년 12월 31일 개통되었다.
  • 펑푸대교(奉浦大桥) : 남쪽 펑셴구와 북쪽 민항구를 잇는 교량으로 S2 후진고속공로가 지나간다. 1995년 10월 26일 개통되었다.
  • 민푸2교(闵浦二桥) : 민항구와 펑셴구를 잇는 교량으로 상층부가 2010년 5월 28일 개통되었으며 2018년 12월 30일에 개통된 하층부에는 상하이 지하철 5호선이 지나간다.
  • 민푸3교(闵浦三桥) : 2020년 10월 28일에 개통한 현수교량으로 민항구와 펑셴구를 잇는다.
  • 진산철도 황푸강특대교(金山铁路黄浦江特大桥) : 쑹푸대교(松浦大桥) 바로 옆에 가설된 진산철도의 복선철교로 쑹푸대교에 있었던 철교를 이전하여 건설하였으며 2012년 9월 28일 개통하였다.
  • 쑹푸대교(松浦大桥) : 황푸강 상류를 횡단하는 다리중 최초로 건설된 철로 및 도로겸용 다리로 1975년 9월 11일(철도), 1976년 6월 29일(도로)에 개통되었으나 현재 철로기능은 바로 옆 진산철도 황푸강특대교로 기능을 이전하고 보행자다리로 기능을 바꾸었다.
  • 쑹푸2교(松浦二桥) : 황푸강 상류를 횡단하는 왕복 6차선 규모의 다리로 G15 선하이고속공로 상에 위치하며 2006년 3월 28일 개통하였다.
  • 쑹푸3교(松浦三桥) : 황푸강 상류를 횡단하는 왕복 4차선 규모의 다리로 S124 상하이 124번 성도 상에 위치하며 2010년 6월 30일 개통하였다.

