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코는 아홉살 (1990~) ちびまる子ちゃん | |||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일상 | |
원작 | 사쿠라 모모코 | ||
감수 | 미야나가 마사타카(宮永正隆)[1] (1~2화) 시바야마 츠토무 (2~850화) | ||
감독 | 시바야마 츠토무 (1기) 스다 유미코(須田裕美子)→타카키 준(高木淳) | ||
캐릭터 디자인 | 시게쿠니 유지(重国勇二) (1~113화) 카와치 히데오(河内日出夫) (1기 114~142화) 후나코시 히데유키(船越英之) (2기 1화~현재) 나카하라 히사후미(中原久文) (2기 1~130/132화) | ||
캐릭터 디자인보 | 코바야시 테츠야(小林哲也) | ||
문예 제작 | 안노 타카시 (1기) 미야나다 마사타카(1기 10~142화) 쿠마가이 나미(熊谷那美) 스즈야 리노(鈴谷梨乃) (2기) | ||
미술 감독 | 노무라 카나코(野村可南子) | ||
음악 | 나카무라 노부유키(中村暢之) 카와하라 신지(川原伸司) (2기 1~74화) | ||
음향 감독 |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 ||
음향 효과 | 마츠다 아키히코(松田昭彦) | ||
각본 협력 | 사쿠라 프로덕션(さくらプロダクション) | ||
제작 협력 | 라이브워크(ライフワーク) (1기) 아세아당 | ||
애니메이션 제작 | 닛폰 애니메이션 | ||
제작 | 후지 테레비 요미우리 광고사 (논크레딧) 닛폰 애니메이션 | ||
방영 기간 | 1990. 01. 07. ~ 1992. 09. 07. (1기) 1995. 01. 08. ~ 방영 중 (2기) | ||
방송국 | 후지 테레비 / (일) 18:00 투니버스, JEI 재능TV, 애니맥스 코리아, 애니박스 | ||
스트리밍 | TVING ▶애니맥스 3기, ▶대원방송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기: 142화 2기: 1393화 (2023. 07. 09. 기준) | ||
시청 등급 | 모든 연령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 | | (한국어) |
[clearfix]
1. 개요
사쿠라 모모코의 순정 일상만화 <모모는 엉뚱해>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작중 시대배경은 일본의 1970년대를 다루고 있다.2. 상세
닛폰 애니메이션에서 제작, 후지 테레비에서 1990년부터 방영되기 시작해서[2] 사자에상, 도라에몽과 함께 일본 3대 국민 애니메이션의 반열에 들어 있다. 참고로 저 3작품 중에서는 가장 최근에 나온 작품이다.[3] 특히, 사자에상과는 같은 방송국에서 일요일 오후 6시~7시 시간대에 연달아 방영하기 때문에 서로 경쟁하는 라이벌로 여겨지고, 일본인들에게 월요일을 가져다주는 악마같은 소녀와 유부녀 콤비 취급을 받고 있다. 사자에상처럼 평범하면서 전형적인 일본인의 삶에 대해 잘 다루고 있으니 평범하면서 전형적인 일본인의 삶에 대해 궁금하다면 추천한다. 다만, 나오는 내용은 1970년대 일본이라는 점은 고려하고 보자.시청률은 주로 사자에상에 이은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때문에 2인자 이미지가 강하다. 다만, 최고 시청률 기록은 본작이 조금 더 높다.[4] 2010년대 후반 이후부터는 명탐정 코난과 2위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경합하고 있다.[5]
영상 소프트는 포니캐년이 전부 맡아왔는데, 1기[6]는 1996년 VHS가 발매된 이후, 한번도 영상 소프트화가 되지 않았다가 2006년에 DVD-BOX화되었다. 발매된지 한참 지난 절판된 DVD-BOX가 다 그렇지만 감독이 시바야마 츠토무에 모리 야스지, 유아사 마사아키, 고토 마사코, 후지모리 마사야, 사토 타츠오, 사토 준이치, 타카마츠 신지, 사카모토 사부로 같은 유명 스태프가 다수 참여해 평이 좋고 인기가 많아 중고가가 상상을 초월한다. 마루코는 아홉살 팬들도 지금 하는 시리즈는 국민 애니로서 볼 거 없을 때 틀어놓으라고 보는 애니로 생각하지 진짜를 보려면 이 1기를 봐야한다고 말한다. 2020년 기준 중고품이라도 10만~20만엔 정도의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다. 그나마 이후 OTT 서비스에서 볼 수는 있게 되었는데 그럼에도 희소성 때문에 DVD 가격은 떨어지지않고 있다.
2기[7]는 1998년부터 2년 동안 VHS로 발매되다가 한참동안 영상 소프트화가 되지 않았지만, 2009년부터 DVD의 발매를 시작하였다. 2기는 1기보다 평가는 애매하지만 그래도 이어서 꾸준한 재미가 있어 국민 애니메이션으로 계속 방영 중이다. 2기 애니메이터 중에서는 사이다 토시츠구가 유명하다.
채색도 그렇고 칙칙한 분위기나 쓴웃음을 자아내는 블랙 코미디적 요소[8]가 많이 가미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크레용 신짱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요소가 많이 희석되었다. 후지키 시게루, 마루오 스에오, 나가사와 키미오처럼 음침하고 칙칙한 분위기로 요상한 개그를 치던 캐릭터들도 밝아진 작화 분위기에 동화되어 분위기가 조금 희석된 편.
