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청소년들이 주역으로 나오는 드라마.2. 특징
건전을 표방하긴 하지만, 그래도 어린이 드라마에 비해서는 나름 수위가 높아서 남녀 간의 사랑이나 주먹질하는 장면은 기본에 가깝다. 청소년은 초등학생에 비해서 성숙한 나이이기 때문이다. 다만 막장 드라마 등에 비하면 훨씬 건전하다. 쉽게 말해 어린이 드라마와 성인 드라마의 중간지점 수위를 가지고 있다. 어린이와 성인 중간에 놓인 단계가 청소년이니 당연한 말이다.주역들이 전부 청소년이라서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순수하기 때문에, 막장드라마에 나오는 어른들처럼 불륜을 저지르기엔 아직 순정이 존재하는 나이 특성 상 바람피는 장면은 따로 나오지 않는다. 솔로인 상태에서 삼각관계에 빠진 주인공 정도가 작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용이다. 이는 막장 드라마와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주 내용으로는 학교생활, 진로 고민, 친구 관계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 이성 문제, 부모와 자식 간의 갈등과 이해 등등이 있다. 그리고 여름철 한정 여름방학 특집으로 2회에 걸친 에피소드는 한 번씩은 나오는데, 주로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가면서 겪는 에피소드에 납량극 요소가 꼭 들어간다. 그리고 간혹 수영복, 속옷[1]을 입은 장면도 심심치않게 나오곤 한다. 초등학생이 보기엔 어렵고, 중고등학생이 보기엔 재미있고, 20대 초반까지도 재미있지만, 23살 정도만 돼도 다소 유치하게 느껴지는 장르이다.
당연하지만 주역들이 거의 전부다 중고등학생으로 나온다.
등장하는 중학교나 고등학교는 당연하지만 남녀공학이며 배경은 90% 이상이 서울이다. 전체 학년과 교실이 남녀합반인 학교로 나온다. 서울 소재의 전체 학년이 혼성반인 학교가 가장 스토리 짜기도 쉽고 이상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그렇게 방영된 것이다.
과거에는 제작 프로젝트를 1년 52회 정도로 길게 잡기 때문에 학기제를 따라 3월부터 시작, 다음 해 2월에 끝나는 식으로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미니시리즈 식으로 많이 제작된다.
1970년대에 하이틴 영화(특히 얄개시리즈)가 인기를 얻긴 했지만 1980년대 들어 청소년 드라마는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고, 오히려 청춘 드라마가 인기를 얻었다. 그러던 것이 1990년대 들어 MBC <사춘기>를 기점으로 청소년 드라마의 최전성기를 맞았다. 특히 1990년대 중후반 KBS, MBC, EBS 3사가 모두 한 작품씩 제작했던 적이 있었을 정도. 골라 보는 재미가 쏠쏠했다. 하지만 언제서부터인가 KBS와 EBS가 드문드문 제작하더니 요즘은 그마저도 좀 뜸한 편.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다. 청소년 드라마 특성상 적은 비용에 1년 계획으로 제작을 하지만, 매니아층을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어도 엄청난 시청률은 보장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청소년 드라마가 그렇듯, 연예인들의 등용문 역할을 한다. 주연급 배우자는 물론 심지어 단역으로 잠깐 비춘 이들도 나중에는
일본에선 유서깊은 장르이기도 하는데, 1962~2012년까지 방영된 NHK E테레의 《중학생 일기》와 TBS의 《3학년 B반 킨파치 선생님》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학교를 다니는 10대 청소년들이 배경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주연 및 비중이 높은 조연 배우들은 대부분 실제로는 성인이다. [2]이는 실제 그 나이에 맞는 청소년들 중에는 연기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배우들이 거의 없기 때문. 그래서 오히려 비중이 적은 조연들이나 엑스트라들이 실제로 중고등학생인 경우들이 많다. 그러다 보니 배우가 20대 초반이거나 동안인 경우라면 시청자 입장에서 그나마 자연스럽게 느껴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특히 앞서 얘기한대로 정작 엑스트라들이 10대라면 그 엑스트라들과 비교되기 쉽다. 또한 시청자 본인이 10대라면 자기 자신 및 주위의 사람들이 실제로 10대라는 점에서 배우들이 조금이라도 나이들어 보이면 그 배우가 10대가 아니라는 것을 눈치 채기 쉽기 때문에 몰입감이 떨어지기 쉽다.
