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27:23

신천(대구)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일본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쓰강 · 쿠즈류가와
대만 지룽 강 ·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강 · 일리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 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 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 강 · 스와니 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883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중구 신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경상감영과 옛골목 · 달성공원 · 서문시장 · 동성로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수성못 · 대구스타디움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비슬산 · 강정고령보와 디아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팔공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83타워
}}}}}}}}}}}} ||

대구광역시의 지방하천
신천

新川 | Sincheon
파일:파일:신천1.jpg
<colbgcolor=#008837> 발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하구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 금호강
상위하천 금호강
길이 12.40km
유역면적 179.97km2
수계 낙동강 종속수계

1. 개요2. 명칭3. 환경 및 편의 시설
3.1. 신천 어도(물고기 길) 개선 사업
4. 교량 및 시설물

[clearfix]

1. 개요

▲ 신천 드론 영상 (2K)
대구광역시의 지방하천.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비슬산이 명목상 발원지. 실제 발원지는 우미산의 북쪽 기슭이다. 우미산이 비슬산에 비해 인지도가 워낙에 없다 보니 그런 듯. 우미산에서 발원하여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서 금호강과 합류하는 지방하천.

대구를 대표하는 낙동강, 금호강, 신천 가운데 신천이 가장 작지만 현대 대구 도심을 남에서 북으로 지나기 때문에 대구시민들한텐 가장 익숙하다. 대구 신천은 대구광역시 도심 지역의 중간을 가로지르고 대구 여러 자치구의 경계이기도 하며, 주변에 신축 아파트가 많다.

대구 지역 학교의 교가에 산은 팔공산, 앞산(대덕산, 비슬산)이 자주 등장하고 강은 낙동강, 금호강이 자주 등장하지만, 신천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위용, 정기, 기상 운운에 걸맞지않은지 잘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수성초등학교 교가에서 ‘새내’라는 단어로 언급된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잠실새내역의 옛 이름이 신천역임을 떠올려 보자.) 한편 동구 신천동의 신천초등학교 교가에조차 신천은 등장하지 않는다.

2. 명칭

신천이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조선 정조때 대구판관 이서(李溆, 1732-1794)[1]가 물길을 돌려서 신천이 되었다'는 등의 설이 있는데 다 오해에서 나온 잘못이다. 이서가 부임하기 이전의 조선시대 각종 지도에 이미 신천의 존재가 언급되기 때문. 잘못된 정보를 바로 잡게 된 건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전영권 교수가 홈페이지와 언론을 통해 노력한 덕분이다. 2007년 영남일보 전영권 교수의 기고문 참고.

신천은 원래 '사잇강', '샛강'이었고 이걸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잘못 훈차하여 원래의 뜻인 간천(間川)이 아닌 신천(新川)으로 잘못 번역되었다는 소리가 있지만 학계에서 명확히 규명된 적은 없다. 또한 당시 신천은 본류 외에도 상동교 부근에서 분류되는 가칭 '상동천', 중동교 부근에서 분류되는 가칭 '대구천' 그리고 또 거기서 갈라지는 수많은 물줄기가 있어서 지금의 신천 본류가 '샛강'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있다.

건들바위의 지형과 범람기록 같은 것, 대구(구체적으로는 신천 좌안부) 편평한 지형, 이집트의 나일강의 변화무쌍한 모습 같은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과거 신천의 물길은 자주 변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은 가능하다. 과거 대구읍성 주변을 흐르던 하천이 있었는데 그 하천이 신천 중동교 일대에서 분류된 하천이라고 보는 것이 다수설이다. 보통 '대구천'으로 지칭되는 하천이 그것이다. [2]

결론적으로는 좀 더 명확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3]

대구판관 이서의 송덕비인 이공제비는 지금 신천 강변에 남아 있으며 수성구 쪽으로 건너서 상동교, 중동교 사이에 보면 있다. 비석은 두 개로 각각 '이공제비(李公隄碑)'[4] 그리고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郡守李侯範善永世不忘碑)'라 불리는데, 이후범선 즉 이범선(李範善)은 대구군수로 있던 1898년에 홍수로 이공제의 하류 부분이 유실되어 대구읍성이 위험하게 되자 이를 단시일에 수리해내었고 이 과정에서 민력을 크게 들이지 않았으며, 이에 대해 대구 사람들이 이 비를 세워서 이공제비와 함께 보호했다고 한다.

