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20:28:44

NATO군 vs 러시아군

NATO vs 러시아군에서 넘어옴
VS놀이 | 가상 군사 대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인민군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세계연합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UN기.svg
세계연합군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군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러시아군 vs 우크라이나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 [[NATO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NATO 깃발.svg
NATO
]] | [[폴란드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소련군|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군]]'''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중국인민해방군|
파일:중국 국기.svg

인민해방군]]'''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중국군 vs 인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중국군 vs 베트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 [[Quad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EwVHvtgUcAMO2IH.jpg
Quad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군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
[[사우디아라비아군 vs 이란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
]] | [[이란군 vs 이스라엘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다자간
한미연합군 vs 북중연합군
기타 영국군 vs 프랑스군 | 인도군 vs 파키스탄군 | 독일군 vs 폴란드군 }}}}}}}}}
파일:NATO 깃발.svg VS 파일:러시아 연방군기.svg
NATO군 러시아 연방군
1. 개요2.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 목록3. 군사력 비교
3.1. 종합3.2. 육군3.3. 공군3.4. 해군3.5. 첨단 기술 및 정보 자산3.6. 핵 전력3.7. 경제력과 지속 가능성
4. 양 국가들의 주요 거점
4.1. 타국
4.1.1. 북부 전선4.1.2. 남부 전선
5. 전면전
5.1. 전면전 가능성5.2. 전면전 발생 가능 위험지역5.3. 전면전 시나리오5.4. 전면전 이후 피해 규모 예상5.5. 전면전 이후 핵무기를 사용하는 극단적인 시나리오
6. 결론7. 대중 매체8. 둘러보기

1. 개요

2024년 기준 NATO군과 러시아군 간의 관계는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NATO와 러시아는 빈번하게 군사 훈련을 통해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훈련 중에 상대를 겨냥하는 시나리오를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양측의 훈련은 상호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성격이 짙고, 특히 군사적인 충돌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우크라이나, 발트 3국, 흑해 등)에서 거대한 규모의 군사 훈련으로 대립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상존하지만, 양측 모두 전면전을 피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대립을 제한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2.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 목록

순위국가국방비 (USD, 억 단위)주요 특징병력 수 (명)
1미국8600세계 최대 국방비와 군사력을 보유. 항공모함 다수, 최첨단 무기체계약 1,390,000
2영국658미국 이전 패권국, 최신 항공모함, 핵잠수함, 강력한 특수부대 보유약 148,000
3독일681유럽 최대 경제력 바탕으로 최신 무기 도입 중약 183,000
4프랑스566항공모함, 핵잠수함, 핵무기 보유. 아프리카, 중동에 군사 활동 활발약 205,000
5이탈리아316강력한 해군, 항공모함과 준강대국급 공군 보유약 170,000
6스페인192중규모 군사력과 해군 전력 보유약 140,000
7캐나다289대규모 국토 방어와 평화 유지 임무에 적극적으로 참여약 68,000
8폴란드291러시아 견제 목적으로 군사력 대폭 증강 중약 175,000
9네덜란드167강력한 해군 및 공군, NATO의 핵심 해군 전력약 42,000
10튀르키예158대규모 병력과 강력한 육군, 공군 및 드론 전력 보유약 500,000
11노르웨이88북유럽의 전략적 위치에서 해군과 공군 활약약 23,000
12그리스71지중해 해군 및 육군 전력, 국방비 비중이 높은 편약 130,000
13핀란드73러시아와 긴 국경, 강력한 육군 및 공군 전력 보유약 21,500
14루마니아85동유럽에서 중요한 군사 거점 역할약 67,000
15덴마크67작지만 효율적인 해군과 공군 보유약 16,000
16포르투갈10유럽과 아프리카, 대서양을 연결하는 해군 기반약 29,000
17체코62현대화된 중형 규모의 군사력약 27,000
18스웨덴722024년에 가입, 강력한 해군과 공군 보유약 21,000
19-헝가리-45최근 군사력 강화 중이며 NATO 협력 강화약 24,000
20불가리아16동유럽 방어선의 일환으로 NATO에서 전략적 위치약 40,000
21벨기에70NATO 본부 소재지. 소규모지만 강력한 공군약 26,000
22-슬로바키아-18동유럽 군사 협력 강화를 위한 중형 규모 군사력약 15,000
23크로아티아10발칸 반도 내 NATO 전략적 위치약 15,500
24리투아니아21러시아 국경에 위치, NATO 강화 배치약 22,000
25라트비아13러시아와 국경을 맞대어 NATO 방어선의 일부약 16,500
26에스토니아11사이버 보안과 방어력 집중약 8,500
27슬로베니아9소규모 군사력, NATO 작전 지원 집중약 7,200
28알바니아3발칸 반도에서의 전략적 거점약 8,000
29-북마케도니아-2최신 회원국으로 NATO 방어선 강화 기여약 8,000
30몬테네그로22017년에 가입, 발칸 반도에서 NATO 역할 수행약 2,300
31룩셈부르크6소규모 군사력, 재정 및 정보 지원에 집중약 1,000
32아이슬란드0군대는 없으나 NATO 기지와 항공 방어 역할을 지원없음
총합1.26조 달러3,549,500

