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걍 지금 wwe 하는 거랑 똑같음.. 메이플 유저들이 "나 존나 화났어"하면서 기술 하나 거는 중이고 창섭이랑 원기가 크아악 하면서 찰지게 접수 받아주고 사료뿌리고 소통하는 척 쫌 하면 어차피 상황 종료임..
짜고 치는 고스톱, 각본대로 하는 뻔한 레퍼토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은어.기본적으로 게임의 유저와 운영사 간의 사료를 두고 벌이는 신경전을 미리 짜 둔 각본을 가지고 경기를 벌이는 쇼의 특성을 가진 WWE 프로레슬링에 비유한 용어이다. 인터넷 커뮤니티 유저들이 일으키는 여론몰이나 단순히 유저들끼리의 심리전을 칭할 때 이 용어를 쓰기도 한다.
용어의 활용도와 적절한 뉘앙스로 유행을 타 점차 다른 분야에서도 '결과가 어느 정도 정해진 것을 양측이 이해한 채로 싸우는 경우'를[1] 표현할 때 애용되고 있다. 반대로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돌발상황이거나 진짜 감정이 담겨 진심으로 싸울 때는 UFC[2]에, 상황이 매우 심각해지면 WW2[3], WW3[4]에 빗대기도 한다.
실제 프로레슬링 업계에서는 본 문서에서 말하고자 하는 '사전에 정해진 프로토콜 하에서 행해지는 감정 표출이나 물리적 충돌'을 통칭하여 케이페이브(Kayfabe)라고 부르며, 이러한 케이페이브를 충실하게 이행하는 것을 워크(Work), 반대로 케이페이브를 깨는 것을 슛(Shoot)이라고 한다.
2. 유행
이와 같은 비유는 2023년 8월 24일 오전 디시인사이드 메이플스토리 갤러리의 '어차피 오늘 리부트너프도 레슬링쇼임'그러다 2024년 1월 4일 에펨코리아의 싱글벙글 메이플 근황이라는 글에서 이를 차용한 펨코 댓글이 베댓을 먹고 캡처를 타고 재차 퍼지기도 했다. #1 #2 이런 과정을 통해 메이플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WWE가 이와 같은 뜻으로 조금씩 사용되기 시작했다.
2024년 중반부터 신창섭 밈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고, 여러 창팝의 가사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WWE라는 표현이 유튜브, 인터넷 방송 등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타 게임 커뮤니티에도 알려졌다. 특히 가장 흥행에 성공한 곡 중 하나인 바로 리부트 정상화의 가사 중 '늘 있는 WWE'라는 구절이 관용구로 널리 쓰이기도 했다. 밈의 유행 중 등장한 창팝인 메벤남과 김창섭 그리고 WWE는 WWE라는 말이 어떤 뜻으로 사용되는지 메이플을 하지 않는 유저들에게도 명확하게 설명해 주는 노래로 유명하다.
3. 그 외 사례
- 동덕여자대학교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
시위대가 유성락카 등을 뿌려 피해금액이 어마어마하게 늘어나자 본의 아니게 과거 대학가 시위현장이 재조명되며, 현재도 노동조합 등지에서 활동하는 전문 시위꾼들의 시위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알려졌는데 '시위꾼들의 시위는 알고보니 잘 짜인 WWE였다, 동덕여대생들은 뭣모르고 UFC를 해버렸다.'[5]라는 식[6]의 드립도 쏟아졌다. Don't Try This At Home까지 고증해버렸다는 드립은 덤.
4. 여담
- 마냥 부정적으로만 사용되는 의미도 아니고 의외로 프로레슬링의 본질을 한단어로 압축한 단어[7]여서 그런지 프로레슬링 팬들 사이에서도 본 밈에 대해서 특별히 불쾌해하지 않는다. 대부분 한국 프로레슬링 팬들은 시청 경력이 기본적으로 10년은 넘어가다 보니 "짜고 치는거 왜 봄?"에 대해 면역이 되어 있는 상태이기도 하고 애초에 "짜고 안 치면 WWE 왜 봄?"이 기본 마인드셋이라 타격이 없다. 심지어 분탕들조차 짜고 치는거 왜 보냐는걸로는 어그로 끌지 않을 정도.
5. 관련 문서
[1] 그러니까 어떤 사건이 있어서 양쪽이 뭔가 보여주긴 해야하는데 그렇다고 너무 진지하게 나가야 할 필요는 없을때. 시전하는 쪽은 적당히 공격하고, 접수하는 쪽은 잘못했으나 그렇게 심각한 사안이 아니라서 적당히 얻어맞고 뉘우치는 그런 복잡하고도 미묘한 상황이다.[2] 공교롭게도 UFC와 WWE는 모두 TKO 그룹 홀딩스라는 기업의 자회사이다.[3] 보통 WW2의 2는 영어 'two'로 발음하는 편이 일반적이지만 한자 '二'로 읽으면 WWE와 발음이 같은 언어유희도 쓸 수 있다.[4] WWE에서 E를 좌우반전하면 3이 되는 leet기도 하다.[5] 첫 번째와 세 번째 사진은 2019년 금속노조 대우조선지부 거제시장실 점거 사건, 두 번째 사진은 2019년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의 주주총회장 점거 사건, 네 번재 사진은 CJ대한통운 2021년~2022년 노사갈등 사태 당시 찍힌 사진이다.[6] 즉, 겉으로 봤을 때에는 대책 없이 다 때려부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현 집회시위법에 근거해 시위라는 시각효과(애초에 데모하는 말 자체가 데몬스트레이션의 약자다.)는 크게 보여주되 재물손괴가 발생하더라도 손해배상을 할 필요가 없거나 하더라도 액수가 최소 한도로 적게 나오도록 시위 기술자들의 지도하에 짜고 치는 고스톱으로 설계해 놓고 진행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원글의 시장실 점거 사진을 보면 뒤집힌 탁자도 바닥에 닿는 부분에는 종이를 끼워 손상을 막았고, 시장실의 기자재를 어지럽힐 때도 컴퓨터나 유선전화기 등 고가의 물품은 건드리지 않았고 낱장 서류, 신문 등의 싼 물건만 흩뿌려 놓은 것을 볼 수 있다.[7] 서로 합의하에 큰 부상 없이 안전하게 큰 액션을 취하면 그에 따라 아프게 접수하는 것이 프로레슬링의 가장 기본 틀이기 때문이다. 물론 부상만 당하지 않게 안전하게 기술을 시전하는 것일 뿐, 이 과정에서 발생한 고통은 모두 실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