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대한민국의 정당 분류 | |
▲ 정부수립 이전 | |
민주당계 | 보수 |
한민족 | 단일쟁점 | 대중 | 지역 (충청 | 호남) | 종교 (기독교) |
1. 개요
대한민국의 포괄 정당[1]을 분류한 문서이다.다양한 이념과 스펙트럼을 가진 사람들을 하나로 묶기 위해 만들어진 정당으로, 스펙트럼이 넓어 폭 넓은 유권자들을 수용하기 유용한것이 장점이지만, 다양한 계파간의 갈등을 수습하지 못한다면 당내 혼란이 커지는 단점이 존재하고, 실제로 많은 빅 텐트 정당들이 이러한 당내 갈등 때문에 무너졌다.
중도정당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다양한 계파를 수용하다보니 중도적 방향성으로 가는 경우가 많지만, 중도우파 ~ 극우를 포괄하는 우익 빅텐트 정당과 중도좌파 ~ 극좌를 포괄하는 좌익 빅텐트 정당들도 존재하니 꼭 빅텐트가 중도주의 정당이라고 볼 수는 없다. 물론 중도좌파 ~ 중도우파를 포괄하는 중도 빅텐트 정당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의 진보정당들은 규모가 큰 정당일수록 당내에 많은 계파 내지 정파가 존재한다. 그리고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계파가 형성되는 여타 한국 정당들과는 달리, 정치적 이념이나 성향에 따라 정파가 구분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경우 소선거구제 양당제 정치의 특성상,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거대 양당은 항상 빅 텐트 정당의 특징을 띄어 왔기 때문에 포괄 정당으로 분류된다. 대체로 열린우리당 창당 이후 기준으로[2] 민주당계 정당은 중도~좌익 빅텐트, 민자당계 정당은 우익 빅텐트 성향을 띄었다.
2. 정당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제3지대 계열 ] | 정당 | 존속 기간 | 비고 | ||
[[국민의당(1963년)| 국민의당 ]] | 1963 ~ 1964 | ||||
[[민주당(1990년)| 민주당 ]] | 1990 ~ 1991 | ||||
| 1994 ~ 1995 | ||||
| 1995 ~ 1997 | ||||
| 당명 변경 | ||||
| 1996 | ||||
| 1996 ~ 1997 | [3] |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2000 ~ 2011 | ||||
| 2000 ~ 2004 | ||||
| 2007 | [4] | |||
| 2008 ~ 2012 | [5] |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 ]] | 2011 ~ 2014 | ||||
| 2012 | ||||
[[국민의당(2016년)| 국민의당 ]] | 2016 ~ 2018 |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2018 ~ 2020 | ||||
| 2020 ~ 2024 | [6] | |||
| 2024 | [7] | |||
| 2024 ~ 2025 | [8] | |||
2024 ~ 2025 | [9] | ||||
[[정의당| 정의당 ]] | 2012 ~ 현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주류 민주당 계열 ] | 정당 | 존속 기간 | 비고 | ||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 1945 ~ 1949 | [10] | |||
[[민주당(1955년)| 민주당 ]] | 1955 ~ 1961 | [11] | |||
| 1965 ~ 1967 | [12]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1967 ~ 1980 | [13] | |||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 ]] | 1985 ~ 1988 | [14] |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 1987 ~ 1990 | [15] |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1991 ~ 1995 | [16] |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1995 ~ 2000 | [17] |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2000 ~ 2004 | [18] |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2003 ~ 2007 | [19] | |||
[[대통합민주신당| 대통합민주신당 ]] | 2007 ~ 2008 | [20] | |||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 2008 | [21] |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 2011 ~ 2013 | [22] | |||
[[민주당(2013년)| 민주당 ]]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2014 ~ 2015 | [23] | |||
| 2015 ~ | 당명 변경 | |||
[[시민을위하여|]] | 2020 | ||||
[[더불어시민당| 더불어시민당 ]] | 당명 변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주류 보수정당 계열 ] | 정당 | 존속 기간 | 비고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1946 ~ 1958 | [24] | |||
[[자유당(1951년)| 자유당 ]] | 1951 ~ 1961 | [25]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1963 ~ 1980 | [26] |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1990 ~ 1995 | [27] | |||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1997 ~ 2012 | [28] | |||
| 2012 ~ 2017 | [29] | |||
| 2017 ~ 2020 | [30] | |||
[[미래통합당| 미래통합당 ]] | 2020 | [31] | |||
| 2020~현재 | 당명 변경 | |||
[[국민의미래| 국민의미래 ]] | 2024 |
3. 제3지대 정당 계열
3.1. 과거의 정당
3.1.1. 국민의당(1963년)
|
1963년 창당한 정당으로, 민주당계, 자유당계, 족청계 등 다양한 계파가 존재했던 정당이다.