NATO는 총 32개 회원국의 군사 동맹이다. 다만 해당 국가들 중에서도 -취소선-이 쳐져 있는 현재 일부 국가들은 친러 행정부가 집권하고 있어 많은 친나토 오신트들이 이를 경고하고 있다.[1]

3. 군사력 비교

3.1. 종합

항목나토군 (2024)러시아군 (2024)
국방비약 1.2조 USD (미국 포함 전체 나토군)약 650억 USD
육군약 150만 명 (징집병 포함)약 55만 명 (징집병 포함)
공군약 13,000기 (전투기 약 3,500기)약 4,000기 (전투기 약 700기)
해군약 2,000 척 (항공모함 16척 포함)약 300 척
ICBM400개약 350개
핵탄두핵무기 보유: 약 6,500개핵무기 보유: 약 6,000개

종합적으로 NATO는 병력, 장비, 경제력, 정보 기술 면에서 러시아보다 우위를 차지한다. 전면전이 발발할 경우 NATO가 전략적 우위를 가질 가능성이 크지만, 러시아는 지리적 이점과 방어적인 전력 운영, 강력한 방공 체계, 그리고 전술 핵무기를 통해 특정 국지전에서는 상당한 전력을 발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NATO가 전반적으로 더 강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러시아 또한 지리적인 근접성과 핵무기라는 강력한 억제력을 가지고 있어 NATO와 러시아 모두 서로 간의 전면전을 피하려 할 것이다.

3.2. 육군

분류러시아군나토 합계나토(유럽)나토 육군 주요 전력
총 병력약 55만명약 150만명약 80만미국 45만, 튀르키예 26만, 프랑스 11만, 폴란드 9만 등
전차2,730(2,900)대9,397(1,500)대4,345대미국 2640, 튀르키예 2378, 그리스 1385, 폴란드 662 등
장갑차7,980(6,300)대37,498(10,800)대20,596대미국 11658, 튀르키예 4338, 프랑스 3490, 그리스 2326 등
다연장로켓1,131(1,250)문1,569문849문미국 622, 루마니아 206, 폴란드 199, 그리스 151 등
자주포1,703(1,900)문4,754(850)문2,332문튀르키예 1261, 미국 1161, 그리스 602, 폴란드 559 등
견인포600(2,450)문2,886문1,566문미국 1212, 핀란드 630, 루마니아 351, 스페인 220 등
공격헬기334기1,148기307기미국 750, 튀르키예 91, 프랑스 67, 독일 51, 영국 44 등
  • NATO
    NATO는 약 150만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전체 장비 보유량은 많지만 미국 의존도가 높고 나머지 중에서도 최근 애매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튀르키예의 지분이 높다는 등의 약점이 존재한다.
  • 러시아
    러시아군은 약 55만명의 병력과 세계에서 가장 많은 탱크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상군은 다양한 장갑차와 방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자국 영토 방어와 인접 지역 전투에서 효율적인 조직과 강력한 전력을 발휘할 수 있다.

3.3. 공군

구분러시아군나토 합계나토(유럽)나토 공군 주요 전력
5세대 전투기19기 758기152기미국 606, 노르웨이 44, 네덜란드 40, 영국 32, 이탈리아 26 등
4.5세대 전투기220기798기574기미국 224, 독일 138, 영국 127, 프랑스 99, 이탈리아 92 등
4세대 전투기430기1,971기738기미국 884, 튀르키예 260, 그리스 158 등
조기경보통제기7기55기33기미국 18, NATO 공유 14 등
공중급유기15기444기43기미국 389, 프랑스 17, 영국 10 등
수송기(중대형)169기599기252기미국 287, 독일 50, 프랑스 37, 이탈리아 33, 영국 30 등
수송헬기(중대형)304기3,335기915기미국 2306, 프랑스 175, 독일 145, 튀르키예 100, 영국 97 등
  • NATO
    NATO는 첨단 전투기(F-35, 유로파이터 타이푼 등)와 함께 정찰기, 공중 조기 경보 및 공중 급유 자산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갖고 있다. NATO는 전 세계를 커버할 수 있는 공군 기지와 기술적 지원 체계도 구축해 두었다.
  • 러시아
    러시아 공군도 우수한 전력을 갖추고 있으며, Su-35을 포함한 다양한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지만, 수적으로나 최신 기술 면에서 NATO에 뒤쳐진다. 다만, 러시아는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특히 S-400, S-500)을 통해 방공 역량이 뛰어나고, NATO의 공중 우위를 견제할 수 있다.