작가 사후에도 애니메이션을 계속 방영하겠다고 방송사 측에서 밝혔다. 공교롭게도 사쿠라 모모코가 유방암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일본의 4대 국민 애니메이션[9]의 원작자가 모두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3.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모모는 엉뚱해/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주제가
4.1. 메인 주제가
일본 레코드 대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1959년 | 1960년 | 1961년 | 1962년 | 1963년 |
<rowcolor=#FFF> 제1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제5회 | |
「黒い花びら」 | 「誰よりも君を愛す」 | 「君恋し」 | 「いつでも夢を」 | ||
<rowcolor=#FFF> 1964년 | 1965년 | 1966년 | 1967년 | 1968년 | |
<rowcolor=#FFF> 제6회 | 제7회 | 제8회 | 제9회 | 제10회 | |
「愛と死をみつめて」 | 「柔」 | 「霧氷」 | 「ブルー・シャトウ」 | 「天使の誘惑」 | |
<rowcolor=#FFF> 1969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1973년 | |
<rowcolor=#FFF> 제11회 | 제12회 | 제13회 | 제14회 | 제15회 | |
「今日でお別れ」 | 「また逢う日まで」 | 「喝采」 | 「夜空」 | ||
<rowcolor=#FFF> 1974년 | 1975년 | 1976년 | 1977년 | 1978년 | |
<rowcolor=#FFF> 제16회 | 제17회 | 제18회 | 제19회 | 제20회 | |
「襟裳岬」 | 「北の宿から」 | 「勝手にしやがれ」 | 「UFO」 | ||
<rowcolor=#FFF>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
<rowcolor=#FFF> 제21회 | 제22회 | 제23회 | 제24회 | 제25회 | |
「魅せられて」 | 「雨の慕情」 | 「ルビーの指環」 | 「北酒場」 | 「矢切の渡し」 | |
<rowcolor=#FFF>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
<rowcolor=#FFF> 제26회 | 제27회 | 제28회 | 제29회 | 제30회 | |
「長良川艶歌」 | 「ミ・アモーレ」 | 「愚か者」 | 「パラダイス銀河」 | ||
<rowcolor=#FFF> 1989년 | 1990년 | 1991년 | |||
<rowcolor=#FFF> 제31회 | 제32회 | 제33회 | |||
<rowcolor=#FFF> 엔카 | 팝 | 엔카 | 팝 | ||
「淋しい熱帯魚」 | 「恋唄綴り」 | 「北の大地」 | 「愛は勝つ」 | ||
<rowcolor=#FFF>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
<rowcolor=#FFF> 제34회 | 제35회 | 제36회 | 제37회 | ||
<rowcolor=#FFF> 엔카 | 팝 | ||||
「白い海峡」 | 「君がいるだけで」 | 「無言坂」 | |||
<rowcolor=#FFF>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rowcolor=#FFF> 제38회 | 제39회 | 제40회 | 제41회 | 제42회 | |
「TSUNAMI」 | |||||
<rowcolor=#FFF>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
<rowcolor=#FFF> 제43회 | 제44회 | 제45회 | 제46회 | 제47회 | |
「Dearest」 | 「Voyage」 | 「Sign」 | |||
<rowcolor=#FFF>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rowcolor=#FFF> 제48회 | 제49회 | 제50회 | 제51회 | 제52회 | |
「一剣」 | 「蕾」 | 「Ti Amo」 | 「Someday」 | ||
<rowcolor=#FFF>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rowcolor=#FFF> 제53회 | 제54회 | 제55회 | 제56회 | 제57회 | |
「フライングゲット」 | |||||
<rowcolor=#FFF>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rowcolor=#FFF> 제58회 | 제59회 | 제60회 | 제61회 | 제62회 | |
「インフルエンサー」 | 「シンクロニシティ」 | 「パプリカ」 | 「炎」 | ||
<rowcolor=#FFF> 2021년 | 2022년 | 2023년 | |||
<rowcolor=#FFF> 제63회 | 제64회 | 제65회 | |||
「CITRUS」 | 「Habit」 | 「ケセラセラ」 | }}}}}}}}} |
ED&OP おどるポンポコリン 춤춰요 폼포코링 (투니버스) 춤추는 폼포코링 (애니맥스, 대원방송)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TV ver.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TV ver. (투니버스)[10]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TV ver. (애니맥스)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TV ver. (대원방송)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Full ver. | ||
<colbgcolor=#ff6347,#ff6347><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B.B.퀸즈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정선혜 (투니버스, 애니맥스)/이은조, 박준원 (대원방송) | |
작사 | 사쿠라 모모코 | |
작곡 | 오다 테츠로(織田哲郎)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투니버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애니맥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대원방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춤추는 폼포코린[11]은 일본에서는 1990년 오리콘 차트 1위는 물론, 그 해 일본 레코드 대상을 차지한 곡이기도 하다. 흥겨운 멜로디와 작품 분위기에 걸맞은 가볍고 두서없는 가사, 삐빠라삐빠라는 추임새까지 더해서 응원곡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명실상부한 본작을 대표하는 노래. 특히, 일본의 중장년층들에게는 일본 경제의 최전성기를 떠올리게 하는 추억을 선사하는 노래. 특히 중간에 쓸데없이 멋있는 남자 보컬의 "땃 따 따라리라~"가 압권이다.#
앨범은 대략 130만장이나 팔렸다. 애니송 중에서는 역대 1위의 판매량으로 아직까지 깨지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오랫동안 깨질 일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1990년에 발매된 곡들 중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았던 곡은 200만장이 넘게 팔린 KAN의 愛は勝つ였으나 이 곡은 1990년과 1991년 두 해에 걸쳐서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것이었기 때문에 1990년 한 해 판매량에 한해서는 춤추는 폼포코링 쪽이 더 많았다.[12]
작사는 원작자인 사쿠라 모모코가 담당하였으며 작곡은 주로 빙 계열 아티스트에 곡을 제공해 코무로 테츠야와 함께 1990년대 일본의 대표적인 작곡가였던 오다 테츠로. 노래는 B.B. 퀸즈라는 빙 계열 혼성 그룹이 불렀다.[13]
NHK BS계열 채널에서 매년 방송하는 NHK BS 영원의 음악 애니메이션 주제가 대전집(NHK BS 永遠の音楽 アニメ主題歌大全集)이라는 추억의 애니송을 부르는 가요무대나 7080 콘서트 분위기의 프로그램이 있는데, 2005년의 마지막 합창곡이었다. 참고로 2006년이 철완 아톰, 2007년이 도라에몽, 2008년이 호빵맨이라는 식이다. 위상을 짐작해보자. 후렴구 부분이 중독성이 강하다. 여담으로 DDR 3rdMIX에서 IN THE NAVY 99를 불렀던 가수 "CAPTAIN JACK"도 노래를 시전하셨다. 제목은 그대로 "DANCING POMPOKOLIN". 가사는 일본어 의미 그대로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DDR 5th MIX에 수록되었다.
이박사가 일본에 진출할때 이 곡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커버한 적이 있다. 이박사의 일본 진출이 1996년이었으므로 사실상 작품보다 노래가 먼저 한번 번역이 되었던 셈. 자세한 건 Encyclopedia of Pon-Chak 참조.
