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금속공예 | <colbgcolor=#fff,#191919>유기 · 숟가락 · 장도 · 떨잠 |
도자공예 | 가야토기 · 신라토기 · 고려청자 · 고려백자 · 분청사기 · 조선백자 (철화백자 · 청화백자 · 달항아리) · 조선청자 · 옹기 · 귀면와 · 청기와 · 잡상 · 토우 | |
목공예 | 병풍 · 솟대 · 상여 · 꼭두 · 장승 · 나막신 · 채상 · 낙화 · 윤도 | |
석공예 | 곡옥 · 석탑 · 석등 · 돌하르방 | |
섬유공예 | 오방낭 · 제웅 · 청사초롱 · 금줄 · 조각보 · 매듭 (노리개 · 선추) · 갓 (흑립 · 삿갓) · 망건 | |
종이공예 | 탈 · 종이 우산 · 접부채(합죽선 · 칠첩선) · 채화 | |
칠공예 | 나전칠기 | |
종합공예 | 열쇠패 · 곰방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남녀공용 | |||||||
상의 |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삼 · 적삼 · 마고자 | |||||||
하의 | 바지 | |||||||
겉옷 | 반비 · 배자 · 장옷 | |||||||
신발 |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 |||||||
기타 | 무복 · 버선 · 상복 | |||||||
남성용 | ||||||||
평복 | 상의 | 사규삼 | ||||||
하의 | 잠방이 | |||||||
겉옷 | 포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 |||||||
예복 및 관복 |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 |||||||
융복 | 구군복 · 철릭 | |||||||
모자 | 갈모 · 감투 · 갓(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 |||||||
전통장식 | 동곳 · 흉배 | |||||||
여성용 | ||||||||
평복 | 하의 | 치마 | ||||||
겉옷 | 쓰개치마 · 머리처네 | |||||||
속옷 | 가슴가리개 | |||||||
예복 | 상의 | 당의 · 견마기 | ||||||
하의 | 스란치마 · 대란치마 | |||||||
겉옷 | 노의 · 원삼 · 활옷 | |||||||
모자 | 틀:전통여성모자 | |||||||
전통장식 |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 |
삼국시대 판자형 나막신[1] |
조선 시대 선형 나막신 |
1. 개요
말 그대로 나무로 만든 신발을 가리킨다. 옛부터 수렴 진화의 일종으로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여러 나라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났으며, 여기서는 일단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사용하던 나무신발을 일컫는다.한국에서는 나막신(순우리말), 목혜(木鞋), 목리(木履), 평극(平屐)[2]이라 부르고, 중국에서는 목극(木屐, 무지)이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하타(下駄, 게타)라고 부른다. 세 나라의 고대 나막신 유물들을 보면 기본 형태는 서로 비슷비슷하다.
나무라는 말의 고형(古形)을 보여주는 단어이다. '나무'는 모음이 이어질 때 '나ᇚ'이 되고 자음이 이어질 때 '나모'가 되었는데 이를 통해 고형을 유추해보면 '나ᄆᆞᆨ'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나막신'은 여기에 '신'이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인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이걸 신고 걸을 때 나무가 바닥과 부딫혀 딸깍거리는 소리가 나서 '딸깍발이'라고도 불렀다.[3] 이러한 비유 표현은 가난해서 마른 날에도 나막신을 신던 옛 선비들을 지칭할 때도 사용하던 말인데, 이희승 선생의 동명 수필이 교과서에서 실린 적이 있다.
실제로 옛날엔 갖신(가죽신)이 비싸서 구하기 힘들었던 서민들이 대용품으로서 짚신과 함께 마른 날임에도 나막신을 신고 다니던 모습을 구한말 일부 사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야사에서 나막신을 신은 것으로 유명한 위인도 있는데, 오리정승 이원익이다. 이쪽은 가난해서보다는 키가 작은 것이 컴플렉스여서였다고.
딸깍발이의 경우 1999년 서울중산고 편에 골든벨 문제로 출제되었다.
2. 역사
우리나라의 나막신은 크게 '판자형(板形)'과 '선형(船形)'으로 나눈다. 판자형은 'ㅡ' 또는 'ㅠ' 모양 나무판자에 끈을 달아 발가락 사이로 걸어 신는 방식이고 선형은 갖신 처럼 발을 감싸 넣어 신는 방식이다.언제부터 형태가 변했는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 나막신 유물 중에서도 쌍북리 백제 유적과 경기도 안성 통일신라 죽주산성 유적에서 금동 신발과 상당히 유사하게 나무를 파 발을 넣을 수 있도록 갖신 모양으로 만든 성형 나막신 또한 발굴했다는 점과(삼국시대 신발들) 조선 후기 나막신 유물 중에서도 청진 12~16지구 유적에서 구멍 3개가 뚫린 ㅠ 모양 판자형 나막신을 발굴했다는 점으로 볼 때[4] 상당히 오래 전부터 판자형, 선형 두 가지 형태 나막신을 혼용하다가 점차 갖신 형태인 선형 나막신이 좀 더 대중화한 것으로 보인다.