김병로, 허정, 이범석 등 정치적 거물들이 몸담았으며, 주류는 민주당계였으나 자유당계, 족청계 등의 우파 정당 출신들도 있었기 때문에 한국 정치사의 원조 빅 텐트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3.1.2. 민주당(1990년)
|
3.1.3. 신민당(1994년)
|
3.1.4. 통합민주당(1995년)
|
3.1.5. 무당파국민연합
|
1996년 제15대 총선 시기에 존속했던 정당으로, 무소속 정치인들을 모아 이른바 '무소속 빅 텐트'를 표방했다.
3.1.6. 무정파전국연합
|
통일국민당과 신정치개혁당이 합당해 신민당(1994년)이 탄생했고, 이후 신민당이 자유민주연합과 합당하자 신민당의 합당 반대파들이 만든 정당이다.
위의 무당파국민연합과 마찬가지로 제15대 총선을 앞두고 무소속 빅 텐트를 표방했다.
3.1.7. 민주국민당
- 민주국민당(2000년) (2000-2004)
3.1.8. 중도통합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과 민주당(2005년)의 합당으로 탄생한 정당으로, 범비노계인 동교동계, 김한길계, 이인제계가 모여있는 중도-비노 빅텐트였다. 김한길계의 이탈로 얼마 안가 민주당(2007년)으로 개편된다.
3.1.9. 자유선진당
|
2008년 2월 4일 ~ 2012년 5월 29일 (선진통일당으로 당명 변경)
충청 지역주의를 기반으로 한 충청권 보수정당으로, 일반적으로 보수정당을 표방했지만, 이회창계, 심대평계, 이인제계, 비박계, 친박계와 같은 다양한 계파와, 한나라당, 국민중심당, 민주당 출신과 같은 다양한 출신, 그리고 온건보수와 강성보수를 포괄하는 스펙트럼 탓에 충청권 우익 빅텐트라 봐도 무방하다.
3.1.10. 통합진보당
|
2000년대 후반부터 형성된 '진보 대통합론'에 따라 2011년,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그리고 진보신당을 탈당해 진보 통합을 주장하던 새진보통합연대, 세 주요 세력이 창당한 정당이다.
하지만 당 자체가 매우 이질적인 정파들이 모인 탓에 시작부터 삐걱거림이 심했으며, 경기동부연합 등 일부 NL 계열이 당권을 잡은 뒤부터는 당이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갈등으로 겉잡을 수 없는 소용돌이 속에 빠지고 만다.
창당 이후 초기부터 숱한 사건 사고들로 얼룩진 끝에, 비당권파가 2013년, 따로 나와 진보정의당을 창당하면서 분당 수순을 밟는다.
분당 이후 남은 통합진보당 세력은 사상 초유의 통합진보당 내란선동 사건으로 인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정당으로 해산 판결을 받는다.
3.1.11. 국민생각
|
3.1.12. 국민의당(2016년)
|
3.1.13. 바른미래당
|
2018년,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합당한 정당으로, 친안, 손학규계, 호남계와 같은 중도·진보 세력과 소장파, 친유로 대표되는 개혁보수 세력이 결합한 정당이다.
