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1:18:53

그리스/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그리스
남유럽경제
이베리아 반도
[[스페인/경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포르투갈/경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안도라/경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이탈리아 반도
[[이탈리아/경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산마리노/경제|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바티칸/경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몰타/경제|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그리스 · 튀르키예 · 키프로스
[[그리스/경제|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튀르키예/경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키프로스/경제|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북키프로스#경제|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발칸 반도
[[불가리아/경제|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세르비아/경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알바니아/경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코소보/경제|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크로아티아/경제|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경제|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슬로베니아/경제|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경제|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몬테네그로/경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루마니아/경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d5eaf>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올리브
역사역사 전반 · 미노스 문명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제국 · 동로마 제국 · 파나리오테스 · 그리스 독립 전쟁 · 그리스 제1공화국 · 그리스 왕국 · 그리스 내전 · 그리스-오스만 전쟁· 그리스 제2공화국 · 그리스 군사정권
지리행정구역 · 펠로폰네소스 반도 · 할키디키 반도 · 이오니아 해 · 에게 해 · 도데카니사 제도 · 레스보스 섬 · 크레타 · 키클라데스 제도 (산토리니) · 에우보이아 · 코르푸 · 히오스 섬 · 델로스 섬 · 트라키아 · 올림포스 산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그리스 대통령 · 그리스 총리 · 그리스 의회
외교외교 전반 · 유럽연합(탈퇴 논쟁) · 여권
경제경제 전반 · 그리스 드라크마(폐지) · 유로
국방그리스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교통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 · 에게안 항공 · 아테네 지하철 · 코린토스 운하
문화문화 전반 · 그리스 로마 신화 · 그리스 교회 · 영화 · 그리스 요리 ·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어 (고전 그리스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렘베티카 · 세계유산 · 관광 · 필헬레니즘
사회그리스 마피아
민족그리스인 · 흑해 그리스인 · 우룸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 그리스계 미국인 · 그리스계 캐나다인 · 그리스계 호주인 · 그리스계 멕시코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칠레인 · 그리스계 영국인 · 그리스계 독일인 · 그리스계 프랑스인 · 그리스계 튀르키예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7px-Greece_economy_collage.png
그리스의 주력 산업들. 위에서부터 농업, 해운업, 관광업.
파일:external/www.kibbutz.or.kr/athen.jpg
그리스의 수도아테네.
그리스의 경제 정보[1]
인구 10,341,227명[2] 2023년
경제 규모(명목 GDP) 2,424억 달러(약 315조 원) 2023년
경제 규모(PPP) 4,170억 달러(약 537조 원) 2023년
1인당 명목 GDP 23,173 달러 2023년
1인당 PPP 39,864 달러 2023년
경제성장률 2.4% 2023년 예측 #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160.2% 2023년[3], 세계 4위[4]
고용률 61.8% 2023년, OECD 35위 #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Ba1 2023년, 11등급 #
피치 국가 신용등급 BBB- 2023년, 10등급 #
S&P 국가 신용등급 BBB- 2023년, 10등급 #
1. 개요2. 무역 구조3. 산업 구조4. 그리스 디폴트흑역사: 유럽에서 디폴트로 유명한 나라
4.1. 디폴트의 역사
5. 그리스 경제위기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요약하자면 포르투갈과 함께 선진국의 최소로 꼽히는 국가이다.[5] 다만 90년대부터 전통적인 '선진국의 최소'였던 포르투갈과 정반대로 그리스는 원래는 선진국 중위권이었지만 경제위기로 2010년대에 '선진국의 최소'로 추락한 케이스다. 2024년 기준 1인당 GDP는 23,966달러로 세계 평균(13,840달러)의 2배는 넘기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리스1949년그리스 내전이 끝난 뒤부터 상당한 경제성장을 기록했다. 무려 일본 다음의 경제성장률로[6] 세계 2위권이었으며 30년 동안 성장세가 지속되었다. 그리스의 1인당 GDP는 1960년 세계은행 통계 기준으로 520달러[7]였으나 1979년에는 10배 이상 오른[8] 약 5706달러를 기록하기에 이른다. 이미 1973년에는 1인당 GDP가 2502달러를 기록, 1인당 GDP가 세계 평균의 2배를 넘긴 데다가 1974년 민주화까지 성사되며 선진국 진입에 성공했고,[9][10] 1981년부터 그리스는 자국 경제를 유럽연합에 통합시켰다. 현재 주력 산업은 농업, 관광업 등이다.