여담으로 B.B.퀸즈에 대해서 잠시 설명을 하자면 주로 애니송이나 코믹송을 부르던 그룹으로 1990년 2월에 나가토 히로유키가 프로듀싱을 하고 오다 테츠로와 하야마 타케시의 두 사람이 이들의 음악감독을 담당하였다.
멤버들의 경우에는 츠보쿠라 유이코 (보컬)와 콘도 후사노스케 (보컬·기타)를 중심으로 쿠리바야시 세이이치로 (베이스), 모치즈키 에이스케 (키보드), 마스자키 타카시 (기타), 코러스를 담당한 여성 3인방인 무라카미 하루카, 와타나베 마미, 우토쿠 케이코로 구성되어 있다. 그후 3년동안 짧게 활동한끝에 1993년에 해산하였다.
4.2. OP
- 『ゆめいっぱい』 꿈이 가득[14][15]
노래: 세키 유미코(関 ゆみ子)[16] / 작사: 아란 토모코(亜蘭知子), 개사(투니버스 한정): 장동준 / 작곡·편곡: 오다 테츠로
기간: 1990년 1월 7일~1992년 9월 27일(1기 최종회까지)
콘티 시바야마 츠토무, 원화 유아사 마사아키.
- 『うれしい予感』 즐거운 예감[17]
노래: 와타나베 마리나(渡辺満里奈)[18]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오타키 에이이치(大瀧詠一) / 편곡: CHELSEA[19]
기간: 1995년 1월 8일~1996년 6월 2일
콘티 및 원화 유아사 마사아키. 1995년 7월 16일 방영된 28화에서는 마루코 역의 TARAKO와 타마 역의 와타나베 나오코가 커버한 버전이 흘렀다.
- 『ハミングがきこえる』 Humming이 들려
노래: 카히미 카리(カヒミ・カリィ)[20] / 작곡: 오야마다 케이고 / 작사: 사쿠라 모모코
기간: 1996년 6월 9일~1998년 6월 28일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오가타 치에리가 커버하기도 했다.
- 『おどるポンポコリン』 춤추는 폼포코린[21]
노래: ManaKana, 이즈미야 시게루(泉谷しげる)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 편곡: 사하시 토시히코
기간: 1998년 7월 5일~1999년 12월 19일
- 『Kinkiのやる気まんまんソング』 Kinki의 의욕 만만 송
노래: KinKi Kids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이이다 타케히코(飯田建彦) / 편곡: 나가오카 세이코우
기간: 2000년 1월 9일~10월29일
이 오프닝부터 디지털로 제작된다.
- 『おどるポンポコリン』 춤추는 폼포코린
노래: B.B. 퀸즈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기간: 2000년 11월 5일~2009년 12월 27일[22], 2011년 1월 9일~4월 24일, 2011년 6월 5일~2014년 4월 27일[23]
이 오프닝 타이틀은 이박사가 개사해 부르기도 했으며 그의 앨범인 Encyclopedia of Pon-Chak에도 수록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응원단에서도 응원가 '인샬라'로 개사해 사용하였다.[24]
- 『おどるポンポコリン』 춤추는 폼포코린(ちびまる子ちゃん방송 20주년 기념)
노래: 키무라 카에라(木村カエラ)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 편곡: 이시노 타큐
기간: 2010년 1월 10일~12월 26일[25]
- 『おどるポンポコリン』 춤추는 폼포코린 (치비 마루코 탄생 25주년 기념곡)
노래: B.B. 퀸즈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 편곡: 하야마 타케시(葉山たけし)
기간: 2011년 5월 1일~2012년 9월 2일[26]
- New 『おどるポンポコリン』 뉴 춤추는 폼포코린
노래: E-girls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 편곡: ArmySlick
기간: 2014년 5월 4일~2016년 4월 3일
2014년 6월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 그리고 2015년 7월 19일부터 9월 6일까지는 이벤트를 진행해 시청자가 춤추는 영상이 흘렀다.
- 『おどるポンポコリン(2016年バージョン)』 춤추는 폼포코린(2016년 버전)
노래: GOLDEN BOMBER[27]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기간: 2016년 4월 10일~2019년 3월 31일
- 『おどるポンポコリン(2019年バージョン)』 춤추는 폼포코린(2019년 버전)
노래: 모모이로 클로버 Z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 편곡: NARASAKI[28]
기간: 2019년 4월 7일~현재
4.3. ED
1기 (1990~1992年)- 『おどるポンポコリン』 춤추는 폼포코린
노래: B.B. 퀸즈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편곡: 오다 테츠로
기간: 1990년 1월 7일~1991년 3월 31일
콘티 스다 유미코(須田 裕美子), 원화 유아사 마사아키, 후나코시 히데유키(船越英之).
- 『走れ正直者』 달려라 정직자
노래: 사이조 히데키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편곡: 오다 테츠로
기간: 1991년 4월 7일~1992년 9월 27일
콘티 스다 유미코, 원화 유아사 마사아키.
2기 (1995年~)
- 『針切じいさんのロケン・ロール』 침절할아버지의 로큰롤
노래: 우에키 히토시, TARAKO[29]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Sheb Wooley / 편곡: Rinky O'hen[30]
기간: 1995년 1월 8일~1996년 5월 26일(1년 4개월)
28화에서는 토모조 역의 토미야마 케이와 각각 마루코/타마/하나와/마루오 역의 TARAKO/와타나베 나오코/키쿠치 마사미/토비타 노부오가 커버한 버전이 흘렀다.
- 『あっけにとられた時のうた』 어이없을 때의 노래
노래: 타마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치쿠 토시아키(知久寿焼)
기간: 1996년 6월 2일~1998년 6월 28일
- 『ゆめいっぱい』 꿈이 가득
노래: TARAKO, 와타나베 나오코 / 작사: 아란 토모코 / 작곡: 오다 테츠로
기간: 1997년 7월 27일
- 『じゃがバタコーンさん』
노래: ManaKana / 작사·작곡: 사쿠라 모모코 / 편곡: 오야마다 케이고
기간:1998년 7월 5일~1999년 6월 27일, 1999년 9월 5일~2001년 9월 23일
2000년 9월부터 영상이 리뉴얼되었다.