3.4. 해군

장비 종류러시아군나토 합계나토(유럽)나토 해군 주요 전력
항공모함 16척5척미국 11, 영국 2, 프랑스 1, 이탈리아 2
공격 핵잠수함23척64척11척미국 53, 영국 6, 프랑스 5
재래식 잠수함17척58척58척튀르키예 12, 그리스 10, 이탈리아 8, 독일/노르웨이 6 등
함대방공함5척113척27척미국 86, 영국 6, 스페인 5, 프랑스 4 등
호위함 이상26척108척79척튀르키예 17, 그리스 13, 캐나다 12, 프랑스 11, 이탈리아/영국 10 등
상륙함16척49척15척미국 29, 프랑스 3 등

NATO, 특히 미국 해군은 다수의 항공모함과 대형 전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해군력 측면에서 압도적이다. 러시아 해군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핵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양 작전 능력은 제한적이다.

3.5. 첨단 기술 및 정보 자산

  • NATO
    NATO는 미국의 위성, 드론, 첨단 감시 및 정찰 체계를 통해 정보 자산에서 강력한 우위를 보유하고 있다. 데이터 링크와 공유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전장 정보를 동맹국 간에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어 작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 러시아
    러시아는 자체 정보 수집 및 감시 시스템이 있지만, NATO의 첨단 기술과 협력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다소 한계가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 전자전과 사이버전에 능하기 때문에 전쟁 초기 단계에서 NATO의 정보 체계에 큰 타격을 줄 가능성도 있다.

3.6. 핵 전력

항목나토군 (2024)러시아군 (2024)
ICBM400개약 350개
전략 핵잠수함23 척12 척
폭격기120기127기
핵탄두약 6,500개약 6,000개

NATO와 러시아 모두 전략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어 핵전력 측면에서 상호 억제 상태에 있다. 러시아는 핵탄두 수량에서 우위를 갖추고 있고 전술 핵무기를 더 많이 배치하고 있어 이를 통해 강력한 억제력을 행사하고자 할 가능성이 크다. NATO 역시 핵무기를 통해 균형을 맞추고 있으며, 양측 모두 핵무기 사용 억제에 대한 국제적 압력이 크다.

3.7. 경제력과 지속 가능성

  • NATO
    미국을 비롯한 NATO 회원국은 GDP 총합이 압도적이며, 경제력에서 러시아를 크게 상회한다. 이는 군사비 지출에서도 나타나며, 장기전에서 NATO가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러시아
    러시아는 자체적으로 방산산업을 운영해 자원을 조달할 수 있지만, 경제 규모가 NATO보다 작고 경제적 지속 가능성에서 약점을 보인다. 장기전에서 군수물자와 경제적 비용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4. 양 국가들의 주요 거점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4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if external != "o"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uuid=f7bff662-0d78-4a0a-961d-ce045f6f9c0a|r283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uuid=f7bff662-0d78-4a0a-961d-ce045f6f9c0a#s-4|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from=283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4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if external != "o"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uuid=f7bff662-0d78-4a0a-961d-ce045f6f9c0a|r283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uuid=f7bff662-0d78-4a0a-961d-ce045f6f9c0a#s-4|4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선?from=283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4.1. 타국

4.1.1. 북부 전선[2]