사실 80년대 그리스도 경제위기를 겪은 바가 있다. 정치인들이 포퓰리즘 정책을 추구하면서 그리스는 평균적으로 EC 평균의 3배에 달하는 19%의 높은 인플레이션에 시달렸고, 1981~1983년에는 -1%대의 마이너스 성장에 시달리기도 했으며, 80년대 후반 그리스는 안정화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인플레이션을 1985년 25%에서 1987년 16%로 줄이긴 했으나, 1991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이 체결되었을 때 그리스의 물가상승률은 19.8%[11] 정부 적자는 GDP 대비 11.5%[12]다. 그래도 그리스는 1990년대에 재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1999년에는 인플레이션과 예산 적자가 모두 3% 미만으로 떨어져 유로존 가입기준을 충족, 그리스는 유로존에 가입해 금융 호황을 누리다가 대침체로 야기된 그리스 경제위기로 추락하고 만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 2014년 한 해를 제외하면 무려 8년 동안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13][14]

2013년 그리스는 무디스 '국가신용등급'에서 'C'를 받았는데 이건 가장 낮은 21등급으로 국가파산 사태를 의미한다. 2~3년이 지난 2014년에 와서 남유럽 국가들의 거시 지표가 그럭저럭 괜찮아지는 등 남유럽 위기는 한풀 꺾였다. 그러나 그리스는 2015년 들어 다시 디폴트 위기론이 떠오르는 중. 말 그대로 답이 없다. 6월 5일까지 만기인데, 국고가 바닥나서 할 수 있는 게 없다.

그리고 결국 2015년 6월 30일, 디폴트를 선언했다.

그리스는 1인당 GDP에서는 1948년(대한민국 정부 수립)부터 2011년까지 대한민국에 추월당한 적이 없었다. 1996년에 13,777$ : 13,137$로 640달러까지 격차가 좁혀진 적은 있었지만 외환 위기와 함께 다시 격차가 벌어져 2011년까지는 그리스가 앞서 있었지만 2012년에 22,172$ : 24,359$로 한국에 추월당하고 말았다. 그리스 산업구조로는 성장에 있어서 한계가 명확하기에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지 않는 이상 한국을 다시 따라잡기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이 2017년에 달성한 1인당 GDP 약 31,000달러를 그리스는 그것보다 9년 전인 2008년에 달성했다는 걸 생각해보면 격세지감이다. 사실 당장 한국을 다시 따라잡는 것은 둘째치고 유럽연합에 가입한 발트 3국이나 체코, 슬로바키아 같은 구공산권 중부유럽 및 동유럽 후발 주자들한테도 차례로 역전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리스 경제위기 이후 그리스 나름대로 부채 비율을 낮추고 시장 친화적인 경제 정책을 도입하는 등 여러 노력을 했으며 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 2023년에는 이탈리아보다 지표상으로는 경제가 더 낫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많이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그리스의 경제 회복에는 연속성 있는 경제 정책을 펼치는 것이 필수여서 완전히 회복했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 그리스 정치인들의 정치적 역량에 따라 그리스 경제 위기를 반복하느냐 아니면 지금과 같은 회복세를 유지하느냐가 관건으로 보인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의 조사에서 2022년, 2023년 2년 연속으로 그리스가 경제성적 1위를 기록했다. "그리스 정부가 친시장 정책을 펼치면서 투자자들이 그리스 기업을 새롭게 바라보고 있다"고. #