출처 - 한·중·일 삼국의 고대 나막신 연구(국립문화재연구원) |
구멍은 3개, 5개, 6개, 9개로 다양하며 여기서 예시로 들 나막신의 경우 백제의 것은 구멍이 3개로 일본 나막신인 게다와 동일하지만 신라의 것은 구멍이 5개라서 크게 두 가지 설로 나누고 있다.
방법 1은 신라의 짚신 모양 이형 토기[사진]의 끈 부분을 보고 이와 비슷하게 추측한 모양이며, 방법 2는 백제의 것과 비슷하게 신고 벗기 편한 슬리퍼 형태로 추측한 모양인데 둘 다 맞을 가능성도, 둘 다 아닐 가능성도 있다. 끈 부분이 남아있는 유물이 없어 정확히 어떤 형태인지는 아직까지 확신할 수 없다.
또한 조선 후기 판자형 나막신 중에서도 구멍이 3개인 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백제와 신라에서도 특별히 정해진 규칙 없이 실용성 면에서 구멍 3~9개 나막신을 서로 혼용했을 가능성 역시 충분하다.
제작 재료로는 소나무, 은행나무, 버드나무 등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들을 다양하게 활용했지만 우리나라의 환경 요소와 재료 특성을 고려하여 소나무를 가장 많이 이용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사용된 나막신은 무슨 나무로 만들었나요? 종로 청진 12~16지구 출토 나막신의 수종분석
3. 해외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나막신은 여러 문화권에서 향유해 온 수렴 진화의 일종이며, 고대부터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해 내려온 신발이다.현대인들 중에서 나막신, 특히 ㅠ모양 판자형 나막신을 일본에서만 신는 신발인 줄 아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종이우산처럼 일본발 매체가 빚은 편견이라고 볼 수 있다. 당장 위에 나온 대로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도 ㅠ모양 판자형 나막신을 신었다.
티베트 달라이 라마가 신은 나막신 |
중국 운남성 하니족 전통 나막신 춤 |
네덜란드 나막신 클롬펀(Klompen) |
한때 영문판 위키백과 Namaksin 항목에서는 클롬펀이 헨드릭 하멜 일행을 통해 조선 후기 나막신에 영향을 준 게 아닌가 하는 주장을 써놓았었는데, 이미 그보다 더 오래 된 나막신 유물이 있으므로 신빙성이 떨어지는 주장이다.
유럽에서는 옛날 프랑스에서 파업할 때 나막신(sabot)을 던져 공장 안에 있는 기계를 때려부순 데서 사보타주란 단어가 유래했다는 민간어원설이 꽤 유행했었다. 특성을 감안하면 꽤 그럴 듯 하지만 실제 사보타주란 말의 어원은 이게 아니고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다는게 정설이다.
유럽 나막신 사진들
<bgcolor=white> |
신발 브랜드인 crocs의 제품들도 일종의 나막신이다.
튀르키예 나막신 날른(nalın)과 타쿤야(Takunya)[6] |
오스만 제국 시기 목욕 문화와 함께 발전하였는데, 주로 목욕탕에서 더러운 물과 비누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었다.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높은 굽을 신었으며, 주택이나 궁전에서 신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고 한다.
이후 점차 가정식 목욕탕이 정착하고, 목욕탕 밖에서도 간편하게 신을 수 있는 타쿠냐가 보편화하였다.
[1] 상단 왼쪽 네모난 나막신은 신라 유물로서 1997년 경북 경산시 임당동 유적에서 발굴했으며, 상단 오른쪽 둥근 나막신은 백제 유물로서 2000년 충남 부여군 능산리사지(절터) 7차 조사 때 발굴했다. 자세한 사항은 2005년도 문화재지 나막신 관련 논문 참고. 아래 왼쪽 나막신은 부산 정관읍 용수리 가동 유적에서, 아래 오른쪽 나막신은 충남 아산 갈매리 유적에서 나왔는데 마찬가지로 삼국시대 유물이다.[2] 끈을 걸어 신는 판자형 나막신만을 가리킨다.[3] 생계를 잇기 어려운 선비들이 남산에 모여살며 나막신을 신었기 때문에 '남산골 딸깍발이'라는 관용어까지 생겼다.[4] 해당 유적에서 발굴한 나막신은 판형 25점, 선형 7점이라고 한다.[사진]
[6] 좌측이 날른, 우측이 타쿤야
[6] 좌측이 날른, 우측이 타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