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21:59: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별 결과/대경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별 결과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사전투표일 : KST 2024년 4월 5일 ~ 6일 (매일 6시 ~ 18시)
투표일 : KST 2024년 4월 10일 6시 ~ 18시
선거 이전
변수 · 상황 · 선거제 개편 논의 · 선거구 획정 · 선거구 · 여론조사
선거 진행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및 기호 · 지역별 후보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정당별 공천
선거 공약 · 선거 광고 · 선거 토론 및 연설 · 선거 방송 · 출구조사
개표
결과 분석
기타 연령별 결과 · 가상 시나리오
관련 문서
제22대 국회 · 제22대 국회의원 · 논란 및 사건사고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1. 대경권 전체2. 대구광역시
2.1. 지역구2.2. 비례대표2.3. 정당·인물 교체2.4. 총평
3. 경상북도
3.1. 지역구3.2. 비례대표3.3. 정당·인물 교체3.4. 총평

1. 대경권 전체

구분 범민주진보 범중도보수
더불어민주당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진보당 조국혁신당 국민의힘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지역구 0석 25석 0석
비례대표[A] 14.76% 1.97% 1.21% -% 12.20% 62.56% 4.11% 3.19%
종합[B] 0석 / 30.14% 25석 / 69.86%
국민의힘이 이번 선거에서 논란의 여지 없이 완벽한 승리를 거둔 유일한 권역이다. 민주당 후보에게 한 곳도 내주지 않았다. 하지만 민주당 입장에서도 출마한 후보자들이 모두 선거비 전액 보전을 받는 수준을 넘어 20~30%대의 득표율을 받으면서 이전보다 상향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비례대표지만 대경권 출신인 임미애 후보[3]가 당선되며 대경권 기반을 확보하게 되었다.#

다만 대경권의 경우 현역 초선 의원들은 모두 '신흥' 도전자에게 패배하며 인물 물갈이는 되었다. 이 현상에 대해 대구-경북 지역 언론인 영남일보는 대경 지역 정치권의 반응을 전하는 형식을 빌어 "초선 의원 특성상 지역구를 확실히 장악하지 못한 것이 패배의 원인이지만, 경선에서 패한 임병헌 · 김병욱 의원들이 모두 탈당 이력이 있다 보니 이것이 감점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

여성 의원이 다소 적다는 평을 듣던 대경권에서 유독 여성 후보들이 많이 당선되었다는 점도 22대 총선에서 대경권에서 벌어진 특이점 가운데 하나로 지적된다. 특히 경산 지역구에서 터줏대감이던 친박계 좌장 최경환을 접전 끝에 누르고 당선된 조지연 후보는 전국적으로 관심을 받은 여성 당선인이였다.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된 이달희 전 경북도 경제부지사 역시 TK 출신이다.

2. 대구광역시

지역구
파일:제22대 총선 대구광역시 지역구 결과.svg
국민의힘
12석
비례대표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국민의미래
9곳
정당별 대구광역시 지역구 득표율
정당 득표수 의석
득표율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03,723 12석
69.99%

파일:zsdkl3gasdg.svg
248,998 -
19.28%


[[무소속(정치)|
무소속
]]
53,158 -
4.11%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33,135 -
2.56%


[[새진보연합|
파일:새진보연합 로고타입 화이트.svg
]]
14,271 -
1.1%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13,297 -
1.02%


[[우리공화당(2020년)|
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492 -
0.96%

[[자유통일당|
파일:자유통일당 로고타입.svg
]]
6,086 -
0.47%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2,970 -
0.23%
선거인 수 2,050,457 투표율
63.99%
투표 수 1,312,276
무효표 수 24,146

2.1. 지역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지역구 내 후보별 상세 득표율에 대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대구광역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최다 최소 지역구
국민의힘 최다득표율 강대식
(76.13%)
최소득표율 김기웅
(57.91%)
더불어민주당 최다득표율 강민구
(30.33%)
최소득표율 박형룡
(24.68%)
  • 표차는 1, 2위 후보 비교
  • 굵은 글씨는 현역 의원과 당선자의 정당이 다른 지역구.[4]
  • 기타 후보는 선거 비용 반액 보전인 10% 이상 득표자.
대구광역시 개표 결과 (지역구)
정당
파일:zsdkl3gasdg.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기타