2. 무역 구조

파일:2021년 그리스 수출 HS17_4 OEC.png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그리스의 수출구조.#
위 트리맵은 2021년 그리스 수출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그리스는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금속류(Metals), 기계류(Machines), 식품류(Foodstuffs), 의류·섬유류(Textiles), 농산물(Vegetable Products), 축·수산물(Animal Products),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농·축·수산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기타(Miscellaneous), 수송수단(Transportation), 계기류(Instruments), 종이류(Paper Goods), 석재·유리(Stone and Glass),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천연피혁류(Animal Hides), 귀금속류(Precious Metals),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무기류(Weapons),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순으로 많이 수출했다. 그리스는 2021년 673억 달러를 수출했다.
파일:2021년 그리스 수입 HS17_4 OEC.png
OEC에 따른 2021년 그리스의 수입구조.#
위 트리맵은 2021년 그리스 수입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그리스는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기계류(Machines),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금속류(Metals), 수송수단(Transportation), 의류·섬유류(Textiles),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식품류(Foodstuffs), 축·수산물(Animal Products), 농산물(Vegetable Products), 기타(Miscellaneous), 계기류(Instruments), 종이류(Paper Goods),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석재·유리(Stone and Glass),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농·축·수산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천연피혁류(Animal Hides), 귀금속류(Precious Metals),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무기류(Weapons) 순으로 많이 수입했다. 그리스는 2021년 1,250억 달러를 수입했다.
OEC에 따르면 2021년 그리스는 673억 달러를 수출하고 1,250억 달러를 수입, 577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수출한 것은 광물제품류, 화학제품류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출의 59.0%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수입한 것은 광물제품류, 기계류, 화학제품류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입의 54.4%를 차지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독일, 중국, 이탈리아, 이라크, 네덜란드, 튀르키예, 프랑스, 불가리아이다.

3. 산업 구조

대부분의 선진국이 제조업, 특히 언제든 수요가 보장되는[15] 고부가가치 제조업에 의존하는 것과 달리 그리스는 농업, 어업 등 1차산업과 관광 같은 3차산업으로 양극화되어 있다. 게다가 1차산업을 중시하는 선진국 대부분이 어느 정도는 파생성 2차산업[16]을 유지하는 것과 달리 그리스는 그런 것조차 거의 없다시피하다. 관광은 유망한 산업[17]이지만 관광업에 국가 경제를 의존한다면 국가 경제가 경기의 영향을 너무 심하게 타며 관광업만으론 한계가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지구촌의 왕래가 마비된 것을 생각해보자. 이런 상태에서 관광업에 의존하던 국가는 정말 눈앞이 깜깜한 것은 당연한 일. 이러한 점은 유럽경제위기 때마다 가장 굳건히 잘 버티는 독일이 제조업 강국이라는 사실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다.[18] 또한 관광업 말고도 해운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그 역시도 세계 해운 시장의 지속된 불황으로 상황이 좋지 못하다.

그리스는 여러가지 지표에 의해서 선진국으로 인정받는 국가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인구 중에서 1차산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11%, 2차산업은 15%, 3차산업은 73%이다.[19][20]

만성화된 탈세, 유로존의 문제, 복지 포퓰리즘 등 다양한 문제가 논의되지만, 가장 심각한 문제는 바로 1차, 3차 산업에만 집중된 산업구조라고 할 수 있다. 산업구조만 따지면 선진국이라 보기도 의문스러운 수준이다. 다만 다른 제3세계 국가들과 달리 국민들의 교육 수준이나 사회 시스템은 어느 정도 건재하기에 정신차리고 재산업화에 나서면 재기할 가능성도 다분하다.

