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연방 전차군 사령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color: #ffe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e4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5대 |
인노켄티 할렙스키 | 구스타프 보키스 | 드미트리 파블로프 | 야코프 페도렌코 | |
<rowcolor=#ffe4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파벨 리발코 | 세묜 보그다노프 | 알렉세이 라지옙스키 | 파벨 폴루보야로프 | |
<rowcolor=#ffe400>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아마자습 바바자냔 | 유리 포타포프 | 알렉산드르 갈킨 | }}}}}}}}} |
<colbgcolor=#000><colcolor=gold> 소비에트 연방 제3대 전차군 사령관 드미트리 파블로프 Дми́трий Па́влов | Dmitry Pavlov | |||
본명 | 드미트리 그리고리예비치 파블로프 Дми́трий Григо́рьевич Па́влов Dmitry Grigorievich Pavlov | ||
출생 | 1897년 11월 4일[구력] | ||
러시아 제국 코스트로마현 콜로그리프구 보뉴흐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코스트로마주 파블로보)[2] | |||
사망 | 1941년 7월 22일 (향년 43세) |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레포르토바 교도소 | |||
재임기간 | 제3대 전차군 사령관 | ||
1937년 11월 ~ 1940년 6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gold> 부모 | 아버지 그리고리 바실리예비치 파블로프 어머니 예카테리나 스테파노브나 파블로바 | |
배우자 | 알렉산드라 페도로브나 파블로바[3] | ||
자녀 | 아들 보리스,[4] 딸 에이다[5] | ||
복무 | 러시아 제국 육군 | ||
1914년 ~ 1917년 | |||
노농적군 | |||
1919년 ~ 1941년 | |||
최종 계급 | 대장 (노농적군)[6] | ||
병과 | 기병 → 기갑 |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스페인 내전 할힌골 전투 겨울전쟁 독소전쟁 | ||
주요 서훈 | 레닌훈장 (3회) 소비에트 연방 영웅 적기훈장 (2회) | }}}}}}}}} |
[clearfix]
1. 개요
소련의 군인.2. 생애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4년제 체육대학교 입학 시험에 합격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러시아 제국 육군에 자원입대했다.2.1.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부터 제120보병연대, 제20보병연대, 제202예비연대에서 복무하다 상급 부사관으로 진급했다. 1916년 6월, 코벨 전투에서 독일 제국 육군에 의해 포로로 붙잡혀 광산에서 일했다. 1919년 1월 전쟁이 끝난 뒤 귀국했다.2.2. 러시아 내전
1919년 8월 25일부터 노농적군 제56보급대대에서 식품 보급을 감독했다. 1920년 12월부터 남서부전선, 남부전선에서 전투를 치렀다. 1922년 6월부터 제6독립기병여단 제56기병연대 부연대장으로 임명돼 바르나울에서 반공 세력을 진압했다.2.3. 중국-소련 국경분쟁
1928년 6월 프룬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콘스탄틴 로코솝스키의 지휘 하에 동부철도 분쟁에서 중화민국군을 궤멸시켰다. 이후 전차부대를 크게 발전시켜 레닌훈장을 수여받았다.2.4. 스페인 내전
1936년 10월부터 1937년 6월까지 공화당 정부 편에서 싸웠으며, '파블로'라는 가명의 전차여단장을 역임했다. 최고사령관은 아니지만 1937년 7월부터 공화당 정부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았다.2.5. 제2차 세계 대전
2.5.1. 겨울전쟁
핀란드 육군의 전차부대 규모를 직접 조사한 뒤 1940년 2월 29일까지 예비군[7] 사령관을 역임했다. 만네르헤임선을 따라 후방을 타격할 예정이었지만 도하 실패와 함께 작전이 취소됐다. 겨울전쟁 참전 전, 파블로프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에게 전차 개선을 요구하는 청원을 보냈다.T-26의 호위는 보병에게 맡겨야 하며, T-28 및 T-35엔 초속 560m로 포탄을 날릴 수 있는 76mm급 주포가 장착돼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요구를 거절하신다면 새로운 중전차가 개발돼야 할 겁니다.
파블로프의 제안이 수락돼 T-28, T-35에 포구 속도 초속 555m짜리 76mm급 주포가 탑재됐다. 하지만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 보로실로프 전차 개발이 착수됐다. 이후 미하일 투하쳅스키의 도움에 따라 조직된 전차군단을 폴란드에 투입시켰더니 파블로프의 지휘가 별로였다는 이유로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세묜 티모셴코에 의해 파블로프의 전차군단이 해체됐다.2.5.2. 할힌골 전투
파블로프는 다시 이렇게 요구했다.모든 소총사단에 독립 전차대대를, 기병사단에 독립 전차연대를 창설해주십시오. 해체된 전차군단 4개를 대체하기 위해 신설된 보병사단 15개는 우수한 전력을 보유했지만 여전히 부족합니다. 그 15개 보병사단이 차량화소총사단으로 재편성하기 위해선 별도의 전차부대가 필요합니다.