- 『ちびまる子音頭』 치비마루코 온도(음두)[31]
노래: ManaKana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편곡: 사하시 토시히코
기간: 1999년 7월 4일~1999년 8월 29일
- 『休日の歌』 휴일의 노래
노래: DELiGHTED MINT / 작사: DELiGHTED MINT, U-SKE / 작곡·편곡: U-SKE
기간:2001년 10월 7일~2003년 3월 30일
- 『宇宙大シャッフル』 우주 대셔플
노래: LOVE JETS[32]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이마와노 키요시로(忌野清志郎)
기간: 2003년 4월 6일~2004년 7월 4일
- 『呪い』 저주
노래·작사·작곡: 야마자키 하코(山崎ハコ) / 편곡: 이시카와 타카히코(石川鷹彦)
기간: 2002년 7월 7일
FNS 27시간 TV에서 방영된 특별편에서만 흐른 엔딩곡. 또한, 야마자키는 해당 회차에서 본인 역으로 녹음에 도전하였다. 한편, 엔딩 영상이 무서워서 항의가 빗발쳤다는 모양.
- 『人生いろいろ』 인생 여러가지
노래: 시마쿠라 치요코(島倉千代子) / 작사: 나카무라 다이자부로(中村大三郎) / 작곡: 하마구치 쿠라노스케(浜口庫之助)
기간: 2003년 6월 29일
마찬가지로 FNS 27시간 TV에서 방영된 특별편에서만 흐른 엔딩곡. 엔카가수 시마쿠라 치요코가 본인 역으로 녹음에 도전하였다. 사용곡은 본디 엔카로, 시마쿠라 치요코가 1986년 낸 100만장 이상이 팔린 대히트 곡이기도 하다.
- 『アララの呪文』 아라라의 주문
노래: 마루코+폭추문제(爆チュー問題)[33]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 오카모토 마요(岡本真夜) / 편곡: 마츠바라 켄(松原 憲)
기간:2004년 7월 11일~2012년 3월 25일
2010년 1월 10일부터 영상이 리뉴얼되었다. 엔딩 곡으로써는 가장 사용기간이 길다.
- 『100万年の幸せ!!』 100만년의 행복!!
작곡·편곡·노래: 쿠와타 케이스케 / 작사: 사쿠라 모모코
기간:2012년 4월 1일~2017년 10월 1일
2014년 5월부터는 일부 영상이 변경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곡이 사용된 2017년 10월 1일에는 쿠와타 케이스케가 본인 역으로 출연.
- 「すすめナンセンス」
노래: puffy / 작사: 사쿠라 모모코 / 작곡·편곡: 오다 테츠로
기간: 2017년 10월 8일~2019년 9월 29일
- 「いつもの風景」 평소의 풍경
작곡·편곡·노래: 사이토 카즈요시(斉藤和義) / 작사: 사쿠라 모모코
기간: 2019년 10월 6일~현재
방송 전에 사쿠라 모모코가 세상을 떠나면서 그녀가 마지막으로 작사를 담당한 곡이 되었다.
5. 해외 공개
5.1. 대한민국
한국에선 2004년을 기점으로 방송국을 옮겨다니며 드문드문 방송되고 있다.- 투니버스에서 최초로 시리즈를 수입하여 2004년 10월 15일부터 방송하였다. 번역은 정영인, 연출은 김이경 PD였다. 제작사 측에서 현지화하지 말아달라는 요청을 하여, 여타 투니버스 저연령 타겟 작품과는 달리 인물명에 대한 현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애니메이션 내의 모든 일본어가 나오는 부분은 자막 처리한 채 그대로 내보냈으며, 화폐도 엔 단위인 등 말 그대로 목소리만 번역한 상태였는데, 어차피 일본의 1970년대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므로 현지화가 어렵기는 했다. 다만 일부 캐릭터 이름은 발음하기 쉽게 수정하긴 했다.
1995년판 1~100화를 1기로 편성해서 2005년 가을까지 약 1년간 방영한 이후, 2006년 4월부터 101~150화를 2기로 편성했다. 하지만 시청률이 썩 안 좋았는지 투니버스에서는 편성이 사라지고 계열사인 퀴니를 통한 편성이 많아졌는데, 이마저도 2007년 2월 28일 폐국되고 투니버스에서 밤 시간대에 재방하다가 몆 달도 못가서 아예 온미디어 계열에서 편성이 전부 빠져버렸다. 그러다가 해당 방영분이 재능TV을 통해서 2009년 7월(1기)과 2010년 5월(2기)에 각각 재방영되었으나 이것도 얼마 가지 못했다. 2007년에 형설출판사가 '형설아이' 브랜드로 해당 시즌 내용을 축약한 어린이용 만화책을 냈다.
- 그렇게 잊혀져가는 듯 싶더니만, 2012년 3월 뜬금없이 키다리스튜디오에서 수입해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투니버스 미방영분을 새로 더빙해 방영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2013년 3월과 2014년 3월 2기와 3기까지 방했다. 공식 채널의 3기 영상분을 추정해볼 때, 현지의 2007~2009년 방영분을 세 기수에 걸쳐 방송한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은 후리기획, 연출은 애니맥스 소속 전은정 PD. 방송국이 바뀔 때마다 캐스팅이 바뀌는 날아라 호빵맨처럼의 전면적인 캐스팅 변경은 아니라 투니버스판의 캐스팅을 최대한 유지했으며, 비교적 최근 에피소드들을 수입한 덕분에 투니버스판에 비해 화질이 확연하게 좋다. 현지화의 경우 1기에선 투니판과 같이 완전히 그대로 나갔으나, 2기에서 CG 및 편집 담당이 자체에서 외주 제이포스트로 바뀌면서 엔딩 장면을 비롯해 일본어 표기들을 수정하기 시작했다. 다만 화폐가 원 단위로 바뀐 것이 옥에 티. 또한 크레딧도 글꼴과 색깔 모두 교체되었는데 1기보다 더 깔끔해지고 알아보기 쉬워졌다.