3.1.14. 민생당
|
2020년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 세 정당이 통합하여 탄생한 정당이다. 박지원계, 정동영계로 대표되는 호남계와 손학규계로 대표되는 중도 세력이 합쳐진 중도·호남권 정당이었다. 2024년에 기후민생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고, 2025년에 민주평화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1.15. 새로운미래
|
- 새로운미래 (2024.2~2024.9)
- 새미래민주당(2024.9~)
민주당 출신이 주류에 보수, 진보정당 출신이 섞여 있었으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1석으로 참패하고, 유일하게 당선된 김종민 의원도 탈당함으로써 원외정당이 되었다. 이후 상당수의 인사들이 당을 빠져나가고 친낙 위주로 운영되는 정당이 되었다.
3.1.16. 개혁신당
|
3.1.17. 소나무당
|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창당한 반윤 성향의 빅 텐트 정당으로, 송영길, 손혜원과 같은 민주당 출신 인사들과 변희재, 최대집과 같은 강경우파 인사들이 결합해 만든 정당이다.
2025년에 윤석열 파면이 이루어짐으로서 주 목적이 달성되었고, 손혜원, 변희재, 최대집 등은 탈당했다. 빅 텐트 정당보다는 송영길 중심의 명망가 정당, 민주당계 정당에 가까워졌다.
3.2. 현재
3.2.1. 정의당
<nopad> |
통합진보당을 탈당한 후 모여 결성한 사회민주주의 정당이다. 2012년 10월 18일 창당대회를 열고 진보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등록하였다. 이후 2013년 7월 21일 당명을 정의당으로 개정하였다. 통합진보당이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의해 해산되면서 대한민국 제 19대 국회에 진입한 유일한 진보정당이 되었다. 2015년 11월 22일, 통합당대회를 통해 기존 정의당, 노동당에서 탈당한 평등사회네트워크, 노동정치연대, 국민모임이 '노동의 희망, 시민의 꿈'을 슬로건으로 하는 새로운 정의당을 출범시켰다.
당내 계파를 크게 분류하자면 민주당에 호의적인 사회자유주의 계열/민주당과 연대하지만 때때로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는 사회민주주의, 인천연합 계열/민주당과 연대를 거부하고 정의당만의 노선을 지향하는 민주사회주의 계열, 역시 민주당과 연대를 거부하지만 제3지대를 지향하는 중도 제3지대 계열로 나뉜다.
2023년에 총선을 앞두고 3지대론이 퍼지고, 정의당 분당이 일어나서 사회자유주의 및 사회민주주의 우파계열과 중도 제3지대 계열은 딴 살림을 차렸다.[32] 한편 남은 당권파[33]은 더욱 좌경화가 되어서, 민주사회주의 성향으로 좌클릭했다.
- 대표:
- 노회찬 / 조준호 (상임 / 공동대표, 2012.10.21. ~ 2013.7.21.)
- 천호선 (대표, 2013.7.21. ~ 2015.7.18.)
- 심상정 / 나경채 /
김세균사임 (상임 / 공동대표, 2015.7.18. ~ 2017.7.11.) - 이정미 (대표, 2017.7.11. ~ 2019.7.13.)
- 심상정 (대표, 2019.7.13 ~ 2020.10.9.)