2.1. 청소년 드라마의 법칙(from 학교대사전)
참고로 학교대사전의 이 글은 2000년대 초중반 무렵에 작성된 내용이므로 현재 청소년 드라마의 내용과는 차이가 있으며, 일부 가운데서 예외가 있다. 사실 학교대사전의 이 내용 자체가 실제 학교 생활과 드라마 속 모습의 괴리감을 시니컬하게 표현한 것이다. 학교폭력, 집단괴롭힘, 학업 경쟁 등 한국 학교의 어두운 모습들을 적나라하게 묘사하면 심의 때문에 청소년 드라마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시니컬한 조롱도 예전부터 있었다.[3]
|
3. 한국 청소년 드라마
2014년 청소년드라마 특집기사에서 정리한 청소년드라마 연대표. 다만 1980년대 작품인 고교생 일기, 푸른 교실은 빠져 있다.
아래 목록에는 정통적 청소년 드라마가 아닌 그냥 주연이 청소년인 트렌디 드라마도 상당히 많다. 아예 19금인 작품도 있다!
3.1. KBS
- 고교생 일기(1983년~1986년) : 1960년대생에겐 "꿀을 담아두면 꿀단지~ 물을 담아두면 물단지~ 우리들은 꿈단지~ 꿈을 담아라~"라는 오프닝 곡[11]으로 기억되는 드라마. 처음에는 20분 분량의 일일극으로 시작되었다가 1985년 경부터 50분 분량의 주간극으로 변경되어 매주 화요일에 방영되었다. 1986년 새학기 때는 도시가 아닌 농촌으로 했다. 강수연, 손창민, 최재성, 윤유선, 조용원, 하희라 등 당대 하이틴 스타들의 터전이자, <태조 왕건>에서 견훤의 아들 금강 역으로 나온 전현도 1기에서 열연했다. 또한 박길라(본명 박경옥)의 유작들 중 하나다.
- 청소년 문학관(1984년)
- 사랑이 꽃피는 나무(1987년~1991년)
- 맥랑시대(1991년~1992년) : 여타의 청소년 드라마와 다르게 군(郡)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기와 2기로 나누어 방송했으며 출연진도 다름.
- 사랑이 꽃피는 교실/계절(1994년~1996년) : 박용하가 이 드라마에 출연한 적이 있다.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1995년~1998년) : 학교 시리즈의 원조격인 드라마. 매회 개별적인 에피소드로 진행된다.[12] 오프닝
- 스타트(1996년~1997년)
- 학교 시리즈(1998년~2002년, 2012년~2013년, 2015년, 2017년, 2021년) : 8번째 시즌까지 나온 대표적인 청소년 드라마 시리즈. 참고로 2탄 에피소드 중 '어느 날 심장이 말했다'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됐다. 학교 시리즈 총람은 학교 시리즈, 그리고 각 시즌별 일람은 학교 1, 학교 2, 학교 3, 학교 4, 학교 2013, 후아유 - 학교 2015, 학교 2017, 학교 2021을 참조.
- 반올림 시리즈(2003년~2007년)
- 아이 엠 샘(2007년) : 분명 청소년을 다룬 작품인데 심히 덕후스럽다.
- 최강! 울엄마(2007년)
- 정글피쉬 시리즈(2007년, 2010년)
- 꽃보다 남자(2009년) : 사실 일반적인 트렌디 드라마라 봐야하지만 주인공들이 고등학생이기 때문에 목록에 들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편적인 청소년 드라마라고 보기에는 설정부터 무리가 따르는 편이다.
- 공부의 신(2010년)
- 드림하이, 드림하이 2(2011년, 2012년) :
청소년 드라마라고 취급해야할지 모르겠지만...예술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지만, 역대 청소년 드라마와는 괴리가 크다. 주인공들도 대부분이 아이돌이라서 더욱 더 그렇다. 시즌 2까지 제작. - 하이스쿨 러브온(2014년)
- 오렌지 마말레이드(2015년)
- 발칙하게 고고(2015년)
- 페이지터너(2016년) : 웹드라마와도 겹친다.