에너지 부문은 대부분 화석연료를 쓰고 있으며, 섬에 해저송전선이 연결이 잘 안 되어있으므로 각 섬마다 디젤 발전기를 돌려서 비효율적으로 전기를 얻는다. 연료의 60%를 차지하는 원유와 천연가스는 수입을 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그리스 국내에서 충당하는 에너지는 갈탄[21]과 재생에너지를 쓰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중에는 태양광 발전풍력 발전을 주로 하고 운영이나 건설예정인 원자력 발전소는 아직까지 하나도 없다. 오히려 유럽연합의 계획에 맞추고 에너지 자급률도 높일 겸 재생에너지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중국인의 투자도 경제 일부분으로 담당하기 시작했다.#

4. 그리스 디폴트흑역사: 유럽에서 디폴트로 유명한 나라

2011년 들어서 그리스 디폴트 위기론이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르기 시작하더니 2015년 들어서는 결국 답이 없는 상태에 이르렀고, 시리자 정부 들어서 국민 투표를 거친 끝에 결국 2015년 6월 30일, 디폴트를 선언하고 말았다.

그러나 사실 최소한 그리스라는 나라의 역사에서 디폴트라는 건 그다지 이상한 일만도 아니었다. 이 나라는 독립 이래 200년 역사 중 거의 절반에 가까운 100년 정도를 디폴트 상태로 보낸 바 있으며, 2015년 기준으로 그건 현재진행형이고, 디폴트 선언 횟수는 한두 번도 아니고 무려 6회에 이른다.[22]

물론 디폴트 선언 자체는 그리스 외의 다른 여러 나라들도 행한 바 있고, 유럽에서도 러시아 같은 나라들부터 해서 명실상부한 선진국독일 같은 나라들 또한 하기는 했다. 그럼에도 그리스가 눈에 띄는 건 역시 그 독보적인 횟수와 100년에 이르는 유구한 역사 때문이다. 다시 말하지만, 이 나라는 독립 이후의 역사가 200년이다. 독일이든 러시아든 분명 디폴트를 선언한 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그리스만큼 배를 째지는 않았다.[23]

유럽 국가 중에서 그리스보다 더 많이 디폴트를 선언한 나라는 오스트리아이고, 그리스만큼 선언한 나라는 스페인이며, 이들은 각각 7번, 6번 선언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에서 디폴트는 4, 50년대 이후로 완전 남의 일이 되었고, 스페인은 훨씬 더 깨끗해서, 1880년대 접어들면서부터 디폴트 문제에서는 깨끗해졌다. 사실 오스트리아나 스페인의 경우 연도에서 보이듯이 거대 왕조 국가들이 초기 자본주의와 접하면서 흔하게 발생하는 방만한 재정 운영이나, 과다한 전비 지출 같은 역사 속의 경우라 당장 현재진행형인 그리스와는 번지수가 아예 다르다.[24]

그리스와 사정이 비슷한 포르투갈도 4번이나 디폴트를 선언했지만 포르투갈도 1900년대 이후로는 디폴트를 선언한 적이 단 1번도 없다.[25] 이렇듯 이 나라들이 디폴트와 관련해서는 완전히 손을 씻고 남의 일을 만들어 놓은 반면에 그리스는 딱히 그런 거 없고, 그 뒤로도 21세기 2015년에 이르기까지 200년 역사에 걸쳐, 짧게는 2, 30년, 길게는 4, 50년 정도 주기로 잊을 만 하면 다시 상습적으로 그랬다는 점에서, 유럽 기준으로든 세계 기준으로든 그 횟수와 지속성을 종합했을 때 분명 독보적인 게 사실이다.

뭐, 세상은 넓고 막장은 많은 만큼[26] 전 세계를 통틀어서 볼 경우 그리스보다 훨씬 더한 나라들도 존재하기는 한다. 디폴트 선언 횟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따져 보면 그리스 위로 대략 열 몇 개 정도의 나라가 존재하는데, 문제는 이들이 거의 모두 중남미 국가들이라는 것이다.[27][28] 이 중 중남미가 아닌 나라는 딱 두 나라인데, 하나는 위에서 언급한 오스트리아,[29] 그리고 튀르키예[30]. 그리스와 비슷하거나 그 비슷한 아래에는 러시아를 빼면 또다시 중남미, 그리고 아프리카의 국가들이 깔려 있다. 상기 내용의 출처.