  • 자모시치, 헤움, 비아와포들라스카, 비아위스토크파일:폴란드 국기.svg: 이 지역들은 폴란드의 영토로 직접적으로 함락될 가능성은 없으나, 벨라루스가 참전할 경우 최전방 보급도시라는 목표가 되어 선제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 수바우키파일:폴란드 국기.svg: 교통의 요지인 수왈키 회랑이 위치한 곳으로, 만약 확전이 된다면 나토와 러시아군간의 기갑전력이 대규모 충돌 및 대규모 공지전, 전차전을 벌일 곳이다.[수바우키]
  • 루블린파일:폴란드 국기.svg: 동부 폴란드에서 수도인 바르샤바를 제외하면 가장 큰 도시로, 함락되면 바르샤바로의 진격을 허용하게 된다.[NATO]
  • 그단스크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의 항구도시이자, 폴란드 해군의 모항이 위치한 곳으로 칼리닌그라드의 병력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5]
  • 제슈프파일:폴란드 국기.svg: 우크라이나의 서부인 리비우까지 육로로 연결된 도시이며 군용 공항까지 있는 NATO군의 후방 보급기지 역할의 도시. 7월부터 바그너 그룹이 이 지역을 선제타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어 폴란드 국경의 경계태세가 강화되었다.
  • 바르샤바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의 수도. 만약 위에서 언급한 도시들이 전부 함락된다면 NATO군의 1차 방어선이 사실상 함몰되었다는 의미가 되며 이곳마저 함락되면 폴란드는 우치포즈난으로 수도를 이전하여 싸워야 한다.[NATO] 다만 바르샤바는 비스와강을 끼고 있어서 도시 전체를 점령하려면 도하장비가 필요한 것은 물론이고 방공망도 강력하기에 키이우 이상으로 가장 격렬한 전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 크라쿠프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남부의 최대도시. 이곳이 함락되면 러시아군이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남하하는 길이 열리게 된다.
  • 탈린, 리가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의 수도. 리투아니아에 비하면 이 두나라는 전력이 좋지 못하고 러시아 본토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나토군에게 시간을 벌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 카우나스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제 2의 도시이자, 리투아니아의 옛 수도이다.
  • 빌뉴스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의 수도. 이곳이 함락되면 발트 3국 전체는 멸망할 가능성이 높다.
  • 브레스트, 흐로드나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폴란드와 연결된 벨라루스의 영토로, 현재 대규모의 러시아군과 바그너 그룹 용병들이 배치된 정황이 있다. 만약 확전이 된다면 이 지역 역시 최전방이 된다.
  • 칼리닌그라드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의 월경지이자 군사도시로, 만약 폴란드나 리투아니아가 참전할 경우 이 지역의 러시아군이 배후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 대신 폴란드가 이 지역을 점령할 경우 발트 함대는 소멸하게 된다.
  • 코펜하겐파일:덴마크 국기.svg:미국이 그린란드를 노리면서 러시아가 직접적으로 도울 경우 점령할 수 도 있는 도시, 이 곳이 함락되면 덴마크의 멸망은 물론이거니와 벨기에(특히, EU 본부가 있는 브뤼셀)가 직접적인 위협을 받게 된다.
  • 브로츠와프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남서부의 최대도시, 이곳이 뚫린다면 체코의 두 대도시인 프라하와 브르노가 위험해진다.
  • 슈체친파일:폴란드 국기.svg: 독일과 근접한 폴란드 서부의 국경도시, 이곳마저 뚫린다면 폴란드는 멸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러시아군이 베를린으로 진격할 길이 열린다.
  • 비드고슈치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의 동부와 서부를 잇는 중부지역의 도시.
  • 프라하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의 수도, 이곳이 밀린다면 밑에서 언급할 플젠으로 수도를 이전할 가능성이 높다.
  • 브르노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동부에 위치한 체코의 제2의 도시. 다만 폴란드를 거치지 않고 이곳으로 진입하려면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를 점령해야 한다.
  • 플젠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서부에 위치한 체코의 제3의 도시. 이곳마저 넘어가면 체코는 멸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 드레스덴파일:독일 국기.svg: 구 동독 지역의 제2의 도시이자, 드레스덴 폭격이 있었던 곳. 드레스덴이 함락되면 북측의 베를린이 큰 위협을 받는다.
  • 라이프치히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재통일의 방아쇠를 당긴 도시이자 구 동독 주둔 소련군이 풀다 회랑으로 가기 이전의 보급선을 담당했던 곳이다. 이곳이 함락될 경우 나토는 에어푸르트에서 러시아군을 저지해야 구 서독 지역으로의 남하를 막을 수 있다.
  • 베를린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의 수도이자 사실상 러시아군 입장에서 북부전선의 체크포인트.. 이곳이 함락된다면 NATO/EU 진영은 구 냉전 시절의 판도로 돌아가게 된다.
  • 뮌헨 파일:독일 국기.svg:
  • 뉘른베르크 파일:독일 국기.svg:
  • 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 프랑크푸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 쾰른 파일:독일 국기.svg:
  • 도르트문트 파일:독일 국기.svg:
  • 탐페레 파일:핀란드 국기.svg:
  • 투르쿠 파일:핀란드 국기.svg:
  • 헬싱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예테보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톡홀름 파일:스웨덴 국기.svg:
  • 순스발 파일:스웨덴 국기.svg:
  • 헬싱보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4.1.2. 남부 전선[7]

