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유럽 | |||||||
대한민국 | 중국 | 러시아 | 오스트리아 | 루마니아 | ||||
불가리아 | 크로아티아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
북마케도니아 | 알바니아 | 코소보 | 헝가리 | 튀르키예 |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미국 | 호주 | |||||||
다자관계 | ||||||||
세르비아·알바니아·코소보 |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 세르비아·코소보·북마케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유럽 | |||||||
대한민국 | 헝가리 | 이탈리아 |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몬테네그로 | 러시아 | 오스트리아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다자관계 | ||||||||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 }}}}}}}}}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1. 개요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관계. 양국은 유고슬라비아 전쟁기간에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갈등을 빚었고 현재도 그리스-튀르키예 관계, 헝가리-루마니아 관계를 뺨칠 정도로 사이가 나쁘다.2. 역사적 관계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는 슬라브라는 한 뿌리에서 발생해 6~7세기 디나르알프스산맥으로 이주한 남슬라브를 공통적 기원으로 보지만 산맥을 두고 동서에서 각기 다른 문화권과 교류하며 이후 10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서로 다르게 발전했다. 크로아티아는 아드리아해에 이해관계를 두고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다가 중세의 크로아트 왕국이 헝가리 왕국과의 동군연합을 이룬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으면서 헝가리 문화와 독일 문화의 영향을 받은 반면, 세르비아는 상대적으로 동쪽의 내륙에 자리를 잡았다가 동로마 제국의 쇠락과 맞물리는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 국체를 상실한 채 탄압받고 봉기하기를 반복하는 역사를 겪었다.오늘날까지 양국은 20세기 여러 차례의 비극을 바탕으로 대체로 나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한적인 분야에서 교류하고 있다.
2.1. 중세
슬라브족의 이동으로 6~7세기에 걸쳐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발칸반도 전지역에 슬라브족이 자리잡았는데, 그 중 서부인 달마티아 속주의 디나르알프스산맥에 자리잡은 남슬라브인이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의 기원이 되었다. 현지에 잔존해 있던 로마인들은 통혼으로 슬라브화되었고 달마티아에는 크로아티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 등이 세워졌다.세르비아인은 동로마 제국의 세력권 아래에서 정교회, 키릴 문자를 받아들이고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크로아티아인들도 초기에는 동로마에 세폐를 납부하였지만 아드리아해에서 동로마 제국의 영향력이 쇠퇴하면서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는다. 두 남슬라브 제족은 일찍이 이 시기부터 서로 다른 문화권과 접하며 각자의 문화를 형성해 나갔다. 그래도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권력자들이 각기 권력분쟁에서 패해서 망명할 때 서로 받아주기도 했을 정도로 양국 간의 관계는 나쁘지 않은 편이었다.
2.2. 근세
프랑크 왕국이 무너진 후 크로아티아에는 크로아티아 공국을 거쳐 크로아트 왕국이 수립되었으나, 헝가리 왕국의 칼만에게 무릎꿇으면서 1102년부터 헝가리와 동군연합이 되었다. 세르비아 왕국은 동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다가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했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를 정복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한편 헝가리 왕국은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1세가 지배하는 합스부르크 왕령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왕국, 오스만 제국 직할령인 오스만 헝가리, 헝가리인의 자치 공국이나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는 에르데이 공국으로 3분할 되었다.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 전역과 에르데이 공국, 크로아티아 왕국의 슬라보니아 지역을 탈환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세르비아 일부 지역까지 진출한 합스부르크 가문은 세르비아인을 모집해 슬라보니아, 헝가리 남부 국경지대[1]로 이주시켰고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은 이 지역에서 얽혀 지냈다. 1739년 벨그라드 조약이 체결되면서 합스부르크 제국이 세르비아를 반환하자 오스만 제국의 탄압을 피해 세르비아인 상당수가 합스부르크 제국의 국경지대로 이주했다.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1848년 헝가리 혁명이 발발했을 때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모두 합스부르크 가문을 지원하여 헝가리인에 맞섰다.
2.3. 19세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이 약화가 눈에 띄게 보이기 시작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발칸반도에 진출했다. 그리고나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2] 하지만 러시아 제국과 세르비아 왕국이 반발했다.19세기 민족주의 운동이 싹틀 때 크로아티아는 헝가리 민족주의에 맞서 일리리아 민족주의를 추구했고, 세르비아는 대세르비아주의를 추구하며 천 년간 별다른 접점이 없었던 두 민족이 부딪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인 입장에서 세르비아는 모든 남슬라브인의 땅을 흡수하고 마침내는 크로아티아 문화를 절멸시키려는 팽창주의적 정복국가였고, 세르비아인 입장에서 크로아티아는 대국에 국체를 의탁한 주제에 독립강국에 대한 열망으로 견뎌온 자신들의 확장욕구를 폄하하는 변절자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산하의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과 세르비아 왕국은 이러한 관점 차이로 수 세기 전부터 이미 민족감정이 좋지 못했고 사라예보 사건이 발생했을 때 크로아티아인 중 세르비아 전선에서 세르비아 측으로 탈영한 경우는 드물었다.[3]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합중국안이 비록 실현 가능성은 낮았지만 크로아티아에 이득이 되는 타협안이었고 세르비아인은 남슬라브 통일을 위해 이중제국 해체를 기도하고 이 제안에 반대하는 등 정치적 의견 반목도 깊어져 있었다.