즉, 그리스는 명색이 서구 선진국 소리 듣던 나라 치고 디폴트 부분에선 수준이 중남미 수준이었다는 것이며, 다시 말해 그리스의 방만한 재정 운영은 결코 최근의 일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서구에서도 오래 전부터 그리스에 대해서는 상습적으로 남의 돈 떼먹고 배째는 놈들이라는 식으로 인식이 영 좋지 못한 상태였고, 이 문제로 한때는 국제 금융 시장에서 아예 퇴출당한 적도 있었다.

4.1. 디폴트의 역사

첫 번째 디폴트는 1826년에 했다. 연구 결과에 따라서는 이것이 세계 최초채무불이행 선언이었다고도 하며, 이때가 바로 그리스 100년 채무불이행의 신화가 시작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참고로 그리스 독립은 1830년의 일인데, 즉, 그리스는 독립도 못한 상태에서 다른 나라들 상대로 채무불이행 선언을 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는 독립한 그 순간부터 디폴트 상태였다. 이때는 독립 전쟁 당시 빌린 돈을 못 갚은 것. 근데 그 돈도 제대로 군비에 들어간 게 아니다. 투자자, 증권 거래인과 같은 사람들이 중간에서 돈을 가로채댔고,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도 모자라 당파 간의 내전으로 나라 안팎이 온통 아수라장이었던지라 돈이 낭비되거나 관리가 안 되거나[31] 하는 경우 또한 많았으며, 그러한 와중에 남은 돈마저 사기꾼들한테 넘어가기도 했다. 이 돈 다 갚은 시기가 1878년이었다.

두 번째 디폴트는 1843년에 했다. 첫 번째 때 생긴 빚을 다 갚지도 못한 때였다. 이때는 경제 재건을 위해 1832년에 프랑스, 영국, 러시아 등 다른 여러 나라들한테서 빌린 돈을 못 갚은 것. 근데 이 돈도 하라는 경제 재건은 안 하고 군비에, 혹은 왕정부 유지하는 데에나 쓰는 등 방만하게 쓰였다. 이렇듯 하도 배를 째다 보니 신용도가 가버렸으며, 마침내 그리스는 국제 자본 시장에서 퇴출당하고 만다. 이 탓에 그리스는 나라에 필요한 자금을 오로지 중앙은행과 같은 국내 시장에서만 조달해야 했다. 하지만 빚이 남아 있다는 사실은 여전했고 이자도 꾸준히 불어나는 관계로 1860년에 세 번째 디폴트를 선언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1878년이 되어 기존 채무를 상환하니, 그제야 비로소 국제 시장에서도 다시 돈을 빌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제 버릇 남 못 준다고 여기저기 손 벌려대다가 다시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더니 네 번째 디폴트는 1893년에 했다. 이렇게 되자 분노한 외국 채권자들이 난리를 쳤고, 이에 그리스는 울며 겨자 먹기로 따름으로써 1898년, '그리스 채무 관리 국제 위원회'가 설립된다는 또 하나의 개망신을 당하게 된다. 이 위원회의 일은 그리스의 경제 정책 감시, 세금 징수 및 운용 관리 등이었다.

다섯 번째 디폴트는 1932년에 했다. 뭐 이때는 대공황이라 다들 막장이었으니, 그리스가 디폴트를 선언한 게 이해가 안 되는 일은 아니다. 빚 다 갚은 건 1964년의 일. 그래도 이 때부터라도 정신을 차리고 경제, 신용정책을 정상적으로 운영했다면 다른 국가들처럼 디폴트로부터 완전히 손을 씻고 경제적으로 정상적인 신용을 가진 국가가 될 수 있었을 것이고 그리스의 경제에 대해서 이렇게까지 부정적으로 서술되지도 않았을 것이다.