  • 수체아바, 바이아 마레, 사투 마레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의 북부 영토로, 이 지역들은 우크라이나 남서부와 연결되어 있어 역시 후방 보급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체르니우치와 자카르파탸가 함락되거나, 몰도바가 멸망하지 않는 이상 이 지역들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NATO] 예외로 사투 마레는 만에 하나 헝가리군이 러시아측으로 단독 참전할 경우 위험해질 수 있다.
  • 티미쇼아라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헝가리계 루마니아인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차우셰스쿠를 몰락시킨 루마니아 혁명의 시발점이 된 루마니아의 제3의 도시. 루마니아와 헝가리가 충돌한다면 헝가리의 1차 목표인 트란실바니아 합병을 위한 첫 관문이 된다.
  • 클루지나포카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령 트란실바니아의 최대도시. 이곳이 함락되면 루마니아 중부 지역으로 가는 길이 뚫리게 된다.[NATO]
  • 시비우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의 동부와 서부를 이으며 카르파티아 산맥으로 넘어가는 중부 지역의 도시. 이곳이 함락되면 남부 전선의 브라쇼브가 위험해진다.[NATO]
  • 니레지하저, 마테설커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의 동부에 있는 대도시와 소도시로, 초프까지 1시간 정도 되는 거리에 있다.
  • 데브레첸, 세게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의 남동부에 있는 대도시들로, 티미쇼아라까지는 2~4시간 정도 되는 거리에 있다.
  • 소브란체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의 소도시로, 이곳은 우주호로드 방면의 보급선 역할을 맡고 있다.[11]
  • 몰도바, 루마니아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키시너우: 몰도바의 수도로, 이곳이 함락되면 몰도바는 멸망하게 된다. 반면 러시아군은 이곳을 점령하면 루마니아의 북동부를 압박할 수 있게 된다.
    • 티라스폴: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수도. 이곳이 함락되면 몰도바 내 러시아군이 궤멸된다.
    • 툴체아, 갈라치, 브러일라: 이즈마일에서 가장 가까운 루마니아의 중소도시들. 이즈마일이 함락된다면 최전방이 된다.
    • 이아시: 루마니아 북동부 최전방에 위치한 도시이자 루마니아의 제2의 도시로 대한민국의 의정부에 비교할 수 있는 곳이다. 몰도바가 전쟁에 휘말린다면 이 지역에 배치된 루마니아군이 움직일 것이다.[NATO]
    • 브라쇼브: 루마니아 중부 지역의 제2의 도시, 이 지역이 함락되면 부쿠레슈티로 향하는 길이 열리게 된다.[NATO]
    • 콘스탄차: 루마니아의 최대 항구도시로 대한민국의 인천에 비교할 수 있는 지역이자 NATO군의 후방 보급물자 집적소가 있으며 루마니아 공군의 가장 큰 비행단이 주둔하고 있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곳은 함락될 가능성은 적으나, 몰도바가 멸망할 경우 이 지역은 포격에 노출되어 위험해질 가능성이 높다.
    • 플로이에슈티: 부쿠레슈티로 가는 마지막 관문이자 정유 산업이 발달한 도시, 브라쇼브에 비하면 도시 규모가 매우 작아 저항하기가 쉽지 않으나 나토군이 이곳을 내줄 경우 석유 공급처 한 곳이 사라지며 보급선이 꼬일 위험이 생긴다.[NATO]
    • 부쿠레슈티: 루마니아의 수도. 이곳이 함락당하면 루마니아는 멸망하게 되며,[NATO] 러시아군은 불가리아로 가는 루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아테네 파일:그리스 국기.svg
  • 라리사 파일:그리스 국기.svg
  • 테살로니키 파일:그리스 국기.svg
  • 자그레브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스플리트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류블랴나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 스코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 소피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플로디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바르나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토리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팔레르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라스페치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볼로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밀라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베네치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바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타란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페스카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나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남부의 최대도시, 이곳이 함락되면 이탈리아의 남부전선이 붕괴된다.
  • 로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 전면전

5.1. 전면전 가능성

현재 NATO와 러시아 모두 전면전을 피하려 하고 있으며, 경제적·정치적 부담과 국제 여론을 고려할 때 전면전 가능성은 높지 않다. 대신 제한적이거나 간접적인 충돌[16]이 더 현실적이다. 그러나 긴장이 지속되면서 우발적 사고나 오판에 의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5.2. 전면전 발생 가능 위험지역

전면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 지역은 동유럽 및 발트 3국, 흑해 3곳이다.
  • 발칸 반도 / 우크라이나 / 몰도바(남부 전선)
    우크라이나 전쟁은 현재 러시아와 NATO의 전략적인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부딪히는 지역이며 이곳에서 충돌이 확대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 NATO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과 군사 훈련을 통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맞설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러시아는 NATO의 이와 같은 행동을 러시아 영토와 주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강력히 비난하고 있다. 2024년에도 NATO는 러시아의 군사 행동에 대비하여 동유럽과 발트 국가에 추가 병력을 배치하거나 훈련을 강화하는 등 군사적 존재를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자국 국경 인근에서의 NATO 활동에 대해 군사적 준비태세를 높여왔다. 또한 친러 국가인 세르비아 역시 코소보와 크로아티아의 존재로 인해 러시아와의 끈을 놓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 구 유고연방에서 독립한 국가들 역시 완전히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며, 루마니아 역시 같은 민족의 몰도바가 트란스스트리니아와 가가우지아 때문에 위협받고 있어 유사시 개입을 위해 최근 들어서 친서방 노선을 강화하고 있다.
  • 발트 3국 / 폴란드(북부 전선)
    발트 3국은 NATO 회원국으로서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가장 민감한 지역 중 하나이며, 이 지역에 있는 수바우키 회랑은 양측 모두에게 전술적/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러시아는 NATO가 발트해에서 병력을 증강하는 것을 자국에 대한 도발로 간주하며, 이 지역에 군사력을 배치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발트 3국 인근에 방공 시스템과 전술 부대를 배치하여 견제 수단을 강화하고 있다. NATO, 특히 이중에서 폴란드는 러시아가 발트 국가를 침공할 경우 집단 방위 조약에 따라 발트 3국을 방어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주기적인 훈련 및 지속적인 방산업의 투자를 통해 러시아에 대한 억제력을 유지하고 있다.
  • 흑해 / 북극해
    흑해와 북극해는 러시아와 NATO가 해상과 공중에서 자주 맞닥뜨리는 지역으로, 여기서 양국 해군이나 공군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과 NATO 회원국들은 흑해에서 자유 항행 작전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견제를 이어가고 있다. 러시아는 이를 자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흑해에 해상 및 방공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 지역을 자국의 전략적 요충지로 보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의 우발적 충돌이 확대될 수 있다.