[[무소속(정치)|
무소속
]]
파일:국회휘장.svg
당선자
의석수 0석 12석 0석
득표율 19.3% 70.0% 10.5%
<colbgcolor=#f5f5f5,#191919> 중·남 허소
26.2%
김기웅
57.9%
도태우
15.8%
김기웅
(초선)
◀ 표차 31.7%p ▶
동·군위 갑 신효철
25.5%
최은석
74.4%
최은석
(초선)
◀ 표차 48.9%p ▶
동·군위 을 단일화 강대식
76.1%
황순규
19.4%
강대식
(재선)
◀ 표차 56.7%p ▶
무공천 김상훈
72.0%
서중현
27.9%
김상훈
(4선)
◀ 표차 44.1%p ▶
북 갑 박정희
27.2%
우재준
71.3%
우재준
(초선)
◀ 표차 44.1%p ▶
북 을 신동환
25.4%
김승수
67.8%
김승수
(재선)
◀ 표차 42.8%p ▶
수성 갑 강민구
30.3%
주호영
65.6%
주호영
(6선)
◀ 표차 35.3%p ▶
수성 을 단일화 이인선
72.8%
오준호
15.5%
이인선
(재선)
◀ 표차 57.3%p ▶
달서 갑 권택흥
28.6%
유영하
71.3%
유영하
(초선)
◀ 표차 42.7%p ▶
달서 을 김성태
27.5%
윤재옥
72.4%
윤재옥
(4선)
◀ 표차 44.9%p ▶
달서 병 단일화 권영진
67.0%
조원진
16.8%
권영진
(재선)
◀ 표차 50.2%p ▶
달성 박형룡
24.6%
추경호
75.3%
추경호
(3선)
◀ 표차 50.7%p ▶

2.2. 비례대표

최다 최소 자치구·군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 여백.svg
최다 득표율 달성군
(14.80%)
최소 득표율 군위군
(8.13%)


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
최다 득표율 군위군
(73.49%)
최소 득표율 중구
(56.59%)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최다 득표율 수성구
(6.51%)
최소 득표율 군위군
(2.71%)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다 득표율 수성구
(13.47%)
최소 득표율 군위군
(5.73%)
대구광역시 개표 결과 (비례대표)
정당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 여백.svg


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득표수
(득표율)
171,363표
(13.68%)
753,250표
(60.16%)
59,237표
(4.73%)
147,740표
(11.80%)
<colbgcolor=#f5f5f5,#383b40> 중구 14.57% 56.59% 5.83% 13.16%
동구 14.08% 59.59% 4.22% 12.15%
서구 12.38% 66.86% 3.47% 7.66%
남구 13.24% 62.52% 4.03% 10.47%
북구 14.71% 59.25% 5.06% 11.93%
수성구 12.34% 58.09% 6.51% 13.47%
달서구 13.86% 60.43% 4.26% 11.56%
달성군 14.80% 59.30% 3.86% 12.49%
군위군 8.13% 73.49% 2.71% 5.73%
[clearfix]

2.3. 정당·인물 교체

지역구 정당·인물 교체 상태
같은 정당
같은 인물
같은 정당
다른 인물
다른 정당
다른 인물
7곳
(58.3%)
4곳
(33.3%)
1곳
(8.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383b40> 같은 정당
같은 인물
동구·군위군 을(강대식)
서구(김상훈)
북구 을(김승수)
수성구 갑(주호영)
수성구 을(이인선)
달서구 을(윤재옥)
달성군(추경호)
같은 정당
다른 인물
동구·군위군 갑(류성걸최은석)
북구 갑(양금희우재준)
달서구 갑(홍석준유영하)
달서구 병(김용판권영진)
다른 정당
다른 인물
중구·남구(임병헌김기웅)
}}}}}}}}} ||

2.4. 총평

사실상 국민의힘이 명함을 내밀 수 있는 유일한 광역시가 되었다. 낮아도 60%대 중반, 대부분의 지역구들에서는 70%대의 득표율을 득표하며 민주당에게 한 지역도 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수성구 갑이나 중구·남구 등지에선 의외로 부진했다는 게 국민의힘 입장에선 아쉬운 것이라 봐도 무방하며[5][6], 범진보 단일화를 했던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새진보연합 후보가 출마해서 선거보전선을 넘는 유종의 미는 거뒀다.