전영권 교수는 대구향교 장의 구본욱의 도움으로 이공제비의 비문을 번역했다. 그 내용은
판관 이서는 무술년(1778년)[5]에 대구의 재(宰)로 부임하여, 향교의 성묘와 읍터가 모두 신천의 하류에 있었기 때문에 항상 큰물이 지면 침수를 우려했다. 이에 제방을 축조해 오래지 않아 공사를 마쳤다. 이로부터 제사를 지내니 성묘가 편안했다. 또 천금(千金)을 출연해 찹쌀로 내는 토지세와 춘궁기 부역을 영구히 덜게 했다.

라고 해서 신천의 물줄기 자체를 돌렸다기보다 방죽을 쌓아서 홍수 피해를 막았다는 것에 방점이 찍혀 있다. 이서가 홍수 때 신천의 범람으로 수해를 막기 위해 제방을 쌓은 사실은 있지만, 그 위치는 지금의 수성교[6] 일대로 실제로 이공제비가 발견된 곳도 광복 후 수성교 부근에서 터파기 공사를 하다가 발견되었다고. 지금 위치도 2000년 9월에 덕수 이씨 문중의 요청으로 옮긴 것이다. 그 전에는 방천시장 제방 위에 있었다. 신천 지류 가운데 수성교 부근은 하천 지형 특성상 공격사면에 해당되어 홍수가 나면 범람으로 대구읍성 전체가 침수를 당하기 쉽다고 한다.[7] 수성교 근처가 원래 이공제비의 위치라면 원래 위치보다 훨씬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는 셈이다.

영남일보에 따르면 판관 이서가 신천의 물길을 틀었다는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4년에 나온 대구읍지와 37년 일본어로 발간된 대구독본에서 ‘판관 이서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물길을 돌렸다’고 잘못 기술한 것을 1977년 ‘달구벌’이란 책에서 베끼고 옮기면서 잘못된 역사가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고 하며, 2007년 신천에 대해 잘못 표기한 것을 지적했음에도 대구시는 하나도 고치지 않았다고 영남일보는 지적하였다. #

이와는 별개로 홍수 피해를 막으려 한 공적은 인정되어, 대구에서는 지금도 해마다 정월 대보름이면 이공제비 앞에서 이서를 기리는 향사(享祀)를 올린다. 원래는 방천시장 상인들이 주도했던 제사로, 지금은 수성문화원에서 주관한다고. #

3. 환경 및 편의 시설

수량은 많지 않은 편이지만, 수질은 좋아서 잉어를 비롯한 수십여종의 민물고기 및 청둥오리, 왜가리같은 조류, 심지어 수달도 산다. 분변을 채취해서 감식한 결과, 15마리 이상 확인되었다. 대구 도심 한복판인 대봉교역 인근의 하중도에서 낮에 가끔씩 목격된다. 그러나 2020년 말에 관리를 이유로 하중도를 준설하면서 수달들의 보금자리가 사라졌고 보금자리를 찾던 수달들이 로드킬 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기사

2014년 7월에는 수성구 파동 부근에 신천물놀이장이 개장하여 무료개방하였으며, 주말에는 5천여명 이상의 시민들이 이용할 정도.

상동교~침산교 구간은 거의 모든 교각 사이마다 강 한복판에 대형 분수가 설치되어 있다. 구조도 각기 다르다.

강 양쪽으로는 신천대로신천동로가 건설되어 있고,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사시사철 신천에서 걷고 뛰고 자전거 타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낙동강과 금호강이 더 큰 강이지만, 이 둘은 대구의 외곽을 훑는 관계로 시 중앙을 가로지르는 신천이 가장 산책로 조성이 잘 되어있다.

상동교 쪽에 이서공원이 있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공룡의 발자국 화석도 있다. 화석이 있는 곳은 동신교와 수성교 사이에 있는 하중도인데, 보존할 가치는 없는지 그냥 방치되다가 지금은 수중보가 설치되어 물 속에 잠겨 있다.#1 #2

물의 색깔이 깨끗하지 않다. 사진 출처

대구에서는 대개 이 신천을 경계로 할당 취수장 구역이 달라지기 때문에 나름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신천 동쪽의 수성구, 동구, 북구 대현동운문댐, 가창댐 물을 취수하고 북구 일부 지역[8]공산댐 물을 취수해서 수질이 괜찮은 편인데, 신천 서쪽 동네들은 낙동강의 매곡취수장 물을 갖다 쓰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질이 좋지 않다.