- 이후 2021년 5월에 애니박스를 포함한 대원방송 채널들을 통해 new 마루코는 아홉살을 방영하기 시작한다. 2019년의 1180회부터 방송되었다. 이선희 번역, 성호진 연출. 애니맥스 후반부 시절처럼 전면적인 화면수정을 거쳤으나, 제작비 등 어른의 사정의 이유로 투니버스(~애니맥스)판 캐스팅이 유지되지 못하고 전부 변경되어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 이 중에서 미스캐스팅도 상당히 많은 편이고, 특히 전태열의 할아버지 역은 억지로 노인 목소리를 내는 듯한 어색한 느낌이 난다는 평이 많아 아쉬운 여론이 많다. 하다못해 주연급이라도 기존 성우진이 유지됐으면 좋았을 거라는 의견도 많다.[34]
여담으로 가족들의 말투도 높임말 대신 반말을 쓰게 바뀌었다.[35]
주제가의 경우, 현지에서는 드문드문 주제가가 변경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방송국이 바뀌었음에도 '춤춰요 폼포코링'과 '꿈이 한가득'만 커버되고 있다. 사실 한국은 한 시즌에서 오프닝 곡과 엔딩 곡을 수시로 바꿔대는 일본과 다르게 한 곡만 밀고 간다. 단 각 방송국별로 주제가는 각각 새로 번안했는데, 시청자들에게 가장 강렬하게 각인된 투니버스판의 가사 저작권이 운영사 CJ ENM 측에 있는 관계로 애니맥스와 대원에서는 같은 노래에 대해 개사를 새로 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애니맥스판은 지나친 직역과 주제가 믹싱 퀄리티로 팬들의 아쉬움을 낳은 바 있다. 오프닝은 마루코역의 성우가 각각 담당하여, 투니버스판과 애니맥스판은 정선혜, 대원판은 이다은이 각각 맡았다.
투니버스 판이 시청자들에게 가장 강렬하게 각인되어 있는데 문준오의 코러스가 워낙 찰지기 때문이다. 대원판 같은 경우 개사 자체는 나쁘지 않고 박준원 성우의 코러스도 나름 찰지게 잘 불렀지만[36] 대원 특유의 발믹싱 때문에(…) 코러스가 잘 안들려 아쉽다는 평이 많다. 애니맥스 같은 경우 가사는 직역난발에 발믹싱 때문에 노래 자체가 아예 흥이 안난다. - 투니버스판 오프닝 '춤춰요 폼포코린' / 엔딩 '꿈이 한 가득'
- 애니맥스판 (1기) 오프닝 '춤추는 폼포코린' / 엔딩 '꿈이 한 가득'
- 대원방송판 오프닝 '춤추는 폼포코린'
한국 마루코는 아홉살 유튜브 공식 채널에는 2023년 9월 30일 기준 741화까지 공개되어 있다. 반면 투니버스판은 한때 동영상 사이트 내지 포털사이트 블로그, 웹하드 등에 널렸다가 사이트 측의 저작권 단속, 업로더의 활동 중단 등으로 전부 삭제되었기에 내용을 알려면 형설출판사 만화책판에 의지해야 한다.
5.2. 중화권
동북아 국가 중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마루코가 더 인기있는 나라가 중화권인데, 1994년 스타TV 대만판을 통해 표준 중국어로 처음 더빙 방영한 뒤, 1995년부터 홍콩 i-CABLE 어린이 채널(有線兒童台)에서도 광둥어로 더빙 방영한 후 지상파와 케이블을 가리지 않고 수차례 확대편성 중이다. 방영 당시 대만 및 홍콩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2015년에 3기 극장판을 정식 수입했고, 2017년에 대만에서 TV 드라마로 리메이크된 데다 2022년 춘절을 기해 중일합작 극장판을 개봉할 계획이지만, 2022년 1월 개봉이 취소됐다.6. 미디어 믹스
6.1. 극장판
극장판도 제작되었으나 도라에몽, 짱구는 못말려와는 반대로 극장판은 자주 나오지 않는다. 모든 작품은 사쿠라 모모코가 작성한 각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일부 장면은 자기가 그리기도 했다.6.1.1. 극장판 1 오노 군과 스기야마 군
아세아당 제작.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스다 유미코. 레이아웃은 유아사 마사아키.극장판 2탄 만큼은 아니더라도 이쪽도 연출이 상당히 잘 되어서 상당한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단점으로는 극장용 시나리오로 삼기에는 너무 평범한 내용이라서 다소 지루할 수 있다는 것.
6.1.2. 극장판 2 내가 좋아하는 노래
아세아당 제작.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스다 유미코.사쿠라 모모코는 디즈니의 판타지아, 비틀즈의 Yellow Submarine 같은 노래를 베이스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을 동경해 이런 작품을 제작하고 싶다고 애니메이션 제작사에 요청했다. 음악을 많이 넣고 음악과 화면을 맞춰서 연출하는 음악 영화로 연출했다. 상당한 제작비를 투입해 셀 화 매수는 전작 극장판의 2배를 사용했다. 완성도가 매우 높아 마루코는 아홉살 극장판 최고 명작으로 꼽힌다. 노래만 나오는 것도 아니고 스토리도 제대로 이어진다.
그러나 노래 때문에 저작권이 꼬인 상태이므로[37] VHS, LD로는 출시되어 있으나 DVD, BD는 물론 유료 VOD 콘텐츠조차 발매되지 않았다. 제작진 말로는 앞으로도 발매할 수 없을 것이라고. 그래서 TV 방영이나 재상영 이벤트를 기다려야 하는 작품이 되고 말았다. 일단은 TV 방영이나 이벤트 상영을 위해 디지털 화질 복원은 해놨다. 본 작품이 방영된다고 발표되면 트위터 등에서 소식이 대대적으로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단, 다행히 2023년 1편과 함께 블루레이가 발매되었으며 4월 1일부터 일본 넷플릭스에 수록되어 볼 수 있게 되었다.
음악 장면의 경우, 유아사 마사아키, 후나코시 히데유키[38], 코바야시 츠네오, 후지모리 마사야 등 당시 아세아당에 소속되었던 애니메이터나 연출가가 담당했다. 또한, 감독인 시바야마 츠토무도 음악 장면에 참여했다.