한편 북구인 경우는 갑 지역과 을 지역의 격차가 상당히 줄어들었는데, 이는 후보의 인물론도 없진 않겠지만[7] 대구 북구 갑대구 북구 을에서 보듯이 칠곡지구의 평균 연령이 고령화된 데 반해, 북구 갑 지역은 대현동, 산격동 등지에 개발이 되면서 젊은 인구가 많이 몰려든 것이 한몫했다.

한편 녹색정의당인 경우는 수성구 갑 한 곳에만 후보를 냈는데, 득표율은 2.16%이 나와서 매우 저조했다.

3. 경상북도

지역구
파일:제22대 총선 경상북도 지역구 결과.svg
국민의힘
13석
비례대표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국민의미래
22곳
정당별 경상북도 지역구 득표율
정당 득표수 의석
득표율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56,570 13석
67.25%

파일:zsdkl3gasdg.svg
306,731 -
21.56%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0,740 -
9.19%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1,488 -
0.8%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9,044 -
0.63%

[[자유통일당|
파일:자유통일당 로고타입.svg
]]
4,668 -
0.32%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svg
3,466 -
0.24%
선거인 수 2,221,402 투표율
65.13%
투표 수 1,446,991
무효표 수 24,784

3.1. 지역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지역구 내 후보별 상세 득표율에 대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경상북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최다 최소 지역구
국민의힘 최다득표율 박형수
(83.33%)
최소득표율 조지연
(43.43%)
더불어민주당 최다득표율 김현권
(33.36%)
최소득표율 이윤희
(18.83%)
  • 표차는 1, 2위 후보 비교
  • 굵은 글씨는 현역 의원과 당선자의 정당이 다른 지역구.[8]
  • 기타 후보는 선거 비용 반액 보전인 10% 이상 득표자.
경상북도 개표 결과 (지역구)
정당
파일:zsdkl3gasdg.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기타


[[무소속(정치)|
무소속
]]
파일:국회휘장.svg
당선자
의석 수 0석 13석 0석
득표율 21.5% 67.2% 11.2%
포항 북 <colbgcolor=#ffffff,#000000> 오중기
28.9%
<colbgcolor=#ffffff,#000000> 김정재
62.3%
김정재
(3선)
표차 33.4%p
포항 남·울릉 김상헌
29.9%
이상휘
70.0%
이상휘
(초선)
표차 40.1%p
경주 한영태
24.2%
김석기
65.7%
김석기
(3선)
표차 41.5%p
김천 황태성
23.2%
송언석
65.7%
<colbgcolor=#ffffff,#000000> 박건우
10.9%
송언석
(3선)
표차 42.5%p
안동·예천 김상우
28.9%
김형동
67.4%
김형동
(재선)
표차 38.5%p
구미 갑 김철호
27.4%
구자근
72.5%
구자근
(재선)
표차 45.1%p
구미 을 김현권
33.3%
강명구
65.2%
강명구
(초선)
표차 31.9%p
영주·영양·봉화 박규환
26.2%
임종득
73.7%
임종득
(초선)
표차 47.5%p
영천·청도 이영수
19.5%
이만희
62.8%
김장주
15.8%
이만희
(3선)
표차 43.3%p
상주·문경 이윤희
18.8%
임이자
77.6%
임이자
(3선)
표차 58.8%p
경산 단일화 조지연
43.4%
최경환
42.2%
조지연
(초선)
표차 1.2%p
의성·청송·영덕·울진 무공천 박형수
83.3%
심태성
16.6%
박형수
(재선)
표차 66.7%p
고령·성주·칠곡 정석원
21.4%
정희용
76.2%
정희용
(재선)
표차 54.8%p

3.2. 비례대표

최다 최소 자치구·군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 여백.svg
최다 득표율 구미시
(17.84%)
최소 득표율 영덕군
(9.91%)


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
최다 득표율 영덕군
(70.69%)
최소 득표율 구미시
(56.43%)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최다 득표율 구미시
(3.80%)
최소 득표율 청송군
(2.34%)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다 득표율 포항시 남구
(13.45%)
최소 득표율 의성군
(6.11%)
경상북도 개표 결과 (비례대표)
정당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 여백.svg