- 란제리 소녀시대(2017년)
- 안단테(2017년)
- 투 제니(2018년)
- 땐뽀걸즈(2018년)
- 계약우정(2020년)
- 오아시스(2023년)
- KBS 드라마 스페셜 시리즈
- 이 밖에도 장애인의 날마다 KBS2에서 방영되는 특집 드라마도 청소년 드라마에 속한다. 캐스팅이 화려하지만 암흑 시간대에 방영된다는 것이 문제.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장애인단체로부터 파일을 받아 방송실을 통해 송출하거나, KBS 방송을 그대로 틀어주는 식으로 장애인권교육을 진행한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암흑 시간대가 아니다.
3.2. MBC
- 제3교실 (1975년~1980년) : 나연숙 작가와 이병훈 PD 등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당대 하이틴 배우 임예진을 스타로 만든 작품이다.
- 푸른 교실(1987년~1988년) : 김종학 연출, 홍리나, 김혜선 출연 드라마. 당시 이 드라마의 오프닝은 이선희가 불렀다.[13]
- 푸른 계절(1988년~1989년) : 푸른 교실의 후속작. 안타깝게도 홍리나[14], 김혜선씨가 이 드라마에서 강판 당했다.
- 사춘기(시즌 1: 1993~95년, 시즌 2: 1995~96년) : 오늘날 청소년 드라마의 원형으로 꼽는 드라마다. 에피소드 중 '육체미 소동'은 중1 국어 교과서에, '개성과 콤플렉스'는 중2 국어 교과서에 실렸다.
- 나(1996년~1997년) : 고등학교 방송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최강희, 허영란, 송은영, 김수근, 김정욱, 안재모, 김래원 등이 출연했다.
- 궁(2006년) : 동명의 순정 만화를 원작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 흔히 커피프린스 1호점과 함께 윤은혜의 전성기를 여는 드라마 중 하나로 여겨진다.
친구 우리들의 전설(2009년)[청불]혼(2009년)[청불]- 장난스런 키스(2010년)
- 앵그리 맘(2015년)
- 어쩌다 발견한 하루(2019년)
- 목표가 생겼다(2021년)
- 금수저(2022년)
3.3. SBS
- 공룡선생(1993년~1994년) : 먼저 나왔던 같은 제목의 영화를 TV로 옮긴 경우. 중간에 남자 고등학교에서 남녀공학 고등학교로 배경이 바뀐다. 김희선, 이정재의 데뷔작이며, 박지윤이 가수로 본격 데뷔하기 전에 출연했었다.
그리고 야빠들의 공공의 적인 리본돼지도 나왔다 카더라.참고로 이 드라마 출연자 중에서 조문정에게는 이 작품이 처음이자 마지막 출연작이다.[17] - 성장느낌 18세(1996~1997년) : 축구부가 있는 강북의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함. 추자현의 데뷔작이다.(당시는 본명인 추은주로 활동)
- 나 어때(1998년~1999년) : 청춘시트콤이라는 타이틀이 달렸지만 실상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시트콤. 송혜교, 최창민, 정상훈, 송은이, 조여정 등이 학생으로 출연했고, 가족으로 이재룡(현민·창민이의 삼촌)과 이응경(정확히는 하숙집 주인)이, 학교 선생님으로
순이야~정은표가 출연했다. - 건빵선생과 별사탕(2005년)
- 달려라 고등어(2007년) : 청소년 드라마 치고는 드문 일반시트콤 장르의 드라마. 이민호, 박보영, 문채원이 출연했다. 제작사 사정으로 인해 시작한지 2회만에 조기종영되었다.
- 강남엄마 따라잡기(2007년)
- 아름다운 그대에게(2012년)
- 상속자들(2013년) : 꽃보다 남자와 마찬가지로 주인공은 고등학생이지만 일반적인 청소년 드라마와는 거리가 멀다.