6.1.3. 극장판 3 이탈리아에서 온 소년
2015년 제작. 내가 좋아하는 노래 이후, 23년 만에 제작되었다. 감독은 TV판의 타카기 준. 각본은 사쿠라 모모코가 직접 작성했다. 사쿠라 모모코가 2018년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원작자의 손을 댄 마루코 시나리오가 되었다.감독이 극장판 영화 감독을 한 것이 이번이 처음이라서 연출에도 문제가 있고, 작화도 극장판치고는 좋은 편이 아니며 연예인 더빙 캐릭터를 잔뜩 추가한 탓에 욕을 먹고 흥행에서 망하고 말았다.
6.2. 게임화
게임화의 절반 가까이를 타카라(기업)에서 담당했다. 물론 타카라의 게임사업 특성상 대부분은 외주를 준 것이겠지만...
- ちびまる子ちゃん おこづかい大作戦!(치비마루코짱 용돈 대작전!)(1990. 12. 7. / 타카라 / 게임보이)
- ちびまる子ちゃん2 デラックスまる子ワールド(치비마루코짱 2 디럭스 마루코 월드)(1991. 9. 13. / 타카라 / 게임보이)
- ちびまる子ちゃん うきうきショッピング(치비마루코짱 두근두근 쇼핑)(1991. 10. 4. / 남코 / 패밀리컴퓨터)
- ちびまる子ちゃん 「はりきり365日」の巻(치비마루코짱 "의욕 활활 365일"의 권)(1991. 12. 13. / 에폭 / 슈퍼 패미컴)
- ちびまる子ちゃん クイズでピーヒャラ(치비마루코짱 퀴즈로 삐햐라)(1992. 1. 10. / 남코 / PC 엔진)
- ちびまる子ちゃん わくわくショッピング(치비마루코짱 콩닥콩닥 쇼핑)(1992. 1. 14. / 남코 / 메가 드라이브)
- ちびまる子ちゃん3 めざせ!ゲーム大賞の巻(치비마루코짱 3 노려라! 게임 대상의 권)(1992. 3. 27. / 타카라 / 게임보이)
- ちびまる子ちゃん4 これが日本だよ! 王子さま(치비마루코짱 4 이것이 일본이야! 왕자님)(1992. 8. 7. / 타카라 / 게임보이)
- ちびまる子ちゃん まる子デラックス劇場(치비마루코짱 마루코 디럭스 극장)(1995. 5. 26. / 타카라 / 게임보이)
미니게임 모음집을 표방하고 있지만, 사실상 장르는 도박. 게다가 금액 단위가 엔이라 빼도 박도 못한다. 돈이 0엔이 되면 게임 오버되는 주제에 운빨 요소가 꽤 심한데, 그렇다고 쉬운 도박을 들고 오는 NPC로 파밍을 하려하자니, 그것도 막혀있어서, 게임 난이도가 상당히 문제가 있는 쿠소게다(...) - ちびまる子ちゃん いっしょにあそぼうよ(치비마루코짱 같이 놀자)(1995. 7. 25. / 타카라 / 피코)
- ちびまる子ちゃん めざせ! 南のアイランド!!(치비마루코짱 노려라! 남쪽 섬!!)(1995. 12. 1. / 코나미 / 슈퍼 패미컴)
- ちびまる子ちゃんの対戦ぱずるだま(치비마루코짱의 대전 퍼즐 구슬)(1995. 12. 15. / 코나미 / 세가 새턴)
- ちびまる子ちゃん まる子絵日記ワールド(치비마루코짱 마루코 그림일기 월드)(1995. 12. 22. / 타카라 / PlayStation)
- ちびまる子ちゃん まる子デラックスクイズ(치비마루코짱 마루코 디럭스 퀴즈)(1995. 11. 27.(아케이드), 1996. 1. 26.(네오지오) / 타카라 / 네오지오)
정가 32,780 엔[39]
퀴즈 게임으로 출시했는데 수량이 처참한 탓인지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었다.
현재 네오지오 게임 중에 가장 비싼 소프트이다(500만 엔 이상). - ちびまる子ちゃん ご町内みんなでゲームだよ!(치비마루코짱 마을 사람 모두와 게임이야!)(2001. 8. 10. / 에폭 / 게임보이 컬러)
- ちびまる子ちゃんDS まるちゃんのまち(치비마루코짱 DS 마루짱의 마을)(2009. 2. 5. / 반다이 남코 게임즈 / 닌텐도 DS)
- ちびまる子ちゃんとおかしの国(치비마루코짱과 과자 나라)(2012. 12. 17.(Android), 2013. 1. 8.(iOS) / Beeline Interactive Japan / Android, iOS)
- ちびまる子ちゃんと迷路のまち(치비마루코짱과 미로 마을)(2013. 10. 1. / Beeline Interactive Japan / Android)
- ちびまる子ちゃん Dream Stage(치비마루코짱 Dream Stage)(2016. 5. 4. / Animoca Brands, 닛폰 애니메이션 / Android, iOS)
7. 기타
- 애니메이션화 20년 특집이 정말 감동적이다. 기묘한 이야기 역시 20주년을 맞이 하였는데, 두 작품이 크로스오버되어 방영된 부분. 주연 배우는 일본의 원로 배우 니시다 토시유키.
- 일본의 국민적 애니메이션 중 하나이다 보니 여기저기 게스트 출연하는 경우도 꽤 있다. 특히나 모노마네 관련 방송에서 마루코의 성대모사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올 경우, 진짜 마루코와의 전화연결이라는 형식으로 자주 출연하는 편. 하지만 이 때는 역시 어린이들의 꿈을 해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담당 성우인 TARAKO의 명의까지는 표기가 되어도 절대로 사진까지 공개되는 일은 없다고.[40]
- 치비마루코쨩, 도라에몽과 같은 시대배경의 1970년대를 다룬 한국의 대표적인 만화는 검정 고무신이 있다.
- 도라에몽이나 명탐정 코난처럼 장기 방영 중인 인기 애니메이션에는 늘상 괴담이나 도시전설이 한두개 정도 따라붙는게 보통인데, 이 작품에도 도시전설이 좀 있다. 그 중에서 설득력이 조금 있는 이야기가 "사라진 마루코의 친구"라는 이야기.
