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 이스라엘-시아파갈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발단: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
<colbgcolor=#009000><colcolor=#FFF> 對이란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2024년 10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
對헤즈볼라 | 2023년 10월 헤즈볼라 포격 · 2024년 레바논 및 시리아 무선호출기 테러 · 북쪽 화살 작전 · 2024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 |
對후티 | 홍해 위기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4년 예멘 공습) · 아스피데스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독립전쟁 ,1775 ~ 1783, | <colbgcolor=#fff,#191919> | ||
유사전쟁 ,1798 ~ 1800, | | ||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 | ||
미영전쟁 ,1812 ~ 1815, | | ||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 | ||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 | ||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 | ||
제2차 아편전쟁 ,1856, | | ||
남북전쟁 ,1861 ~ 1865, | | ||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 | ||
포르모사 원정 ,1867, | 파이완족 | ||
신미양요 ,1871, | | ||
하와이 침공 ,1893, | | ||
미국-스페인 전쟁 ,1898, | | ||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 | ||
의화단의 난 ,1900 ~ 1901, | | ||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 | ||
니그로 반란 ,1912, | | ||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 | ||
아이티 점령 ,1915 ~ 1934, | | ||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 | ||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 ||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 | ||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 |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 | ||
서부전선 ,1941 ~ 1945, | | ||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 | ||
그리스 내전 ,1944 ~ 1948, | | ||
6.25 전쟁 ,1950 ~ 1953, | | ||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 | ||
피그만 침공 ,1961, | | ||
베트남 전쟁 ,1964 ~ 1973, | | ||
라오스 내전 ,1964 ~ 1973, | |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 ||
EC-121 격추 사건 ,1969, | | ||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 | ||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 |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 ||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 | ||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 | ||
그레나다 침공 ,1983, | | ||
레바논 내전 ,1982~1984, | | ||
리비아 공습 ,1986, | | ||
사마귀 작전 ,1988, | | ||
파나마 침공 ,1989, | | ||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 | ||
걸프 전쟁 ,1990 ~ 1991, | | ||
모가디슈 전투 ,1993, | | ||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 | ||
보스니아 내전 ,1995, | | ||
무한 도달 작전 ,1998, | | ||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 | ||
코소보 전쟁 ,1999,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 <colbgcolor=#fff,#191919> | ||
이라크 전쟁 ,2003 ~ 2011, | | ||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 | ||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 | ||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 | ||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 | ||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 ||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 | ||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 | ||
대IS 군사 개입 ,2014 ~ 현재, | 제2차 이라크 내전 ,2014 ~ 2017, | | |
시리아 내전 ,2014 ~ 현재, | | ||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 | ||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 | ||
하샴 전투 ,2018, | | ||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 | ||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 | ||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 | ||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 | ||
홍해 위기 , 2023 ~ 현재, |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 |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 | ||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 | ||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미상 친이란 민병대 | ||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사건 Attacks on the MV Maersk Hangzhou |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일부 홍해 위기의 일부 번영의 수호자 작전의 일부 | ||
날짜 | 2023년 12월 30일~12월 31일 | |
장소 | 홍해 | |
결과 | 후티 해군 격퇴 및 머스크 항저우호 구출 성공. | |
교전 세력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머스크 해운 | [[예멘| ]][[틀:국기| ]][[틀:국기| ]] (최고정치위원회) |
전력 | USS 그래블리 USS 라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MH-60 헬리콥터 1대 머스크 해운 보안팀 | 보트 4척 |
피해규모 | 민간 상선 1척 손상 | 3척 격침, 10명 이상 사살 |
[clearfix]
1. 개요
홍해에서 벌어진 미 해군과 예멘의 시아파 무장단체 후티 사이에 벌어진 해전. 미국이 2016년에 이어서 8년 만에 후티를 상대로 직접 무력을 행사한 교전이기도 하다.[1]2. 배경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하자 후티는 하마스에 대한 전적인 지지를 선언하면서 홍해를 지나가는 선박에 대한 공격을 선언했다. 홍해는 전세계의 주요 물류 유통망 중 하나이기 때문에 물류 대란을 일으켜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서방세계를 압박하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그래서 후티는 대함 탄도 미사일과 자폭드론과 대함미사일 등을 이용해 홍해를 지나가는 선박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지만 홍해 무역로를 보호하기 위해 파견된 미 해군에 의해 족족 요격되면서 실패로 끝났다. 그러자 미사일 공격과 동시에 직접적으로 함정을 파견해 선박을 나포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변경했고 마침 홍해를 지나가던 머스크 해운 소속 항저우호가 목표가 되었다.
3. 교전
12월 30일 후티가 항저우호를 향해 대함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고 이것이 명중하면서 함선이 손상을 입자 미 해군은 즉각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라분과 그래블리를 파견해 항저우호를 호위했다. 후티는 추가적으로 대함 탄도 미사일 두 발을 발사했는데 이번에는 그래블리가 두 발을 전부 요격하는데 성공했다.12월 31일, 후티 소속 무장보트 4척이 항저우호에 접근했고 항저우호에 보안팀으로 탑승하고 있던 중무장한 PMC컨트랙터들이 후티와 교전을 벌였다. 후티의 무장보트에는 기관총과 대전차 미사일이 장착되어 있었다. 미 해군 MH-60 헬리콥터가 항저우호의 PMC 컨트랙터들을 지원하기 위해 접근했는데 이 때 후티 해군에서 헬리콥터를 향해 조준 사격을 가했고 미 해군 헬리콥터는 자위권 차원에서 즉각 응사했다. 그 결과 후티측 보트 3척이 격침되고 10명 이상이 사망했다. 나머지 보트 1척은 미 해군의 공격을 피해 퇴각했다.
손상을 입은 항저우호는 자력항행은 가능했지만 머스크 사는 끝내 홍해에서의 해운 활동을 잠정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4. 관련 보도
[1] 2016년에는 후티가 미 해군 함정을 향해 C-802 대함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명중에 실패했고 미 해군이 응징 차원에서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 향해 발사해 후티 대함레이더 시설을 폭격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