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5:12:39

중국-네팔 관계

파일:중국 국장.svg 중국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내몽골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한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중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중일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인도·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몽골·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중국·인도·파키스탄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ASEAN 깃발.svg
아세안
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
오세아니아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제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가야-후한 관계 백제-수나라 관계 여요관계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유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다자관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인도·네팔·부탄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중국 네팔

[clearfix]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2.2. 20세기2.3. 21세기
2.3.1. 2010년대2.3.2. 2020년대
3. 경제 교류4. 영토 갈등5. 대사관6.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네팔의 관계. 중국과 네팔은 20세기에 외교를 맺었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대일로와 관련된 갈등이 시작되었고 중국이 네팔 영토 일부를 불법적으로 점거하면서 영토분쟁도 겪고 있다. 미중 패권경쟁이 시작된 이후 미국이 네팔에게 경제 및 군사협력을 강화하기 시작하자 중국 또한 적극적으로 교류량을 늘리긴 했지만 히말라야 및 에베레스트 산을 중국 내 티베트 자치주에 있는 티베트 민족 것이니 중국 것이라고 자극하는데다가 중국이 최근 반란군에게 무기 지원을 하는 등의 모습 때문에 더 경계하고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

청나라 건륭제 시절 네팔과 티베트사이에 전쟁이 벌어지고 네팔이 전쟁에 우위를 점하자 당시 티베트에 종주권을 행사하던 청나라가 이를 빌미로 네팔을 침공한다. 전쟁은 청나라의 승리로 끝났고 네팔은 청의 조공국이 되었다.

1814년 영국과 네팔간의 전쟁이 벌어지고 영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네팔은 영국에게 영토를 할양하고 독립을 유지했으나 사실상 영국령 인도제국의 번왕국이 되었다. 이때 청나라는 이 전쟁에 개입하지 않았고 이 전쟁으로 청나라와 네팔간의 종주관계는 청산된다.

2.2. 20세기

1960년대 중국-인도 국경분쟁이 일어나고 이 지역에서 중국과 인도의 긴장이 높아지자, 중국은 인도를 견제하기 위해 네팔에 여러 지원을 해줬다. 1980년대 왕정 시절에 네팔 마오이즘 반군이 반왕정 게릴라전을 펼쳤음에도, 중국은 네팔 정부군을 지지하였고, 마오주의 반군을 마오주의와 상관없는 단순 비적이라고 보도할 정도였다.[1] 1990년대 마오주의 공화주의자들이 왕정을 전복시키고 공화정이 세워졌고, 중국의 지원은 계속되었다.

2.3. 21세기

2.3.1. 2010년대

2010년대에 들어서도 중국은 네팔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니까 왕정시절이나 이후 공화정 시절이나 중국은 일관되게 네팔 정부를 지지해 왔으며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는 중국에 호의적이긴 하지만 집권 과정에서 중국의 지원을 받는 이력은 없었다.

하지만 네팔 민중들은 별로 중국에 대하여 친근함을 가지지 않는데 중국인 이민자들이 네팔에 와서 장사하는 게 조금씩 늘기 때문이라고 한다. 안 그래도 네팔은 산업화된 경제가 아니고 내륙국이라 실업자가 굉장히 많은 나라이니 외국인이 와서 장사하는 걸 아니꼽게 볼 수밖에. 안 그래도 티베트 망명자들도 차별을 많이 당하는 곳인데 이젠 중국인 숫자가 늘어나는 걸 더더욱 신경쓰는 분위기라고.

그러나 중국과 네팔이 티베트와 네팔을 잇는 철도공사를 중국과 합의하면서 중국과 가까워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중국은 인도를 견제하기 위해 네팔에 무역항이용권을 부여했다.#

물론 네팔 정부가 중국과 가까워지기 위해 부던히 노력하고는 있지만 현 시점에도 인도가 네팔에 끼치는 영향은 중국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다. 당장 2018년 네팔의 무역국 순위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수출,수입 모두 61%이니 부탄을 제외한 다른 남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봐도 훨씬 인도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다. 이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네팔이 중국,인도와 모두 경계를 맞대고 있다 해도 중국과 바로 경계를 맞댄 티베트는 중국에서도 변방이고 베이징같은 중국의 대도시들은 네팔에서 너무 멀기 때문이다. 사실 따지고보면 전술한 중국이 네팔에 부여했다는 무역항이용권도 있으나마나한 권리인 것이 네팔이 이용가능한 무역항 중 하나인 톈진에서 네팔 카트만두까지는 엄청나게 멀어서 직선거리로만 따져도 3,000km가 넘고, 이는 서울에서 베트남 하노이까지의 직선거리보다 먼 거리이다.(인도의 경우 카트만두와 콜카타의 직선거리가 600km 정도다. 서울에서 일본 구마모토 정도.) 이정도 차이면 네팔이 중국에게 받은 무역항이용권은 실익을 바라고 받은게 아닌 차라리 인도의 봉쇄조치에 보내는 항의 메시지로 보는 게 더 나을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화정 수립 후 인도를 견제하기 위한 네팔의 친중정책은 계속되고 있으며 #, 2019년 6월에는 아예 중국의 재정 지원 하에 필수 외국어로 중국어를 지정하였다. #

2.3.2. 2020년대

2020년 네팔 공산당 내분으로 총선을 시행하기로 하자 중국 공산당이 고위급 파견했다.#

네팔 정부가 자체 조사 결과 중국군의 자국 영토 침범 사실을 확인하고 내부 보고서까지 작성했다.#

2022년 4월 3일, 중국은 네팔과 철도, 에너지, 무역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8월, 양국을 잇는 히말라야 관통철도 개통에 양국이 합의했다.#

2024년 12월, 네팔이 일대일로 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3. 경제 교류

네팔은 전술했다시피 중국과의 경제 교류가 인도와 마찬가지로 높은 편이다. 중국도 네팔에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그리고 네팔도 일대일로에 참가했다. 하지만 부채로 인해 네팔 경제가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반중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4. 영토 갈등

중국이 네팔 국경 인근 지역을 불법 점령했다는 사실이 정부 보고서에서 드러났다. 중국이 지금까지 침략하여 불법 점령한 지역은 네팔 북부의 훔라, 카르날리, 라수 등의 지역이다. #

5. 대사관

중국은 카트만두에, 네팔은 베이징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6. 관련 문서



[1] 여기에는 그 당시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에 방해가 되는 마오주의를 탐탁지 않게 여긴 것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1 (이전 역사)
문서의 r8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