- 김종철 (대표, 2020.10.9. ~ 2021.1.25)[34]
- 강은미 (대표/비상대책위원장, 2021.1.25 ~ 2021.3.24)
- 여영국 (대표, 2021.3.24 ~ 2022.6.2)
-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 2022.6.2 ~ 2022.10.28)
- 이정미 (대표, 2022.10.28 ~ 2023.11.15)
- 김준우 (비상대책위원장/임시대표, 2023.11.15 ~ 2024.5.27)
- 권영국 (대표, 2024.5.28 ~)
4.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빅 텐트 정당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원외 정당 | ||||
| | ||||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민주당계 · 제3지대 · 중도 · 보수 · 극우 · 민족 · 대중 · 단일쟁점 · 빅 텐트 · 명망가 · 종교 · 기독교 · 지역 · 호남권 · 혼합 정치 · 비례위성) |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
[1] '빅 텐트'라고도 일컫기도 하나, 엄밀히 말하면 빅 텐트는 정당 외에도 정치 집단, 정부 구성, 정치 단체, 사회 단체 등 각종 단체나 집단을 일컫는 표현이자, 그러한 단체나 집단의 구성에 있어 다양한 이념과 스펙터그램이 혼재되는 상황을 일컫는 표현이기 때문에, '정당'에 한정하여 일컫는 경우엔 포괄 정당(包括政黨, catch-all party)이라고 일컫는 것이 정확하다.[2] 신한국당-새정치국민회의, 한나라당-새천년민주당 양당제였던 2000년대 초반엔 보수-진보 상관없이 특정 정치인을 지지하던 사람들이 해당 정당에 입당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성향이나 이념 간 격차가 크지 않았다.[3] 1995 ~ 1996년 시기에는 신민당이라는 이름의 보수정당, 이후 당명 변경.[4] 민주당(2007년)으로 개편.[5] 이후 주요 계파가 다 빠져나간 후, 선진통일당으로 당명 변경.[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참패하고 주요 인사들이 빠져나간 후, 기후민생당으로 당명 변경.[7]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참패 이후 포괄 정당으로 보기 힘들어졌다.[8] 한국의희망과의 신설 합당, 3자 통합 등을 통해 초창기에는 포괄 정당 성격을 지닌 정당이었으나, 2025년 기준으로 다양한 계파가 빠져나가 이준석과 이준석계 중심의 명망가 정당 성격의 정당이 되어 현재는 포괄 정당으로 보기 어렵다.[9] 좌우중도합작 정당이었으나, 손혜원, 변희재, 최대집이 빠져나가서 포괄 정당으로 보기 힘들어졌다.[10] 원세훈의 고려민주당, 김병로, 이인 등의 조선민족당, 장덕수 등의 한국국민당 등이 통합하여 탄생.[11] 민주당에는 구파와 신파가 있었다. 구파는 한국민주당-민주국민당 출신, 엘리트 위주였고, 신파는 자유당 탈당파나 기술관료, 신진 소장파 세력들이었다.[12] 민정당과 민주당의 신설 합당.[13] 민중당과 신한당의 신설 합당.[14] 신민당의 재건에 가까웠으나, 이민우 구상 이후 상도동계와 동교동계 등이 빠져나가며 몰락한다.[15] 김영삼의 상도동계와 김대중의 동교동계가 있었으나,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동교동계는 평화민주당으로 빠져나간다.[16] 신민주연합당과 민주당(1990년)의 신설 합당.[17] 동교동계가 주류였으며, 신한국당-민주당 합당 반대파(통추), 국민신당 인사, 재야 운동가 등이 당에 영입된다.[18] 원래는 새정치국민회의를 개편하면서 각기 다양한 인사를 끌어들인 정당이었으나, 새천년민주당 분당 사태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참패를 겪으면서 호남권 위주, 구 동계동계 정당으로 쪼그라든다.[19] 새천년민주당 내 친노와 천신정 등의 호남 신주류 세력, 개혁국민정당, 한나라당의 독수리 오형제 등.[20] 김한길계, 손학규계 등이 창당하여 열린우리당을 흡수한다.[21]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신설 합당.[22]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의 신설 합당.[23]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24] 이승만의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김구의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하였다.[25] 신정동지회와 공화구락부가 통합하여 원내 자유당을 창당하였고, 족청계를 중심으로 원외 자유당이 창당된다. 이후 두 자유당이 통합한다.[26] 박정희계, 김종필계 등. 군부 출신 인사 외에도 관료나 학계, 교육인, 법조인, 언론인 출신 인사, 자유당과 민주당 출신 등이 포함되었다.[27] 3당 합당으로 인해 다양한 계파가 속한 정당이 되었다.[28] 신한국당-민주당 합당으로 인해 탄생. 친이와 친박 등의 계파가 있음.[29] 크게 친박과 비박으로 나뉘었다.[30]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비박 상당수가 바른정당으로 빠져나갔다.[31] 자유한국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의 합당.[32] 사회민주당(새로운진보), 세번째 권력-새로운선택-개혁신당,대안신당당원모임-미래대연합-새로운미래(중도 제3지대)[33] 전환, 인천연합, 광주전남연합[34] 성추행 사건으로 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