여섯 번째 디폴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인 2011년경부터 말들이 많아지면서 흉한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결국 또 2015년에 했다.[32] 찬반 투표에서 반대표 찍은 어떤 그리스 시민이 말하기를, "찬성은 천천히 죽는 것, 반대는 빨리 죽는 것."이라고 했다. 사실 유로존이 계속 보호해 줄 거라 믿는 얼간이는 그리스 내에도 별로 없었고 대부분은 어차피 산다는 보장도 없는데 빨리 죽자는 입장이었다. 즉 이러나 저러나 죽기는 마찬가지라는 절망 속에서 치러진 투표였다는 것. 매우 안타까운 일이기는 하지만, 일이 그렇게까지 된 데에는 그리스의 책임이 상당 부분 들어간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5. 그리스 경제위기

6. 관련 문서


[1] http://en.wikipedia.org/wiki/Greece[2] https://www.macrotrends.net/countries/GRC/greece/population[3]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GGXWDG_NGDP@WEO/OEMDC/ADVEC/WEOWORLD[4] 세계 1위는 일본이다. GDP 대비 200%가 넘는다.[5] 그리스 경제위기 이전인 2000년대에는 대한민국이 포르투갈과 함께 선진국의 최소에 속했다.[6] 1950~1973년 연평균 7%였다.[7] 세계 평균(459$)은 물론 세계 평균보다도 낮던 스페인, 포르투갈보다 높기는 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529$)보다도 낮았고, 튀르키예(508$)와 비교해도 그렇게까지 높지는 않았다.[8] 당시 대한민국싱가포르, 일본의 경제성장이 비상식적인 수준이라 그렇지, 그리스도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을 이룩한 것은 사실이다.[9] 다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세계은행이 선정한 고소득 국가 진입은 한국, 포르투갈 같은 후발주자들(당시 기준으로 그리스보다 1인당 GDP가 확연히 낮았다)보다도 늦은 1996년에 했다. 사실 후술할 80년대의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1983~1987년 그리스의 1인당 GDP는 세계 평균의 2배 밑으로 떨어진 적이 있다.[10] 참고로 1974년 경제성자률은 그리스 경제위기 이전 최저치인 -6.4%였다.[11] 당시 EU 평균은 4.07%였다.[12] 당시 EU 평균은 3.64%였다.[13] 2008년: -0.3%, 2009년: -4.3%, 2010년: -5.5%, 2011년: -10.1%, 2012년: -7.1%, 2013년: -2.5%, 2014년: 0.5%, 2015년: -0.2%, 2016년: -0.5%[14] 심지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그리스 경제는 6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는데, 어느 정도로 심각한 거냐면 전란 하나 없이 취약국가지수소말리아 버금갈 지경으로까지 추락한 2000년대 짐바브웨가 7년 연속(2002~2008) 마이너스 성장했으며, 과거 디폴트에 이르렀던 시절의 아르헨티나가 4년 연속(1999~2002) 마이너스 성장했다.[15] 포스트 아포칼립스 같은 사태가 벌어지지 않는 이상 스마트폰이나 TV나 자동차 같은 소비재는 어지간해서는 팔리고, 그 수요층도 극빈국 국민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 모두에 해당된다. 한국이 수출 위주 경제인데도 의외로 선전하는 것은 이런 부분을 공략한 것이 크다. 단 OEM 위주로 가면 중국에 밀리게 되기에 고급화가 요구되고 있다.[16] 예를 들어 올리브를 생산할 경우 이를 가공하는 산업. 다시 말해 올리브유나, 올리브 통조림 등의 가공 식품업.[17] 참조 1, 참조 2. 부가가치율도 매우 높다.[18] 코트라의 자료를 비롯해, 외교부의 자료, 국제 관광협회의 자료 모두 비교적 최근의 그리스의 관광업 비중이 GDP 대비 15~16%, 고용의 20%를 차지한다고 기술되어 있다.[19] 대부분 선진국의 경우 1차산업이 차지하는 노동력 비율은 5% 미만이며 2차산업은 20~30%, 3차산업은 70~80% 정도이다. 