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03:29:37

콤무나

코무나에서 넘어옴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잠수함 <colbgcolor=#fff,#191919> 재래식(SS) 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 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 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 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 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 주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 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 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 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 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 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 LPH (이반 로고프급), 미스트랄급
LSD 이반 그렌급
LST 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 나탸급, 소냐급, 고랴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 룬급R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 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 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 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 윗첨자R: 퇴역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운용국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일전쟁 및 제1차 세계 대전의 러시아 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fff,#191919> 어뢰정 페르노프
구축함 프로젝트 35노트형, 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 프로젝트 마트로소프 1917년형
잠수정 / 함 델핀, 솜급, 카사크타급, 미노가, 아쿨라, 카르프급, 카이만급, 크랍, 모르즈급, 바르스급, 나르발급, A급
경순양함 알마스급, 스베틀라나급
장갑순양함 게네랄 아드미랄, 미닌,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드미트리 돈스코이,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파먀티 아조노바, 로시야, 그로모보이, 바얀급, 류리크
방호순양함 디아나급(아브로라함), 바랴그급, 스베틀라나급, 아스콜드, 노빅급, 바가티르급, 이주므루드급
군수지원함/구난함 콤무나
순양전함 프로젝트 707형, 이즈마일급
전함
<colbgcolor=#ffffff,#191919> 전드레드노트급 예카테리나 2세급, 나바린,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2세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아드미랄 우샤코프급 전함, 체자레비치, 보로디노급, 로스티슬라브, 페레스베트급, 포템킨, 레트비잔, 에프스타피급,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드레드노트급 프로젝트 스크벗소바 1907년형, 강구트급, 임페라트리차 마리야급,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급, 프로젝트 코스텐코 1917년형
취소선: 건조 취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 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해군 함선
상륙함 볼린데르급RE
어뢰정 Sh-4급, G-5급, D3급, PT 보트US
잠수정 / 함 슈카급, 칼레브급노획, M급, A급, L급, P급, S급, D급, K급, 로니스급노획, 바르스급, L급UK, S급UK, U급UK, 퀘벡급C
호위함 타코마급 호위함US
구축함 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RE, 오피트니급, 프로젝트 흑해 1929년형, 그녜브니급, 스따라졔보이급, 레닌그라드급, 민스크급, 타슈켄트급, 프로젝트 30형, 키예프급, 프로젝트 35형, 프로젝트 36형, 프로젝트 37형, 프로젝트 40형, 프로젝트 24형
기뢰전함 마르티급RE, 프로젝트 253L형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틀라나급RE, 차파예프급, 무르만스크급US, 팔라다급RE, 바가티르급RE, 프로젝트 28형, 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94형, 소형 경순양함, 프로젝트 X형
모니터함 SB-37급(제례즈냐코프급), 하산급
군수지원/구난함 콤무나RE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전함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RE, 아르한겔스크UK, 프로젝트 21형, 프로젝트 A형, 프로젝트 1058형US,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프로젝트 24형
항공모함 훈련함 재건조 계획, 프로젝트 71형, 프로젝트 72형, 체펠린노획, 프로젝트 69AV형, 프로젝트 23형 전함 재건조 계획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 C: 전후 완공, 윗첨자 UK/US: 영국/미국 해군에서 도입, 윗첨자 노획: 전쟁 중 노획한 함선, 윗첨자 RE: 러시아 제국 시절 개발된 함선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2px-Naval_Jack_of_the_Soviet_Union.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함 <colbgcolor=#fefefe,#191919>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키로프급
순양함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프로젝트 65형 순양함|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순양함|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84형 순양함|프로젝트 84형]], [[소형 경순양함 계획|소형 경순양함]], [[자이틀리츠(중순양함)|자이틀리츠]]배상, 어드미럴 마카로프배상, 케르치배상
미사일 순양함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프로젝트 1126형 순양함|프로젝트 1126형]], 크레스타급, 카라급, 키로프급, 프로젝트 1165형, [[프로젝트 1080형 순양함|프로젝트 1080형]], 슬라바급, 프로젝트 11960형, 프로젝트 11641형, 프로젝트 1293형
대잠 순양함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구축함 구축함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대잠 구축함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호위함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초계함|프로젝트 11661형]]
초계함 소형 미사일함 (МРК)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사란차급
소형 대잠함 (МПК)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소형 함포함(Мак) 야즈급
경비정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모니터함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함포정 쉬멜급
어뢰정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대잠정 무레야급, S·O-1급
미사일 고속정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항공모함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오렐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울리야놉스크급]]
상륙함 강습상륙함 [[프로젝트 11780형 강습상륙함|프로젝트 11780형]]
대형 상륙함(БДК)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중형 상륙함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소형 상륙함(МДК)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공기부양정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LCU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기뢰함 대양 소해함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기본 소해함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연안 소해정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추적유도함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통합보급함(ККС) 베레지나급
급유함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고속 및 특수급유함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급탄함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위그선 룬급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건조 중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콤무나.jpg
파일:콤무나-2.jpg
«Коммуна»