- 마루코의 절친 하면 타마쨩으로 잘 알려진 호나미 타마에가 유명하지만, 사실 방영 초기에는 절친 3인방이었다. 만화판에선 1권부터 등장[41]을 했으며, 애니메이션에선 4화부터 등장하여 142화까지 100화 넘게 등장을 했던 이토 유미코, 애칭은 유미쨩이란 캐릭터인데, 초기 방영 시에는 거의 타마쨩과 마찬가지로 레귤러적 존재였다. 그러던 것이 어느 날부터 슬슬 등장횟수가 줄더니 142화 이후로는 아예 캐릭터 자체가 사라졌으며, 2000년대 이후로는 아예 학생명부에서마저 사라져 버렸다. 물론, 지금까지 등장은 했는데 학생명부에서 이름이 사라진 캐릭터는 상당수[42]이고, 이 중에는 가끔 뜬금없이 재등장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다 해도 100화 넘게 거의 레귤러 캐릭터에 가깝던 아이가 어느 순간 완전히 사라져버린 건 이 유미코 뿐이라고 한다.
- 이러한 이유로 유미코에 관련된 괴담이 생겨나게 되는데, 그 내용은 이렇다. 사실, 마루코는 아홉살의 등장인물 중 상당수는 실존인물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인데, 유미코 역시 작가인 사쿠라 모모코의 어렸을 적 친구가 모티브인 캐릭터였다고 한다. 애니화되면서 이런저런 이유로 등장 캐릭터들의 실제 모티브가 된 인물들을 찾아 멋대로 작품에 출연시킨 것을 사과도 할 겸, 오랜만에 옛 친구들을 만나기도 할 생각에 수소문을 하는 와중에 유미코의 모티브가 된 인물의 근황도 확인했는데, 실은 이 인물이 고교입학 후에 심각한 왕따의 피해자가 되어 자살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작가 입장에서는 어렸을 적 친구[43]가 비참한 이유로 자살을 해버렸기 때문에 차마 계속해서 등장시킬 수가 없었고, 제작진 측에서도 치비 마루코 쨩이라는 작품의 이미지상 실존인물이 왕따를 당해서 자살한 사람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 좋을 것이 없는 관계로 은근슬쩍 캐릭터 자체를 묻어버리게 되었다는 것.
물론, 이후 2009년판 게임에서 얼굴이나마 등장을 하긴 했고, 타 작품에도 슬쩍 얼굴을 비춘적이 있기 때문에 아예 캐릭터 자체를 삭제해 버린건 아닌 듯 하지만 초기 주연급 캐릭터가 아무런 이유도 없이 은근슬쩍 사라지는 것이 흔한 예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러한 도시전설이 흘러다니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어쨌든 확실하게 알려진 이유는 없는 터라 소문만 더욱 무성할 뿐이지만 다른 추측으로는 긴 애니화 및 연재 기간 동안 작품 자체적으로 어느 정도 방영 시기의 정서에 맞게 내용적으로 리뉴얼 작업이 있었고 이에 따라 신 캐릭터들의 투입 및 낡은 캐릭터들의 교체 등 물갈이 가 있었다는 것. 특히 2000년대 무렵엔 거의 대대적 물갈이 격으로 캐릭터의 등장이나 소멸 등이 심했던 때였는데 방영 시기의 정서에 맞지 않는 구 캐릭터가 사라지기도 하고 신캐릭터가 별 반응없이 묻히거나 개성을 인정받아 이후로도 쭉 살아남기도 한 시기이다. 유미코 의 경우도 좀 앞서서 그런 물갈이의 일환으로 사라진 것일 뿐이라는 것.
참고로 한국에서는 앞서 언급했다시피 1995년판부터 수입을 했기 때문에 이토 유미코가 얼씬도 안하며 당연히 성우도 없다.
- 안산 OK금융그룹 읏맨은 16-17 시즌에 외국인 선수 마르코 보이치(1988)를 기용했다. 그리고 경기를 관람하던 한 관객은 마르코는 스물아홉살이라는 치어풀을 꺼냈고, 이는 방송에 잡혔다. 당연한 소리지만 그 관객은 '마루코는 아홉살'을 알고 있었다.
- 2024년 3월 8일, 주인공 마루코의 성우 TARAKO가 3월 4일에 안타깝게도 사망했다는 부고가 전해졌다. # 급사라서 녹음해둔 분량도 별로 없어 고인을 추모하는 재방송을 당분간 하고 나서 빠른 시일 안에 성우를 교체할 것이라고 했고 이후 2대 성우로 키쿠치 코코로가 결정되었다 한다.#
8. 둘러보기
일본의 장편 주간 TV 애니메이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69년 | 1979년 | 1988년 | 1990년 |
사자에상 (후지 TV) 2800회+ | 도라에몽 (TV 아사히) 2440회+ | 날아라 호빵맨 (닛폰 TV) 1650회+ | 마루코는 아홉살 (후지 TV) 1410회+ | |
1992년 | 1993년 | 1993년 | 1996년 | |
짱구는 못말려 (TV 아사히) 1230회+ | 닌자보이 란타로 (NHK) 2270회+ | 내친구 호비 (TV 도쿄) 1350회+ | 명탐정 코난 (닛폰 TV) 1130회+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4년 | |
포켓몬스터 (TV 도쿄) 1300회+ | 오자루마루 (NHK) 1880회+ | 원피스 (후지 TV) 1110회+ | 프리큐어 (TV 아사히) 860회+ | |
방영년도 순으로 정렬, 방영 분량 10분 이상, 21세기에도 방영한 작품, 임시로 몇 개월 이상 중단하거나 하지 않고 종영까지 주간으로 연이어 방영되어온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종영작도 포함 | }}}}}}}}} |
[1] 음악평론가.[2] 1992년 종영 후 그 자리엔 <천하일품 도시락(원제: 츠요시 정신차려)>이 2년 간 그 자리를 메꿨으며, 1995년에 재개한 뒤 지금까지 방영되고 있다. 참고로 1992년부터 3년간 일시적으로 종영된 이유는 원작자가 애니메이션 제작 결정 당시 "어떤 작품이든 좋은 상태로 계속할 수 있는 수명은 3년. 그 이상 무리하게 계속해도 작품의 질이나 가치가 떨어질 뿐."이라고 밝히며 길어야 3년만 방송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이 엄청난 인기를 끌며 이른 종영을 아쉬워하는 여론이 많았기에 원작자가 마음을 바꾸고 속편 제작을 승낙해 1995년부터 다시 방영이 재개된 것이다.[3] 사자에상은 1969년, 도라에몽은 현재 방영중인 테레비 아사히판의 경우 1979년부터 방영이 시작되었다.[4] 1990년 10월 14일에 기록한 39.9%. 사자에상은 1979년 9월 16일에 기록한 39.4%가 최고 기록. 참고로 역대 애니 1위는 철완 아톰이 1964년 1월 25일에 기록한 40.3%.[5] 90년대 후반~00년대 초중반에는 코난이 2위의 이미지가 강했었다. 