5.3. 전면전 시나리오

현재도 나토군과 러시아군은 우발적으로 그리고 국지적으로 충돌하고 있다. 2014년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점령한 후 NATO는 발트3국과 폴란드에 병력을 증강하였고 한동안 러시아군과 대치하며 긴장감을 조성하였다. 2021년에는 흑해에서 벌어진 영국 구축함 HMS 디펜더와 러시아 해군의 충돌 상황이 있다. 당시 러시아는 흑해에서 작전 중이던 영국 함정을 공격할 것이라 경고하며 공중 경고 사격을 하여 양측 간 갈등이 크게 고조되었다.

또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리투아니아는 EU 제재의 일환으로 러시아 본토와 칼리닌그라드를 연결하는 물류 이동에 대한 제한 조치를 가했다.[17] 이 조치는 주로 제재 대상인 제품(철강, 건축 자재 등)에 국한됐으나, 러시아는 이에 반발하며 리투아니아의 행동을 공격적으로 간주하고 갈등이 발생했다. 러시아는 이를 강하게 비난하였고 리투아니아 국경 부근에서 벨라루스군과 합동 군사 훈련을 하는 등 보복 조치를 예고하였다. 갈등이 커지자 EU와 리투아니아는 추가 협의를 통해 제재 대상 품목만 철저히 통제하고, 그 외의 화물 운송은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황을 진정시켰다.

이러한 국지전에서 어느 한 쪽이 물러서지 않고 우발적 충돌을 키우면 양측 군사 간의 긴장감이 극에 달하며 대규모 군사적 대응이 오갈 가능성이 커진다.

NATO와 러시아 간의 긴장이 임계점을 넘어서게 되면, 교전이 점차 확대될 수 있다. 발트 3국이나 흑해에서 일어난 작은 충돌이 확대되어 상호 공중 및 해상 작전이 전개되고 전면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러시아는 나토의 군사 거점에 대한 미사일 공격을 시작하고, 이에 NATO도 공중폭격과 함께 러시아 영토 내에 장거리 드론 및 미사일 공격으로 맞대응할 수 있다.

충돌이 장기화되고 양측의 피해가 극심해지면, 결국 국제사회의 압력과 자국 내 여론에 의해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 테이블이 마련될 가능성이 크다. 서로가 막대한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빠른 회복과 경제적 복구를 위해 국제 사회의 중재와 휴전 협상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5.4. 전면전 이후 피해 규모 예상

  • 군사적 피해
    전투가 장기화되면 수십만 명의 군인 사상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초기에 치열한 전투와 공중·해상 충돌로 인해 사상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민간 피해
    양측의 군사적 충돌이 민간 지역으로 확산될 경우 대규모 인명 피해와 난민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특히 발트 3국과 동유럽 민간인들에게 큰 피해가 예상된다.
  • 경제적 피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매우 클 것이다. 에너지 가격 급등, 공급망 붕괴, 유럽 지역의 전쟁 후유증 등으로 인해 장기적인 경제적 불황과 글로벌 금융 불안이 예상된다.

5.5. 전면전 이후 핵무기를 사용하는 극단적인 시나리오

파일:NATO_Russia_USA.gif

이 시나리오는 냉전 시기 '상호 확증 파괴(MAD,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이론이 현실화된 극단적 전쟁 상황을 가정한 시나리오로, 양측이 한 번 물러설 경우 치명적인 패배를 피할 수 없다고 여기는 상황에서 벌어질 수 있다.

양 측이 상대의 주요 도시와 군사 거점을 향해 전략적 핵미사일을 발사하기 시작한다. 러시아는 미국과 서유럽의 주요 도시를 타겟으로 삼고, NATO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같은 러시아의 중심 도시들을 겨냥한다.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 일부 공격을 막아내지만, 러시아의 엄청난 양의 핵 미사일 규모와 속도에 완벽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러시아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 역시 NATO의 핵 미사일들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모스크바를 비롯한 러시아 내 주요 도시가 파괴될 것이다. 결국, 양측의 주요 도시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으며, 전쟁으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파괴가 초래될 것이다.