1. 개요2. 제원3. 함생
3.1. 소요 제기3.2. 운용
3.2.1. 러시아 제국 해군3.2.2. 소련 해군
3.2.2.1. 제2차 세계 대전3.2.2.2. 냉전
3.2.3. 러시아 해군
3.2.3.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4. 여담5. 외부 자료6. 관련 문서

1. 개요

콤무나(Коммуна)러시아 제국 해군이 건조하여 러시아 제국 해군부터 소련 해군에 이어 러시아 해군이 운용하는 잠수함 구난함 및 보급함이다.

1913년 진수 및 1915년 실전배치 이후 현재까지 무려 [age(1915-07-14)]년 동안 실전 배치되어 작전에 투입 중인 것으로 유명하며, 현재 세계에서 현역으로 활동중인 군함들 중 가장 오래된 함선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2. 제원

콤무나의 제원
함종 수송선→잠수함 구조함
배수량 3,100 톤(기준)
전장 96 m
최대흘수선 8.4 m
추진 6축 실린더 디젤 엔진x2
마력 600 마력
기공일 1911년 12월 30일
진수일 1913년 11월 17일
취역 1915년 7월 15일
상태 현역[1]

3. 함생

3.1. 소요 제기

1910년 러시아 제국 해군은 물자 수송, 무기 수송 등 다양한 종류의 수송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군함을 필요로 하는 상태였다.

1911년 독일 제국 해군의 함선 SMS 불칸(Vulkan)을 프로토타입으로 하여 군함 건조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동시에 쌍동선(double-hulled vessel) 형태의 구조로 함을 설계하기로 결정되었다. 이후 동년 5월에 건조 계약이 체결되었고 이어 12월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푸틸로프(Putilov) 조선소에서 건조가 시작되었다.

그렇게 약 2년간의 건조 작업 끝에 마침내 1915년 7월 15일, Волхов(볼호프)함은 공식적으로 러시아 제국 해군에 취역해다.

3.2. 운용

3.2.1. 러시아 제국 해군

러시아 제국 해군 발트 함대에 배치된 볼호프는 레발(현 에스토니아 탈린) 기지에서 예비 어뢰 10개와 연료 50톤을 싣고 첫 작전을 수행하며 기나긴 함생의 시발점을 끊었다.

이미 배치시점에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진행중이었던고로, 볼호프는 쉴 틈 없이 작전에 투입되었다. 러시아 제국 해군 및 발트해에서 공동 작전을 펼치던 영국 해군 소속 잠수함들에게 보급 임무를 수행하는가 하면, 본래 다용도함으로 설계되었던 만큼 침몰한 잠수함의 인양 작접에도 동원되었다. 1917년 여름에는 알란드 근해에서 침몰한 AG급 잠수함 AG-15를 성공적으로 인양한 것을 시작으로, 1917년 9월에는 침몰한 바스급 잠수함 에딘오로그를 인양하기도 했다.[2]

3.2.2. 소련 해군

그렇게 계속해서 실전에 투입되던 볼호프는 1918년 2월 독일 제국군 육군이 레발로 진격해오자 급히 헬싱키로 피항했다. 그러나 이후 같이 헬싱키로 피신한 타 발트 함대 소속 함선들이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인해 크론슈타트로 도주할 때 콤무나는 선원 수 및 연료 부족으로 항구에 남아야 했고 결국 독일군의 손에 억류되었다. 이렇게 된 까닭은 브레스트 리토프스크 조약에는 러시아 해군의 모든 함선은 조약의 효력이 발생하는 즉시 핀란드의 항구를 떠나야 하며, 결빙 문제로 항구를 떠날 수 없는 함선들은 관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선원들만을 남겨두고 다른 선원들은 전부 러시아로 철수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허나 이렇게 되면 남은 함선들은 독일군에게 그대로 노획될 위험이 매우 높았고, 이를 우려했던 소련 해군은 독일군이 헬싱키에 진주하기 직전 대부분의 함선들은 크론슈타트로 탈출시켰다. 그러나 볼호프는 다른 몇 척의 함선들과 함께 남겨졌고 결국 독일군에게 접수되었다.