시간대 변동 이후 코난의 시청률이 떨어지며 마루코가 그 자리를 다시 차지했다가 현재는 명탐정 코난이 조금 더 우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2010년대 중반에는 크레용 신짱, 도라에몽, 원피스 등 여러 경쟁작들이 있었는데 현재는 이 작품들 모두 3위권 밖으로 밀려나고 있다.[6] 1992년 1차 종영 이전 방영분까지.[7] 1995년 방영 재개 이후 방영분.[8] 인물들의 자학 개그나 망상, 병맛을 가미해주는 BGM, 내레이션의 일침 등.[9] 사자에상, 도라에몽, 마루코는 아홉살, 짱구는 못말려.[10] 여담으로 2017년 4월 8일 TWICE의 태국 콘서트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 공연 후, V앱에서 다시 부르기도 했다.[11] 방영 초기에는 엔딩곡으로 쓰였지만, 오프닝곡으로 쓰인 기간이 훨씬 긴지라 현재는 오프닝곡 취급(…)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곡이 엔딩곡으로 사용될 때, 오프닝곡으로 사용된 '꿈이 가득'은 국내 방영판에서 엔딩곡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 이후, 2014년에 일본의 인기 댄스 걸그룹 E-girls에 의해 리메이크되어 다시 불러지면서 주목받았다.[12] 참고로, 1989년 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자는 그 유명한 일본의 전설적인 걸그룹 듀오 Wink의 <외로운 열대어>였으며 당시에는 걸그룹 역사상 최초 수상자이기도 했다.[13] 그러나 정작 저 히트곡의 주인공인 B.B. 퀸즈는 저 곡을 내놓았을 때가 사실상 자신들의 마지막 전성기였고, 춤추는 폼포코링이 발매된지 1년이 지나고 나서는 B'z/CHAGE and ASKA/ZARD같은 일본 가요계의 거물급 가수들이 떠오르는 바람에 별다른 성적을 내지 못하면서 사실상 그대로 묻혀버렸다.[14] 애니맥스 코리아판과 대원방송판에서는 위 오프닝 영상이 엔딩으로 쓰였다.[15] 초기 더빙판 엔딩곡이 오프닝으로 제작되려 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초기판 더빙판 엔딩가사와 일본 초기 오프닝 장면의 조화가 상당히 잘 맞다 이와 관련해 누군가가 합성을 해둔 영상도 있다 #[16] 현재는 아리마 유미코(有馬ゆみこ)로 활동명을 바꾸었다.[17] 투니버스판에서는 위 오프닝의 영상이 엔딩으로 쓰였다.[18] 전 오냥코 클럽 멤버.[19] 실제로는 오오타키 에이이치의 다른 명의이다.[20] 시부야계 전성기를 대표하는 가수며 작곡을 담당한 오야마다 케이고하고 한때 연인 사이였다. 덕후들에게는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의 네기시 소이치가 팬인 가수로 유명하다.[21] B.B. 퀸즈의 노래하고 조금 다르다.[22] 오프닝 사용기간으로써 9년 가까이 사용되어 최장기록이며, 2005년 9월 25일 방송부터 영상이 리뉴얼 되었다. 투니버스판은 2005년 이전영상을 오프닝 영상으로, 애맥판에서는 2005년 영상을 오프닝 영상으로 사용함.[23] 오리지널 곡과 똑같으나 오프닝 영상이 리뉴얼 되었다.[24] '사용했다'고 서술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이는 엄연한 표절이었고, 일본문화가 개방되기 전에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일본 노래를 도둑질한 것이다. 당시 이 문제를 강력히 비판하는 신문사설등도 나왔지만, 그 후에 연세대측이 저작권료를 지불하여 문제를 잘 해결했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25] 방송 20주년 기념으로 특별 1년한정사용.[26] 해체되었다 재결성한 비비 퀸즈 멤버들이 다시 한 번 노래를 부른다. 오프닝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화되어 멤버들이 출연한다.[27] 오프닝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화되어 멤버들이 출연한다.[28] COALTAR OF THE DEEPERS에서 보컬, 기타, 베이스를 맡고 있으며, 특촬(밴드)에서도 기타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29] TARAKO의 경우, 본편의 스탭롤에는 표기되지 않았다.[30] 실제로는 오오타키 에이이치의 다른 명의이다.[31] 온도는 일본 전통의 마쓰리에서 함께 추는 춤이다.[32] 이마와노 키요시로의 다른 명의.[33] 일본의 오와라이 콤비 폭소문제(爆笑問題)의 다른 활동명이자 쥐 캐릭터. 출처[34] 허나 지금은 비공개 처리되었지만 성호진 PD의 블로그 포스트에 의하면 대원 쪽에서 예산을 적게 주어 부득이하게 갈아엎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즉, 예산문제로 인한 것라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할아버지 성우를 최낙윤, 이현, 안효민 등 대원방송 성우극회 성우들 중 노인 연기를 잘 소화하는 성우로 캐스팅하는 선택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성우들 중 굳이 젊은 배역에 특화된 전태열을 캐스팅한 점은 성호진 PD의 실책이라고 볼 수 있다.[35] 대원판 기준. 마루코는 예외.[36] 특히 마지막 샤우팅은 속된 말로 투니버스판 급으로 매우 쩐다.[37] 그도 그럴게 오오타키 에이치나 호소노 하루오미, 타마같은 쟁쟁한 뮤지션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38] 애니메이터.[39] 소비세 미 포함 29,800 엔[40] 그러나 다른 방송에선 얼굴을 내미는 경우도 있다.[41] 정확히는 이름만 등장, 본인이 직접 등장한건 3권부터.[42] 약 30명 가량.[43] 앞서 언급되었듯이 초기에는 거의 절친 3인방이라고 할만한 비중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제로도 어렸을 적 대단히 친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