2.4. 20세기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이 일어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했다. 이에 러시아 제국이 세르비아를 지지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었고 세르비아 왕국은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선포했다. 당시 이스트리아 반도는 이탈리아 왕국의 영토였다.크로아티아인들은 세르비아 왕국을 못미더워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로 치닫을 무렵 이탈리아 왕국의 확장 야욕 등 열강의 압력을 개별 국가들로서는 방어해 내기 버겁다는 판단 아래 크로아티아는 차악을 선택하여 세르비아의 남슬라브 통일안에 동의했다. 하지만 권력 중심이 베오그라드로 크게 기울고 군인과 정계 인사들이 세르비아인으로 가득 채워지면서 통합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대세르비아주의에 편향된 행보를 이어가다 나치 독일의 침공으로 무기력하게 망했고, 고삐가 풀린 두 민족은 우스타샤와 체트니크로 대표되는 쌍방 학살로 돌이키기 어려운 강을 건넜다.[4]
1919년 3월에서는 크로아티아인 거주 지역에서 선거가 실시되었고 스테판 라디치가 이끄는 농민당이 다수당이 되었다. 라디치는 크로아티아 정치인들에게 세르비아에 가담하는 것을 신중하게 생각하도록 조언한 사람이었다. 선거에서 승리한 이후 스테판 라디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공개적으로 공화주의를 요구했다는 죄목으로 체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나치 독일이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점령했다. 크로아티아인은 크로아티아 독립국을 세우고 나치 독일에 부역하여 세르비아인을 학살하였다. 크로아티아 극우집단 우스타샤와 세르비아계 극우집단 체트니크와의 전쟁 과정에서 티토가 이끄는 파르티잔 세력이 유고슬라비아 전반의 민심을 얻었고 이는 후일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 이어진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의 패전이 계속되며 파르티잔과 소련군이 유고슬라비아에서 나치 독일을 몰아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유고슬라비아는 소련의 영향과 파르티잔의 승전에 힘입어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지만,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소련과 거리를 두고 서방 국가들과 가깝게 지내는 정책을 추진하며 소련과는 관계가 안 좋았다. 티토가 사망하기 전까진 유고슬라비아는 분열되지 않고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도 친하게 지냈으나 여전히 세르비아 위주의 국가에 불만을 품은 크로아티아인도 상당했다. 특히 크로아티아는 해변 관광지가 많아서 서방에서 온 관광객이 많았는데, 자국에서 번 외화가 세르비아 위주의 정권을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불만을 느끼는 국민들이 많았다.
80년대에 티토가 사망하면서 유고슬라비아는 분열하기 시작했다.
90년대초에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일어났다. 슬로베니아인 거주 지역은 전통적인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과 겹치는 구역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먼저 독립했지만,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는 양 민족 사이에 거주 지역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 90년대에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매우 격렬하게 싸웠고 양측간 학살이 발생했다. 1995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간의 학살이 발생했고 스레브레니차 학살까지 발생되었다.
2.5. 21세기
현재에도 양국은 갈등이 존재한다.[5] 게다가 크로아티아는 세르비아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언어에서도 세르보크로아트어가 아닌 크로아티아어라 표현하면서 차이점을 강조한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네오나치 정권이라고 주장하듯이, 세르비아에서도 크로아티아를 우스타샤 정권이라고 주장할 때가 있다.#세르비아산 초콜릿을 아이들에게 선물한 대통령이 사과를 표시하면서 크로아티아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고 세르비아는 인종주의적이라고 분노했다.#
2019년 11월 14일, 크로아티아는 세르비아측에 옛 유고연방 승계금 1억 4,850만 달러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3. 문화 교류
종교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이는 것과 달리 양국은 언어에서는 공통점이 많다. 특히,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가 매우 가깝다보니 세르보크로아트어라고 불리고 있다. 역사적인 이유로 세르비아는 정교회를 믿고, 크로아티아는 가톨릭을 믿는 등 종교적으로 차이가 있다. 또한, 문자에선 크로아티아가 로마자, 세르비아가 키릴 문자/로마자를 사용하고 있어서 차이가 있다.양국은 니콜라 테슬라가 서로 자국의 위인이라고 주장하면서 갈등을 빚고 있다.# 니콜라 테슬라는 오늘날 크로아티아 라카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세르비아인 정교회 사제의 아들로 태어났다.
4. 관련 문서
- 세르비아/외교
- 크로아티아/외교
- 유고슬라비아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세르비아/역사
- 크로아티아/역사
- 세르비아/경제
- 크로아티아/경제
- 세르비아인 /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1] 현재의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2] 명목상으로는 공동 관할이었으나 사실상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지배 하에 놓였다.[3]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슬라브계 민족들이 러시아 제국으로의 탈영 혹은 소수민족 거주 지역에서 해당 지역 소속 소수민족 병사들이 명령에 불복하는 일이 일상적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는 상당히 예외적인 경우였다.[4] 이때의 앙금은 전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독재 아래 억압되어 있다가 티토 사후 1991년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폭발하였고, 둘은 서로 함께할 수 없는 별개의 민족임을 확인하며 완전히 갈라섰다.[5] 대표적으로 다뉴브강 유역에서의 영토분쟁이 있으며, 이 지역에서의 영토분쟁으로 인해 일부 지역은 무주지로 잔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