- 초인가족(2017년)
- 복수가 돌아왔다(2018년~2019년)
- 17세의 조건(2019년)
- 힙합왕 - 나스나길(2019년)
- 편의점 샛별이(2020년)
펜트하우스 시리즈(2020년~2021년): 청소년 드라마 치고는SBS 드라마답게학원물의 탈을 쓴(...) 막장 드라마에 가깝다. 게다가 수위가 지나치게 세서 대부분의 회차가 19세 이상 시청가 판정을 받은 드라마이며 취소선 처리되었다.무엇보다 이 드라마를 집필한 작가가...- 라켓소년단(2021년) : 중학교 배드민턴부가 주 내용인 청소년+스포츠 드라마. 보통의 청소년 드라마들은 고등학생이 주 연령대인것에 반해 라켓소년단은 중학생을 전면으로 내세웠다. 근데 출연배우 중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부 고등학생이거나 성인이다(...)
- 그 해 우리는(2021년~2022년)
3.4. EBS
자세한 내용은 EBS 청소년 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3.5. OBS
3.6. tvN
- 닥치고 꽃미남 밴드(2012년)
- 응답하라 1997(2012년) : 오리지널 청소년 드라마라 보기는 어렵지만 1997년 즈음에 청소년기를 보낸 사람이라면 충분히 공감할만한 부분이 많다.
- 몬스타(2013년)
- 고교처세왕(2014년)
- 응답하라 1988(2015년) : 오리지널 청소년 드라마라 보기는 어렵지만 1988년 즈음에 청소년기를 보낸 사람이라면 충분히 공감할만한 부분이 많다.
-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2017년)
- 부암동 복수자들(2017년)
- 블랙독(2019년~2020년)
- 여신강림(2020년~2021년)
- 스물다섯 스물하나(2022년)
- 일타 스캔들(2023년)
- 반짝이는 워터멜론(2023년)
- O'PENing 시리즈
- XX+XY(2022년)
- 스톡 오브 하이스쿨(2022년)
3.7. TV조선
- 학교기담(2020년)
3.8. JTBC
- 선암여고 탐정단(2014년~2015년)
- 솔로몬의 위증(2016년~2017년)
- 어쩌다18(2017년)
- SKY 캐슬(2018년~2019년)
- 열여덟의 순간(2019년)
- 18어게인(2020년)
- 라이브온(2020년~2021년)
- 백일장 키드의 사랑(2022년)
3.9. OCN
- 애간장(2018년)
- 미스터 기간제(2019년) : OCN 최초의 청소년 드라마. 그러나 드라마 성격은
OCN 드라마답게학원물의 탈을 쓴(...) 스릴러에 가깝다. - 경이로운 소문 드라마 시리즈(2020년~2023년)
3.10. XtvN[18]
3.11. 넷플릭스 오리지널
- 좋아하면 울리는(2019년[19],2021년[20])
인간수업(2020년)[청불]- 보건교사 안은영(2020년)
마이 네임(2021년)[청불]지금 우리 학교는(2022년)[청불]소년심판(2022년)[청불]- 안나라수마나라(2022년)
더 글로리(2022~2023년)[청불]
3.12. 디즈니+ 오리지널
3.13. Wavve 오리지널
- 청춘 블라썸(2022년)
약한영웅 Class 1(2022년)[청불]
3.14. U+모바일tv 오리지널
3.15. Genie TV 오리지널
3.16. 카카오TV 오리지널
3.17. 쿠팡플레이 오리지널
3.18. 티빙 오리지널
- 어른연습생(2021년)
방과 후 전쟁활동(2023년)[청불]- 우리가 사랑했던 모든 것(2023년)
3.19. 웹드라마
- 다시 만난 너(2019년)
- 로봇이 아닙니다(2019년)
- 리얼:타임:러브(2019년~2020년)
- 만찢남녀(2020년)
- 방과후 연애(2017년~2018년)
- 소녀의 세계(2020년)
- 소녀의 세계2(2021년)
- 신비아파트 외전: 기억, 하리(2018년)
- 신비아파트 외전: 기억, 하리 2(2019년)
- 언어의 온도 : 우리의 열아홉(2020년)
- 에이틴 시리즈(2019년~2020년)
- 연애미수(2019년)
- 열일곱(2017년)
- 인서울 - 내가 독립하는 유일한 방법(2019년)
- 일진에게 찍혔을 때 시리즈
- 일진에게 찍혔을 때(시즌1)(2019년) / (시즌2)(2020년) / 일진에게 반했을 때(시즌3)(2022년)
- 오늘부터 계약연애(2021년)
- 초관심 시리즈(2017~)[33]
- 남자사람친구 14일전(2018)
- 마음이 버들버들해(2019)
- Dance No.15(2019)
- 일차원적 그녀석(2019)
- 너랑 만든 드라마(2018, 2019)
- 클릭 유어 하트(2016년)
- 치즈필름(2017년)
- 하지 말라면 더 하고 19(2018년)
- 통통한 연애 시즌1(2018년), 시즌2(2019년)
- 나중에 웃으면서 보자(2022년)
- 소년을 위로해줘!(2023년)
4. 일본 청소년 드라마
- 중학생 일기(1962~2012, NHK E텔레비전): NHK 나고야방송국에서 제작했으며, 1972년까지는 제목이 《중학생 지로》였다.