2023년 7월 18일 오후 4시 13분경 폭우로 수위가 상승해 대구시는 "신천 수위 상승으로 신천둔치 일부가 침수되어 위험하오니, 둔치 출입을 금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신천동로 일부가 침수되고 공항교 하단도로 등의 침수가 우려돼 오후 4시 50분을 기해 도로 15곳 통행이 통제됐다. #1 #2

3.1. 신천 어도(물고기 길) 개선 사업

기존의 둑을 철거하고 어도를 개선하고 있다. 현재 칠성시장 부근에서 작업 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교량 및 시설물

대구광역시 신천의 교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하류 파일:Cityroad_kor_11m.svg 침산 - 파일:Cityroad_kor_11m.svg 성북 - 파일:Cityroad_kor_11m.svg 도청 - 파일:Cityroad_kor_11m.svg 경대 - 파일:Cityroad_kor_11m.svg 칠성 - 신성 -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신천(철) - 파일:Cityroad_kor_11m.svg 신천 - 파일:Cityroad_kor_11m.svg 동신 - 파일:Cityroad_kor_11m.svg 수성 - 파일:Cityroad_kor_11m.svg 대봉·파일:Daegu3.svg 대봉(철) - 파일:Cityroad_kor_11m.svg 희망 - 파일:Cityroad_kor_11m.svg 중동 - 파일:Cityroad_kor_11m.svg 상동 - 파일:Cityroad_kor_11m.svg 두산 - 용두 - 파일:Cityroad_kor_10m.svg 파동 - 가창 - 파일:Cityroad_kor_11m.svg 용계 - 가창댐 ← 상류
낙동강 | 금호강 }}}}}}}}}


신천 서측으로 신천대로가 파동교까지 따라가며, 이하 표에는 작성되지 않았다. 일부는 지도에 없으므로 직접 보거나 로드뷰를 써야한다.

참고로 신천철교는 KTX노선 때문에 리빌딩하기 전에는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 진 것을 오랫동안 그대로 사용해 왔다. 문제는 이게 철거하면서 밝혀졌는데, 내부에 철근이 거의 없었다는 것.(...) 애초에 공법이 그런지, 부실시공인지 자세한 건 밝혀지지 않았다.
▼ 금호강합류 ▼
노원로
침산1동 방면
<colbgcolor=#c8c8c8> 침산교 노원로
산격동 방면
성북로
침산3동 방면
성북교 연암로
산격동 방면
중앙대로
대구역, 칠성동 방면
도청교 중앙대로
대구광역시청 별관 방면
침산남로
침산2동 방면
경대교 대현로
대현동 방면
신암로
칠성시장역, 동인동 방면
칠성교 신암로
대현동 방면
신성로
칠성가구시장로 방면
신성교 신성로
신암2동 방면
경부선
경부고속선
전철 대경선
대구역·김천구미역 방면
신천철도교 경부선
경부고속선
전철 대경선
동대구역 방면
태평로
동인동 방면
신천교 동부로
신천역 방면
국채보상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방면
동신교 국채보상로
청구중·고등학교 방면
동신교 남쪽
(하천지류)
범어천
수성동 방면
달구벌대로
경대병원역 방면
수성교 달구벌대로
대구은행역 방면
명덕로
전철 3호선