그리스는 여타 선진국과 비교해봐도 2차산업 노동력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편이다. 그리스와 같이 인구도 비슷하면서 산업구조가 관광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 포르투갈 마저도 1차산업 노동력 비율은 5%, 2차산업이 24%, 3차산업이 71%이다. 그만큼 그리스가 제조업에 손을 놓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20] 참고로 2차산업 노동력비율이 20% 미만이고 3차산업이 80%에 가깝거나 혹은 훌쩍 뛰어넘어버린 선진국인 국가들은 영국, 미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노르웨이, 아일랜드 정도이며 이 국가들은 제조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여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낮더라도 원천기술, 설계기술, 핵심장비를 보유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력과 탄탄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에 OEM 생산을 맡겨버리면 그만이기 때문에 자국에서 2차산업에 필요한 노동력의 비중이 낮은 것이다.[21] 70년대 석유 위기 이후로 전략적으로 갈탄의 소비량을 늘렸다고 한다.[22] 이는 연구 결과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하나, 보통 연구 결과들은 최소 6, 7회 정도로 본다.[23] 참고로 독일은 4회, 러시아는 5회 선언했으며, 이 중에서도 독일은 대공황으로 전 세계가 막장이던 1930년대를 끝으로 디폴트와는 작별했다. 4번이든 5번이든 6번이든 뭐가 그리 다르냐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으나, 디폴트가 개인, 가정, 나아가 사회와 국가에 초래하는 어마무시한 영향을 생각해 본다면, 그 1회 1회의 갭은 정말 하늘과 땅 차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게 과장으로 들린다면 당장 이 문서로 가서 지금 그리스 돌아가는 꼴을 보도록 하자.[24] 예를 들어 스페인의 6번에 걸친 디폴트 중에 4번은 펠리페 2세때 있었다.[25] 그리스와 포르투갈 모두 과다한 정부 부채가 발목을 잡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데 그래도 포르투갈은 120년 이상 디폴트 없이 버티고 있지만 그리스는 걸핏하면 그랬다는 게 다르다. 사실 포르투갈의 경우 그래도 재정문제는 잘 해결한 통치자가 나온 것도 크긴 했다. 예를 들어 민주화가 되기 전에는 살라자르가 통치했는데 많은 독재자들과 달리 민간 관료 출신으로서 경제와 재정 문제는 잘 해결한 사람으로 애초에 그 공로로 집권까지 한 사람이었다.[26] 디폴트는 세계에서 가장 중대한 계약 위반이며, 단 한 번 선언하는 것만으로도 국가 신용도를 바닥으로 만들어버린다. 또한 채권국, 채권자들의 피해, 그리고 양국 국민들이 받게 되는 크고 작은 피해와 고통은 말 그대로 국가 막장 테크다.[27] 중남미 국가들은 디폴트 관련해서는 진짜 지랄맞다는 표현을 써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걸핏하면 디폴트를 선언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10번이나 디폴트를 선언해버린 베네수엘라에콰도르 같은 개막장들을 필두로 우루과이, 코스타리카, 브라질, 칠레는 각 9번씩, 아르헨티나, 페루, 멕시코는 각 8번씩, 도미니카 공화국, 니카라과, 파라과이, 과테말라, 콜롬비아는 각 7번씩등, 툭하면 배를 짼다.(...) 그나마 볼리비아엘살바도르가 좀 양호한 편인데 얘들도 5번이나 했다. 이중 아르헨티나는 현재진행형으로 디폴트 위기를 겪고 있다.[28] 중남미의 경우에는 그리스와는 달리 이해가 되는 측면이 있는데 여긴 쿠데타가 심심찮게 벌어져 그리스보다도 더 불안정한 나라들이었다.[29] 물론 다시 말하지만 이 나라에서 디폴트는 아주 옛날 일이다.[30] 8번이다.[31] 돈이 들어오더라도 누가 돈을 받느냐부터가 문제일 지경이었다.[32] 그리스 경제위기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