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4:00:33

스넬의 법칙

스넬 법칙에서 넘어옴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질량중심) · 속력(속도 · 가속도) · 운동(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일률) · 에너지(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관성 좌표계 · 비관성 좌표계(관성력) · 항력(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블록 쌓기 문제 · 강체 · 응력(/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각가속도) · 각운동량(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자유도) · 변분법{오일러 방정식(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math(boldsymbol{nabla})]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자기력) · 전자기 유도(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전자석 · 영구 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비저항 · 도전율) · 전력(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휘트스톤 브리지) · RLC회로(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컴퓨터공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역장 · 장이론) · 물질파(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음향 앰프(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복사 · 전도(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굴절(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 · 전반사 · 수차(색수차) · 편광 · 뉴턴 원무늬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얇은 렌즈 방정식 · 두꺼운 렌즈) · 프리즘 · 거울(구면 거울 방정식) · 행렬광학 · (색의 종류 · RGB)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랜더링) · 폴리곤 · 헥스코드
생물 생체신호(생체전기 · BCI) · 신경계(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베버의 법칙 · 역치)
기타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 · 메타물질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1. 개요2. 수식3. 유도
3.1. 전자기파의 특성에서의 유도3.2. 페르마의 원리를 통한 유도3.3. 변분법을 통한 유도
4. 임계각5. 응용

1. 개요

Snell's law

을 비롯한 파동은 지나고 있는 매질의 성질에 따라서 다른 진행 속도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매질에 따른 속도의 차이에 의해 진행 방향이 꺾이는 굴절 현상이 일어난다. 스넬의 법칙은 이때 일어나는 파동의 굴절 현상을 정량적으로 정리하여 설명하는 법칙이다.

네덜란드의 수학자 겸 천문학자인 빌러브로어트 스널 판로연(Willebrord Snel van Royen)[1]이 발견했다.

2. 수식


파일:namu_스넬의 법칙_개요.png

[2]이 굴절률 [math(n_{1})]인 매질 I에 입사각 [math(\theta_{1})]으로 입사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빛은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빛과 굴절률 [math(n_{2})]인 매질 II에 투과되어 굴절되는 빛이 생기며, 반사의 법칙에 따라 반사광의 반사각은 입사각 [math(\theta_{1})]과 같고, 굴절광의 굴절각은 입사각과 다음의 관계에 있다.

[math( \displaystyle n_{1}\sin{\theta_{1}}=n_{2}\sin{\theta_{2}} )]

따라서 매질 I에 대한 매질 II의 상대 굴절률 [math(n_{12})]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displaystyle n_{12} \equiv \frac{n_{2}}{n_{1}}=\frac{\sin{\theta_{1} }}{\sin{\theta_{2}} }=\frac{v_{1}}{v_{2}}=\frac{\lambda_{1}}{\lambda_{2}} )]

여기서 [math(v_{i})]는 매질 [math(i)]에서의 빛의 속도, [math(\lambda_{i})]는 매질 [math(i)]에서의 빛의 파장이다.

여러 매질이 있을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math( \displaystyle n_{i}\sin{\theta_{i}}=\textsf{const.} )]

3. 유도

3.1. 전자기파의 특성에서의 유도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문서를 통해 매질에 경사 입사된 전자기파의 매질면의 파동이 연속적이라는 조건을 통해 스넬의 법칙을 얻어내었다. 해당 문서를 참조한다.

3.2. 페르마의 원리를 통한 유도

파일:namu_스넬의 법칙_페르마 원리.png

편의상 [math(xy)]평면 상에서 빛이 진행한다고 가정하자. [math(y>0)]인 구역의 굴절률을 [math(n_{1})], [math(y<0)]인 구역의 굴절률을 [math(n_{2})]라 하자. 여기서 [math({\rm P}(x_{1},\,d))]에서 [math({\rm{Q}}( x_{2},\,-d))]로 빛이 이동했다고 하자. 이때, [math(\rm P)]는 [math(y>0)]인 영역에, [math(\rm Q)]는 [math(y<0)]인 영역에 존재한다. 여기서 지나간 경계면의 [math({\rm B}(x,\,0))]을 지났다고 가정하자. 이때, 걸리는 시간은 굴절률 [math(n=c/v)]로 정의되는 점에 유의하면 시간은 지나간 거리를 속력으로 나누면 되므로

[math(\displaystyle t=\frac{n_{1}\sqrt{(x-x_{1})^2+d^{2}} }{c}+\frac{n_{2}\sqrt{(x_{2}-x)^2+d^{2}} }{c} )]

페르마의 원리에 따르면 이 값이 최솟값을 가져야 하므로

[math(\displaystyle \frac{{\rm d}t}{{\rm d}x}=0 )]

가 성립해야 한다.