전쟁이 끝난 이후 세계 질서는 큰 변화를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 핵전쟁으로 인해 주요 국가들이 붕괴하거나 사회적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있으며, 국제 사회의 구조와 권력 균형에도 중대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6. 결론

NATO와 러시아가 전면전을 벌일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전면전 발생 시 핵전쟁으로 확대될 위험이 매우 높다. 이는 양측 모두 파멸을 의미하기 때문에 나토는 사태를 확산시키기보다는 국지적 수준에서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다. 한 국가의 행동이 전체 동맹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나토는 각 회원국의 안보가 위협받지 않는 선에서 우발적 행동과 과도한 도발을 통제하려고 노력한다.

러시아 역시 전면전이 벌어지면 막대한 군사적 자원과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경제 제재와 국제적 고립은 러시아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러시아도 제한적인 수준에서 갈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러시아는 나토와의 국지적 갈등[18]을 통해 정치적, 외교적 목표[19]를 달성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지만, 국지전을 넘어서 전면전이 일어나버리면 러시아의 의도와는 다르게 러시아의 국제적 입지를 크게 약화시킬 수 있다. 전면전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은 대중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정치적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러시아도 전면전을 피하고자 한다.

미래에 나토군이 '러시아의 핵무기를 완전히 무력화할 수 있는 방어체계'를 완성하더라도 여전히 나토군은 러시아를 침공하기 어렵다. 러시아는 거대한 영토와 라스푸티차와 같은 험난한 지형 그리고 첨단 방어 체계와 잘 훈련된 군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나토군이 러시아 영토 내에서 효율적으로 침공 작전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나토는 본래 방어 동맹으로 설립되었으며, 외부 공격에 대한 집단 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다. 때문에 나토가 러시아에 대한 선제 침공을 결정할 경우, 이는 나토의 설립 취지와 역할을 벗어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나토가 공격적으로 행동할 경우, 전 세계적으로 나토의 방어적 성격에 대한 의심이 생길 수 있으며, 국제사회는 이를 나토가 군사적 패권을 확장하려는 시도로 해석할 가능성이 크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지정학적,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대국으로, 그 체제가 무너지면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동북아시아 등지에 엄청난 불안정이 초래될 수 있다. 러시아가 붕괴하거나 혼란에 빠지면 테러, 불법 무기 확산, 난민 문제 등 다양한 지정학적 불안 요소가 세계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 국제사회는 이런 대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나토의 러시아 침공을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 나토의 러시아 침공은 국제 여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인 비난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나토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나토는 침공을 결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러시아 역시 미래에 '나토군의 핵무기를 완전히 무력화할 수 있는 방어시스템'이 구축되더라도 유럽과 미국을 침공할 수 없다. 러시아가 유럽을 침공할 경우 다수의 나토 회원국이 방어에 나설 것이다. 뿐만 아니라 비나토 동맹국까지 참전하게 되면 전력 차가 심하게 벌어져 러시아가 쉽게 침공할 수 없는 구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 쪽의 지도부가 이성적인 판단을 하지 못해 국지전을 키우고 전면전이 발생한다면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에 버금가는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며 양 측 모두 심각한 손실을 입을 것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를 가정한 것이며, 양 측이 핵무기를 사용할 경우 그 규모는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을 훨씬 능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는 단순히 전쟁의 폭발력과 사망자 수뿐만 아니라, 기후, 생태계, 사회적 구조 등 모든 면에서 인류와 지구 전체에 심각하고 장기적인 피해를 남길 것이다.