3.2. 하저터널 및 부두

※ 아래 서술한 부두는 일반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페리(轮渡)가 운항하는 부두를 서술하였다.
  • 자오환터널(郊环隧道) : 황푸강 하구에 자리잡은 11.5km 짜리 G1503 상하이환성고속공로의 하저터널로 푸둥신구와 바오산구를 이으며 2019년 12월 28일 개통되었다.
  • 와이환터널(外环隧道) : 황푸강 하구에서 두번째로 가까운 S20 상하이외환고속공로의 하저터널로 2003년 6월 21일 개통되었다.
  • 창장루터널(长江路隧道) : 서부 바오산구와 동부 푸둥신구를 잇는 왕복 6차선의 하저터널로 2016년 9월 10일 개통되었다.
  • 샹인루터널(翔殷路隧道) : 서부 양푸구와 동부 푸둥신구를 잇는 왕복 4차선의 하저터널로 2003년 6월 21일 개통되었다.
  • 저우자쭈이터널(周家嘴隧道) : 서부 양푸구와 동부 푸둥신구를 잇는 왕복 4차선의 하저터널로 2019년 10월 31일 개통되었다.
  • 쥔공루터널(军工路隧道) : 상하이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인 중환루의 일부로 서부 양푸구와 동부 푸둥신구를 이으며 2011년 1월 28일 개통되었다.
  • 장푸루터널(江浦路隧道) : 양푸구와 동부 푸둥신구를 잇는 왕복 4차선의 하저터널로 상하이 지하철 18호선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2021년 9월 30일 개통되었다.
    • 민성루 부두(民生路渡口 남측), 단둥루 부두(丹东路渡口 북측) : 장푸루터널 북측에는 단둥루 부두, 남측에는 민성루 부두가 있어서 단돈 2元이면 배를 타고 황푸강을 넘어갈 수 있다.
  • 다렌루터널(大连路隧道) : 북부 양푸구와 남부 푸둥신구를 잇는 왕복 4차선의 하저터널로 2003년 9월 29일 개통되었다.
    • 치장찬 부두(其昌栈渡口 남측), 친황다오루 부두(秦皇岛路渡口 북측) : 장푸루터널 남측과 북측 상하이국제항운중재원(上海国际航运仲裁院)을 잇는 페리노선이 개설되어 있다.
  • 신젠루터널(新建路隧道) : 북부 훙커우구와 남쪽 푸둥신구 루자쭈이(陆家嘴) 동쪽을 잇는 하저터널로 2009년 11월 20일 개통되었다.
  • 와이탄관광터널(外滩观光隧道)관광용 : 서쪽 황푸구의 와이탄(外滩)과 동쪽 푸둥신구의 루자쭈이를 잇는 관광용 하저터널로 2001년 1월 2일부로 개방되었다. 이곳에는 미니관광열차가 편도 50元의 값비싼 가격으로 손님을 모시고 있다.
  • 옌안둥루터널(延安东路隧道) : 서쪽 황푸구의 옌안고가로(延安高架路)[2]와 동쪽 루자쭈이의 푸둥다다오 지하차도[3]를 잇는 하저터널로 북측은 1989년 5월 1일, 남측은 1996년 11월 29일 개통되었다.
  • 런민루터널(人民路隧道) : 서부 황푸구의 위위안역(豫园站) 사거리와 푸둥신구의 루자쭈이를 잇는 하저터널로 와 남쪽 푸둥신구 루자쭈이(陆家嘴) 동쪽을 잇는 하저터널로 2009년 11월 20일 개통되었다.
  • 푸싱둥루터널(复兴东路隧道) : 서쪽 황푸구와 동쪽 푸둥신구를 잇는 2층 형태의 하저터널로 하층은 왕복 2차선, 상층부는 왕복 4차선짜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4년 9월 29일 개통되었다. 개통당시 중국 최초로 쌍층식으로 건설한 하저터널이었다.
  • 시짱난루터널(西藏南路隧道) : 난푸대교 서남쪽 루푸대교 동쪽에 놓인 왕복 4차선규모의 하저터널로 2010 상하이 엑스포를 위해 전용도로로 개설되었으며 엑스포 이후인 2011년 2월 1일 저녁 공공에게 개방되었다.
  • 다푸루터널(打浦路隧道) : 1971년 6월 10일에 최초로 개통한 왕복 4차선규모의 하저터널로 루푸대교 서쪽에 있으며 황푸구와 푸둥신구를 잇는다. 개통 당시만 해도 중산난1루 - 창칭루를 잇는 왕복 2차선으로 놓였으나 2010년 1월 서쪽 터널이 개통되면서 복선터널화 되었다.
  • 룽야오루터널(龙耀路隧道) : 푸둥신구와 쉬후이구를 잇는 왕복 4차선규모의 하저터널로 상하이난역과 푸둥신구를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터널로 2010년 4월 15일 부분개통되었다.
  • 룽수이난터널(龙水南路隧道) : 쉬후이구와 푸둥신구를 이을 하저터널로 2024년을 목표로 건설중이다.
  • 상중루터널(上中路隧道) : 푸둥신구와 쉬후이구를 잇는 왕복 8차선규모의 하저터널로 중환루의 일부이며 2009년 1월 22일 개통되었으며 서쪽으로 이어지는 상중루고가는 훙메이고가, 동쪽으로는 푸둥 국제공항과 이어지는 화샤고가로와 이어지고 여러 고속공로와 연계된다.
  • 인두루터널(银都路隧道) : 쉬후구와 민항구를 이을 하저터널로 2024년을 목표로 건설중이다.
  • 훙메이난루터널(红梅南路隧道) : 민항구와 펑셴구를 잇는 왕복 6차선규모의 하저터널로 2015년 12월 30일 개통되었다. 북쪽 훙메이난루 일대는 그럭저럭 도시지역이나 남쪽 펑셴구쪽은 농촌지역이다.


[1] 이 기록은 2009년 서부 충칭의 차오톈먼 창장대교가 완공되면서 기록이 깨졌다.[2] 상하이 시내를 동서로 길게 가로지르는 옌안고가로는 서쪽으로 훙차오 국제공항과 연결되며 이어서 G60 후위고속공로와 이어진다.[3] 이 지하차도는 2022년 12월 24일 개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