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득표수
(득표율)
201,402표
(14.67%)
826,749표
(60.24%)
44,468표
(3.24%)
160,504표
(11.69%)
<colbgcolor=#f5f5f5,#383b40> 포항시 북구 15.46% 58.00% 3.74% 13.37%
포항시 남구 15.34% 58.33% 3.58% 13.45%
울릉군 13.32% 60.40% 3.07% 12.64%
경주시 14.26% 59.73% 2.86% 13.35%
김천시 14.61% 59.72% 3.24% 11.89%
안동시 16.94% 57.01% 3.22% 11.08%
구미시 17.84% 56.43% 3.80% 12.85%
영주시 14.55% 60.64% 3.02% 12.87%
영천시 13.74% 63.42% 2.87% 10.22%
상주시 12.73% 64.66% 2.50% 9.15%
문경시 11.71% 65.86% 2.47% 9.38%
예천군 14.75% 60.67% 3.07% 11.14%
경산시 14.43% 58.14% 3.64% 11.47%
청도군 10.19% 66.68% 2.65% 9.93%
고령군 10.65% 68.41% 2.48% 8.19%
성주군 10.69% 68.45% 2.88% 8.30%
칠곡군 15.44% 59.99% 3.42% 11.77%
의성군 11.61% 67.67% 2.64% 6.11%
청송군 11.08% 68.23% 2.34% 8.45%
영양군 13.78% 61.77% 2.39% 10.15%
영덕군 9.91% 70.69% 2.41% 7.50%
봉화군 13.25% 63.31% 2.51% 10.76%
울진군 12.36% 63.51% 2.74% 11.24%
[clearfix]

3.3. 정당·인물 교체

지역구 정당·인물 교체 상태
같은 정당
같은 인물
같은 정당
다른 인물
8곳
(61.5%)
5곳
(38.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383b40> 같은 정당
같은 인물
포항시 북구(김정재)
경주시(김석기)
김천시(송언석)
안동시·예천군(김형동)
구미시 갑(구자근)
영천시·청도군(이만희)
상주시·문경시(임이자)
고령군·성주군·칠곡군(정희용)
같은 정당
다른 인물
포항시 남구·울릉군(김병욱이상휘)
구미시 을(김영식강명구)
영주시·영양군·봉화군(박형수임종득)
경산시(윤두현조지연)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김희국박형수)
}}}}}}}}} ||

3.4. 총평

역시 대구와 같이 국민의힘에 압도적인 지지세를 준 지역이다. 다만 경주시에서 3당 합당 이후 민주당계 후보에게 역대 최다 득표율을 내준 것과 상주문경과 영천청도를 제외하면 민주당 후보에게 20%p대 득표율을 내준 건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

민주당인 경우는 출마한 모든 지역구에서 선거보전선을 받으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한편 경산시에서는 친박 핵심이자 이 지역에서만 내리 4선을 한 최경환 vs 처음 정식 후보로 출마한 조지연이란 말 그대로 애와 어른의 싸움 구도였는데, 당의 도움을 얻은 조지연이 약 1,600표 차이로 접전승을 거두는 말 그대로 이변을 보여줬다. 이로써 국민의힘은 TK 전역을 싹쓸이하는 데 성공했다.

[A] 전국 비례대표 득표율이 1%가 안 되는 군소정당과 무효표를 집계에 제외.[B] 지역구 의석 수 / 비례대표 득표율.[3] 지역 기반은 경북 의성군이다. 김현권 前 비례 의원의 아내이며, 과거 의성군의회와 경북도의회에서 의원 활동을 역임했다.[4] 공천 불복 무소속 출마는 고려하지 않음.[5] 수성구 갑인 경우는 한 때 민주당이 해볼만한 유일한 대구의 지역이였는데, 종합부동산세 파동 때문에 범어동/황금동 등의 보수화로 서구 뺨치는 보수 강세 지역으로 바뀐 지역인데, 여기서 30%를 내준 것이다. 심지어 5선의 주호영 vs 광역의원 경력만 있는 강민구 구도여서 거물급 끼리 대결인 지난 총선에 비해 더욱 더 체급 차이가 벌어졌는데도 저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6] 중구 남구는 알다시피 이재용의 개인기가 커서 민주당이 선전한 것이지, 정치성향 자체만 보면 서구와 뺨칠 정도로 보수세가 강하다. 그런데 거기에 달서구 을에 출마했던 허소 후보가 나와서 28%를 득표한 것이다.[7] 북구 갑 민주당 후보는 구의원 출신이다.[8] 공천 불복 무소속 출마는 고려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