이 제안이 할힌골 전투에서 시험됐는데, 나름 괜찮은 성과를 냈다.2.5.3. 독소전쟁
사령관들과 지형을 조사 중인 모습[8] |
2.6. 처형
파블로프와 참모장인 블라디미르 클리몹스키흐는 러시아 SFSR 형법 58-1B, 58-11조에 따라 '반공 혐의에 가담해 최전방 부대를 허가 없이 후퇴시켰다'는 이유로 기소됐다.1. 군사 작전 초반부터 나치 독일군에게 무력한 모습을 보인 뒤 지휘를 제대로 내리지 않아 조국의 무기를 버리고 방어선을 뚫리게 했다.
2.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아 반격 첫 날부터 지휘체계가 마비됐다.
(중략)
파블로프를 포함한 4명의 사령관은 소비에트에 대한 충성을 배반하고 상급 장교들을 모욕하며 조국 수호 정신을 망각해 서부전선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이에 따라 모두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1941년 7월 28일, 소련 대법원 판결
2.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아 반격 첫 날부터 지휘체계가 마비됐다.
(중략)
파블로프를 포함한 4명의 사령관은 소비에트에 대한 충성을 배반하고 상급 장교들을 모욕하며 조국 수호 정신을 망각해 서부전선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이에 따라 모두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1941년 7월 28일, 소련 대법원 판결
나는 군인으로서의 맹세와 조국에 대한 의무를 망각하고 붉은 군대를 위험에 빠뜨리고 탈영하는 겁쟁이들에게 경고한다. 싸우지 않는 배신자들은 군법에 따라 무자비한 처벌을 받을 것이다.
1941년 7월 28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250호 명령
파블로프는 사망 전까지 유죄 판결을 인정하지 않았다. 1941년 7월 22일, 그는 계급과 모든 재산, 훈장을 몰수당한 뒤 총살됐다. 이후 부토보 마을 근처 NKVD의 처형장에 매장됐다.1941년 7월 28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250호 명령
2.7. 사후 복권
1957년 7월 31일, 소련 대법원은 증거 부족으로 유죄를 기각했다. 니키타 흐루쇼프 역시 스탈린의 섣부른 판단을 비난하며 파블로프 복권에 동의했다.솔직히 서부전선의 피해를 생각하면 파블로프의 유죄에 동의한다. 하지만 나는 그의 복권에도 동의한다. 근본적 책임은 스탈린에게 있기 때문이다. 파블로프는 준비가 제대로 안 된 인물이었으나 스탈린이 멋대로 주요보직에 앉힌 게 큰 실수였다.
니키타 흐루쇼프
파블로프의 부모는 시베리아로 망명했으나 파블로프가 무죄 판결을 받기 전 사망했다.니키타 흐루쇼프
3. 진급 이력
4. 둘러보기
소비에트 연방 지상군 전선 사령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d40000 20%, #d40000 80%, #cd0000); color: #ffe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브릴 자시힌 | 게오르기 자하로프 | 게오르기 주코프 | 니칸드르 치비소프 |
니콜라이 바투틴 | 다닐 주라블료프 | 드미트리 랴비셰프 | 드미트리 코즐로프 | |
드미트리 파블로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로디온 말리놉스키 | 마르키안 포포프 | |
막스 레이테르 | 막심 푸르카예프 | 미하일 그로마딘 | 미하일 예프레모프 | |
미하일 코발레프 | 미하일 코진 | 미하일 키르포노스 | 미하일 페트로프 | |
바실리 고르도프 | 바실리 소콜롭스키 | 발레리안 프롤로프 | 세묜 부됸니 | |
세묜 티모셴코 | 안드레이 예료멘코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야코프 체레비첸코 | |
이반 마슬렌니코프 | 이반 바그라먄 | 이반 보그다노프 | 이반 체르냐홉스키 | |
이반 코네프 | 이반 튤레네프 | 이반 페듀닌스키 | 이반 페트로프 | |
이오시프 아파나셴코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키릴 메레츠코프 | |
파벨 아르테미예프 | 파벨 쿠로치킨 | 표도르 코스텐코 | 표도르 쿠즈네초프 | |
표도르 톨부힌 | 표트르 구디멘코 | 표트르 소벤니코프 | 필리프 골리코프 | |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최전방에서 단독으로 부대를 배치 · 지휘한 장군을 전선 사령관(Командующие войсками)으로 임명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