7. 대중 매체

대중 매체에서는 톰 클랜시의 엔드워[20], 월드 워 3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그리고 AVA 등이 이 시나리오를 다루고 있는 매체이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369a3, #000 40%, #000 60%, #e63a1a)"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냉전 탈냉전
주요 사건
발생시점 순, 세부 진행사항은 각 문서 참조
2008~ 2017 남오세티야 전쟁 · 대침체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연평도 포격전 · 제1차 리비아 내전 · 시리아 내전 · 2012년 가자 전쟁 ·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 · 북한의 3차 핵실험 · 유로마이단 혁명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 2014년 크림 위기 · 돈바스 전쟁 · 2014년 가자 전쟁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북한의 4차 핵실험 · 북한의 5차 핵실험 · 북한의 6차 핵실험
2018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 · 미국-중국 무역 전쟁(화웨이 규제명령)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 아르테미스 계획
2019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홍콩 보안법 논란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영국 정부의 대응)
2020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라이언에어 4978편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미수 사태 · 2020년 벨라루스 시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2021 미얀마 내전 · 2021년 가자 전쟁 · 2021년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2022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USS 칼 빈슨함 F-35C 추락 사고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세르비아-코소보 분쟁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2022년 이란 시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2년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발각(국내 사례)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3 중국 정찰풍선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 ·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 2023년 수단 내전 · 2023년 니제르 위기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4년 예멘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헤즈볼라 전쟁)
2024 서방권의 로비투 회랑 건설 수주 · 한국-쿠바 수교 · 알렉세이 나발니 사망 사건 ·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정보사령부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2024년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다마스쿠스 함락)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2025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 2025년 세계 무역 전쟁(미국-중국 무역 전쟁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 미국-우크라이나 광물 협정 · 한국-시리아 수교
국제 기구
·
제1세계 EU · Quad · 파이브 아이즈 · AUKUS · CANZUK · CHIP4 · IPEF · MSMT · TIAR · GUAM
제2세계 독립국가연합(СНГ|CIS) · 집단안보조약기구(ОДКБ|CSTO) · 유라시아경제연합(ЕАС|EAEU)
군사 대결 구도
NATO군 vs 러시아군 · Quad vs 중국군 ·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 · 사우디군 vs 이란군 · 예멘군 vs 후티 반군 · 이스라엘군 vs 팔레스타인군 · 세르비아군 vs 코소보군 · 조지아군 vs 압하지야군 & 남오세티야군 · 몰도바군 vs 트란스니스트리아군
관련 틀
틀:2020년대 이스라엘-시아파 갈등 · 틀: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틀:2020년대 사헬 쿠데타 · 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인 디아스포라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 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러시아 연방보안국 · 러시아 연방경호국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2e3d90><colcolor=#fff> 문서 <colcolor=#000,#fff>북대서양 조약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 · NATO 표준화 사무소 · 표준화 협정
군사 NATO군(NATO군/계급 · NATO군/편제) · NATO 보고명 · NATO 합동 군사 기호 · NATO 공용 3색 · NATO군 vs 러시아군 · NATO 표준 음성 기호 · ESSI
사건사고 냉전 · 유고슬라비아 전쟁 · 신냉전 }}}}}}}}}}}}



[1] 그래도 헝가리는 야당 당수인 피터 마자르의 당이 최근 피데스의 지지율을 앞질렀고, 슬로바키아 역시 현 여당이 연정 상태에서 다소 불안정하게 집권한 면이 있어 변화를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은 아니었으나, 2025년에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 역시 친러 국가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상황이 심각해졌다.[2] 폴란드-독일-스칸디나비아 방면 라인[수바우키] 수바우키 공격은 리투아니아 역시 위협에 처하는 상황이 되기에 이 곳이 타격당하면 나토 5조가 발동하게 된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5] 독일 입장에서도 이 지역은 중요한데, 그단스크가 러시아군에게 함락된다면 코자친-슈제친으로 가는 E28 고속도로를 통해 러시아 선전가들이 그렇게 재점령을 외치고 있는 독일의 수도인 베를린으로 갈 수 있는 루트가 열리기에 비상이 걸리게 된다. 또한 2차 세계대전의 단초 역시 단치히 폴란드 우체국 방어전에서 시작되었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7] 루마니아-그리스-터키 라인[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11] 슬로바키아가 현재 우크라이나에 호의적인 입장은 아니긴 하나 민간 차원에서는 우크라이나를 계속 돕고 있기에 그래도 중요하지 않은 지역은 아니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NATO] 다만 이 지역들까지 직접적인 위협에 처할 정도라면 우크라이나는 멸망하고 나토 5조가 발동하고 있을 시점일 것이다.[16]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 같은 지역에서의 대리전 양상[17] 월경지인 칼리니그란드에서 러시아 본토로 가려면 반드시 리투아니아를 거쳐야 한다. 이 루트가 막히면 러시아는 발트해에서의 영향력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칼리닌그라드, 리투아니아, 폴란드, 벨라루스 국경에 있는 수바우키 회랑은 늘 군사적 긴장이 존재하는 대표적인 화약고 중에 하나이다.[18] 2014년 크림반도 합병,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시리아 내전 개입 등[19] 조지아에 무기를 판매하는 이스라엘에 무기판매중단을 요구했지만 이스라엘이 듣지 않자 하마스에 러시아의 최신 무기들을 공급하였다. 결국 이스라엘은 조지아에 무기판매중단을 선언하였다. 그 외 시리아 내전에서 시리아 반군을 돕는 서방국가들에 맞서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과의 싸움'이라는 명목하에 정부군을 지원하였다. 이는 시리아에 있는 러시아의 타르투스 해군기지를 지켜 지중해 패권을 지키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중동 문제 해결에 있어 서방의 입맛대로 주도했던 중동 내 정치적 질서를 다변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물론 이는 우크라이나전에 집중하는라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이어져 아사드 정권이 붕괴해버렸고, 러시아군은 이후 협상으로 타르투스 항이라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철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20] 온라인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