[math(\displaystyle \frac{{\rm d}t}{{\rm d}x}=\frac{n_{1}}{c}\frac{x_{1}-x}{\sqrt{(x-x_{1})^2+d^{2}} }-\frac{n_{2}}{c}\frac{x_{2}-x}{\sqrt{(x_{2}-x)^2+d^{2}} }=0 )]

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n_{1} \cdot \frac{x_{1}-x}{\sqrt{(x_{1}-x)^2+d^{2}} }&= n_{2} \cdot \frac{x_{2}-x}{\sqrt{(x_{2}-x)^2+d^{2}} } \\ \\ \therefore n_{1}\sin{\theta_{1}}&=n_{2}\sin{\theta_{2}} \end{aligned} )]

이다. 이것은 위 그림의 그래프에서 간단한 삼각비를 적용하면 얻는다.

3.3. 변분법을 통한 유도


파일:namu_스넬법칙_변분법.png

이번에도 [math(xy)]평면에서 빛이 이동한다고 가정할 것이다. 이때, 빛의 궤적이 어떠한 함수 [math(y(x))]의 그래프를 따라간다고 가정하면, 미소 거리 [math({\rm d}s)]를 지날 때 걸리는 미소 시간은

[math(\displaystyle {\rm d}t=\frac{n(x)\,{\rm d}s}{c} )]

[math(n(x))]는 [math(x)]에서의 굴절률이다. 따라서 점 [math({\rm P}(x_{1},\,y_{1}) \to {\rm Q}(x_{2},\,y_{2}))]로 빛이 이동했다고 가정하면

[math(\displaystyle t=\frac{1}{c}\int_{x_{1}}^{x_{2}} n(x)\sqrt{1+y'^{2} }\,{\rm d}x )]

따라서 [math(t)]는 범함수가 되며, 이것이 최소화되려면 오일러 방정식

[math(\displaystyle \frac{\partial J}{\partial y}-\frac{{\rm d}}{{\rm d}x}\frac{\partial J}{\partial y'}=0 \qquad (J\equiv n(x)\sqrt{1+y'^{2} }))]

을 만족해야 한다. 이상에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rm d}}{{\rm d}x} \biggl[n(x) \cdot \frac{y'}{\sqrt{1+y'^2}} \biggr] &=0 \end{aligned})]

를 얻으므로 결국 각괄호 안은 상수가 돼야 한다.

[math(\displaystyle n(x) \cdot \frac{y'}{\sqrt{1+y'^2}}=\textsf{const.} )]

이때, [math(n(x) \geq 0)]이고, 위 식에 절댓값을 씌워

[math(\displaystyle n(x) \cdot\biggl| \frac{y'}{\sqrt{1+y'^2}} \biggr|=\textsf{const.} )]

임을 얻는다.

그런데 위 그래프의 점 [math(\rm R)]을 보면 결국 [math(y')]은 해당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고, 그 값은 점 [math(\rm{R})]에 [math(x)]축과 평행한 선을 그었을 때, 접선과 해당 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math(\theta)]라 하면 [math(\tan{(\pi-\theta)}=-\tan{\theta})]이고, [math(|y'|=\tan{\theta})]이다. 이상에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iggl| \frac{y'}{\sqrt{1+y'^2}} \biggr|&= \frac{|y'|}{\sqrt{1+|y'|^2}} \\&= \frac{\tan{\theta}}{\sqrt{1+\tan^2{\theta} }} \\ &= \frac{\tan{\theta}}{\sec{\theta}} \\&=\sin{\theta} \end{aligned} )]

따라서 다음의 스넬의 법칙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n(x)\sin{\theta}=\textsf{const.} \end{aligned} )]

4. 임계각

[math(n_{1}<n_{2})]가 성립할 때, 굴절률 [math(n_{2})]인 매질 II에서 굴절률 [math(n_{1})]인 매질 I로 빛을 [math(\theta_{2})]의 입사각으로 입사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특수 조건을 만족하면 굴절각 [math(\theta_{1}=90\degree)]가 되는데, 그 각을 임계각(critical angle)이라 한다. 이 임계각을 초과하는 입사각으로 빛을 입사할 시엔 전반사가 일어난다.

스넬의 법칙을 이용하여

[math( \displaystyle n_{2}\sin{\theta_{2}}=n_{1}\sin{(90\degree)} )]

임계각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theta_{2}=\arcsin{\biggl(\frac{n_{1}}{n_{2} }\biggr)} )]

5. 응용

  • 사이클로이드가 최단강하곡선이라는 것을 증명할 때 베르누이 요한이 "빛이 밀도가 점점 증가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층을 통과할 때 만드는 곡선을 찾아라" 라는 문제로 바꾸어 스넬의 법칙을 응용할 수 있었다.

[1] 빌러브로어트 스넬리우스(Willebrord Snellius)라고도 불린다.[2] 사실 빛뿐만 아니라 모든 파동에 대해서 유효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