- 3학년 B반 킨파치 선생님(1979~1981/1988, TBS 테레비)
[1] 브라, 삼각팬티, 사각팬티, 여성용 팬티[2] 이는 학원물도 마찬가지이다.[3] 다만 2020년 인간수업과 2022년 지금 우리 학교는이라는 드라마가 나옴으로써 그런 편견이 깨져버렸다. 물론 지상파나 케이블에서 나온 드라마가 아니라는 한계점이 있긴 하다.[4] 발칙하게 고고는 작중에서 서울 소재 고등학교로 나왔으나, 세종시에서 촬영한 흔적이 많아서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봐도 극중 배경과 학교가 안맞는걸 볼수있다.[5] 다만 학교 2013에서는 쉬는시간은 시장바닥이요, 수업시간에도 스마트폰을 하고 잠을 자는 모습이 적나라하게 나온다.[6] 당연히 시청각 등의 수업을 실시하는 장면을 찍기가 어렵다. 주로 토·일요일에 중고등학교를 대관해서 촬영하기 때문에 학교에서 허락하는 내에서 학교 기자재를 쓸 수밖에 없다.[7] 그런데 밑에 예시로 나와있는 학교에서는 등장인물 유진이 박광도의 영어 발음을 까는 부분이 있다! 교과서에도 나온 부분이다![8] 그도 그럴게, 이는 방송심의 때문이다. 학교 2013에서는 일부 욕설이 나오긴 하지만, 그마저도 노는 아이들이 쓰는 경우가 대다수다. 다만 요즘은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에서도 삐처리나 묵음처리하긴 하지만 욕설이 간간히 나오는 편이며, 웹드라마나 넷플릭스 드라마에서는 그런거 없이 잘 나온다.[9] 예외적으로, 학교2의 신혜원(김민희), 학교3의 이세찬(박광현)은 부잣집 아이이다.[10] 다만, <나> 처럼 방송반이라는 한정된 교내 동아리라든지, <내일>(외고)이나 <학교4>, <드림하이>(예고)처럼 특목고인 경우에 문과·이과는 별 의미가 없다.[11] 민혜경이 불렀으며, 1기 당시에는 라라라라라라~ 외에 별다른 가사가 없었다.[12] 촬영의 배경이 되는 학교는 에피소드마다 다르다. 각 회마다 내용이 개별적이기 때문에 출연자는 추후에 다른 에피소드에 다시 출연하기도 했다.[13] 이선희는 이 드라마가 종영된 직후 방영된 KBS2의 애니메이션 달려라 하니 오프닝도 불렀다.[14] 당시 홍리나는 교통사고를 당한 후였다.[청불] 청소년 관람불가[청불] [17] 이유는 출연중이던 시기에 교통사고로 사망했기 때문이다.[18] 현 tvN SHOW[19] 시즌1[20] 시즌2[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청불] [33] 2017년 이전에는 초등학생 대상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