건들바위역 방면
대봉교
대봉철교
명덕로
전철 3호선

수성시장역 방면
희망로
이천동 방면
희망교 희망로
중동 방면
대덕로
봉덕동 방면
중동교 청수로
중동 방면
앞산순환로
봉덕동 방면
상동교 상화로
상동 방면
무학로
신천대로 방면
두산교 무학로
상동, 수성못 방면
파동로51길
수성중학교·대구파동초교 방면
용두교 파동로51길
수성못방면
도로명 없음
파동교삼거리 방면
파동교 도로명 없음
파동 방면
앞산터널로
앞산터널·앞산TG 방면
파동고가교 앞산터널로
파동방면
가창로
대구용계초교 방면
가창교 가창로
파동 방면
용계천
가창호 방면
덕안사 서쪽
(하천지류)
가창로
힐크레스트
방면
냉천교 가창로
갑오자동차정비공장 방면
가창로
네이처파크 스파밸리 방면
한천교 가창로
갑오자동차정비공장 방면
행정길
네이처파크 스파밸리 방면
행정교 행정길
행정2리 방면
도로명 없음
냉천리 방면
냉천1교 도로명 없음
행정2리 방면
가창동로
냉천리 방면
중앙교 가창동로
행정1리 방면
냉천리 568-9 동쪽
(하천지류)
상원천
상원리 방면
가창동로1길
냉천2리 방면
냉천2교 가창동로1길
단산리 방면
대일천[A]
대일지 방면
덕안사 서쪽
(하천지류)
가창로126길
대일교차로 방면
대일2교 가창로126길
대일리·단산리 방면
대일길
가창체육공원 방면
대일교[A] 대일길
대일리 방면
주동천[A]
주리 방면
대일리 114-1 남쪽
(하천지류)
가창로108길
가창실내테니스장 방면
단양교 가창로108길
옥분리·미타선원 방면
가창로84길
옥분리 방면
옥분교 가창로84길
옥분리 들마 방면
옥분천[A]
보은정사 방면
옥분리 466-4 남쪽
(하천지류)
도로명 없음
월인사 방면
옥분1교 도로명 없음
옥분리 방면
수점교 북쪽
(하천지류)
수점천[A]
수점마을 방면
가창로58길
수점교차로 방면
수점교 가창로58길
수점마을 방면
도로명 없음
가창삼성요양병원 방면
삼산1교 도로명 없음
수점마을 방면
도로명 없음
가창삼성요양병원 방면
삼산2교 도로명 없음
가창주말농장 방면
도로명 없음
수점교차로 방면
구삼산교[A] 도로명 없음
애화지 방면
가창로
수점교차로 방면
삼산교 가창로
애화지 방면
가창로57길
삼산리·삼산리회관 방면
녹문교 가창로57길
애화지 방면
녹문교 남쪽
(하천지류)
애화천[A]
봉화산·애화지 방면
우록길
삼산지 방면
범동교 우록길
세왕교통 방면
가창로38길
중봇들 방면
범중교 가창로38길
떡갈나무공방 방면
우록길
삼산지 방면
대림교[A] 우록길
향림사 방면
우록길
삼산지 방면
우록5교[A] 우록길
봉화산 방면
우록길
삼산지 방면
전원교[A] 우록길
숲속전원마을 방면
우록길
삼산지 방면
우록4교[A] 우록길
등용각고시원, 선흥사 방면
우록길
삼산지 방면
시화교 우록길
선흥사 방면
우록길
삼산지 방면
발명교 우록길
봉화산 방면
우록1길
녹동서원 방면
우록교 우록1길
보령사, 화장터골 방면
우록길
녹동서원 방면
우록교 우록길
우록1리마을회관 방면
우록1리 마을회관 북쪽
(하천지류)
우록천[A]
우록2교, 우록지 방면
우록길
삼정산 방면
우록6교[A] 우록길
우록리 경로당 방면
우록4길
삼정산 방면
백록교 우록4길
우미산 방면
우록길
백연암, 남지장사 방면
우록골교 우록길
백록마을 방면
백련천[A]
백연암. 남지장사 방면
화백록교 북쪽
(하천지류)
우록길
백연암, 남지장사 방면
화백록교 우록길
백록마을회관, 백련천[A] 방면
우록길
우미산 방면
백록1교[A] 우록길
백록마을회관, 백련천[A] 방면
우록길
우미산 방면
백록2교[A] 우록길
백록마을회관, 백련천[A] 방면
발원지


[1] 덕수 이씨이고 자는 계호(季浩)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이주진(李周鎭), 어머니는 우의정 민진원(閔鎭遠)의 딸 여흥민씨(驪興閔氏)이며, 1776년 7월에 대구판관으로 부임(~1778.7)했다. 이후 남원부사로 전임, 광주 · 나주 · 황주 · 여주 목사를 거쳐 돈녕부도정을 지냈다. 1794년 3월 18일 사망하였다.[2] 대구천은 앞산 삼정골에서 발원한 하천으로 신천의 분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소멸됐다. 다만 대구천 일부가 이천천으로 유로가 변경돼 수성교 부근에서 신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지형적으로 볼 때 대구천 일대가 신천보다 높아 대구천 쪽에서 신천 쪽으로 물이 흐를 수는 있어도 신천의 물이 대구천으로 분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3] 참고 : 신천과 소하천 유로 변천 조사 보고서[4] 재미있는 것은 '이공제'라는 비석 앞면의 큰 글씨를 쓴 건 당시 12살이었던 이학철(李鶴喆)이다. 실제로 비석에 "전면대자십이세이학철서(前面大字十二歲李鶴喆書)"라고 써놨다.[5] 조선 정조 2년이다.[6] 반월당네거리에서 수성구 방향으로 가는 경로상으로 신천에 가로질러 놓인 다리다. 바로 옆에 김광석거리가 있다.[7] 수성교에서 강물 따라 가다 보면 두 번째로 나오는 큰 다리가 신천교인데, 이 길로 가면 교동이 나온다. 일제강점기에 지금 위치로 옮겨지기 전에는 대구향교가 교동에 위치했다.[8] 검단동, 복현동, 산격동[A] 가칭임.[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