이후 독일군에게 억류된 볼호프를 두고 소련 및 독일 사이에 협상이 벌어졌고, 논의 끝에 1918년 5월 11일 볼호프는 억류에서 풀려나 크론슈타트로 향할 수 있었다. 이후 적백내전 기간 동안 페트로그라드를 모항으로 두고 활동한 볼호프는 1919년과 1920년 각각 사고로 인해 침몰한 바스급 잠수함 타이거와 엘을 인양했다.

1922년 볼호프는 함명을 Коммуна(콤무나)로 개명함과 동시에 1년간 가벼운 수리를 받았다. 수리 후 1923년 다시 실전에 투입되었는데, 하필이면 이 때 좌초된 해안순찰선 콥칙(Kobchik)을 인양하려고 시도하던 도중 콥칙과 충돌해 선체에 파공이 생기는 피해를 입었다. 다행히도 콤무나는 침몰하지는 않았고 크론슈타트로 귀환하였고 1923년부터 1925년까지 수리 겸 개장 공사를 받았다.

1928년 콤무나는 발트해에서 기뢰 접촉으로 격침당한 영국 해군의 L급 잠수함 L55를 인양시키는데 성공하면서 다시 일선에 복귀했으며, 1932년에는 좌초된 노빅급 구축함 엥겔스를 인양시키는 작업에 동원되었다. 그로부터 1년 뒤인 1933년에는 바스급 잠수함 라보치를 인양했으며 이후 1939년까지 좌초 및 침몰한 함정들을 인양 및 복구하는 작업에 집중적으로 투입되었다.
3.2.2.1.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겨울전쟁이 발발하자 콤무나는 다시 본래의 역할이었던 잠수함 보급함으로 되돌아가 잠수함 보급 임무를 수행했다. 물론 그러면서도 인양 및 구조 작업은 소홀히 하지 않아서, 1939년 12월에는 핀란드만에 추락한 MBR-2 수상기를 인양하고 승무원들을 구조하기도 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콤무나에 아무런 자위용 무장이 없다는 점이 지적되었고, 이에 따라 M4 4연장 대공기관총 총좌가 방공 목적으로 설치되었다.[3]

이윽고 1941년 6월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탈린에 주둔했던 콤무나는 1차 세계 대전 때와 비슷하게 크론슈타트를 걸쳐 최종적으로 레닌그라드로 후퇴했다. 비록 군함은 아니었지만, 나름 전술적 가치가 높은 함이었던지라 이 과정에서 여러 차례 독일군의 표적이 되었는데, 1941년 10월 독일군의 공습을 받아 약간의 파편 피해를 입었고, 약 6개월 뒤인 1942년 4월에 또다시 독일 공군의 공습을 받아 크레인 1개가 손상되는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도 콤무나는 네바 강에서 독일군의 공습으로 격침된 선박 다수와 격추된 항공기 1기를 인양하였으며, 손상된 함선들을 수리하는 작업에도 여러 차례 투입되었다.

1944년 전세가 다시 소련에게로 기울자 그동안 레닌그라드에 숨어있었던 발트 함대는 다시 공세에 나섰고, 자연히 그에 따라 콤무나가 실전에 설 일도 잦아졌다. 1944년 연말까지 콤무나는 총 11척의 함정을 인양하고 33척의 함정에 수리 및 보급 지원을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1945년까지 이어졌다.
3.2.2.2. 냉전
냉전 초기였던 1950년, 콤무나는 벨기에 조선소에서 한 차례 점검을 받았다.

이후루도 콤무나의 활동은 계속되었는데, 1956년과 1957년 각각 잠수함 M-200과 M-256을 인양하였으며 1959년에는 어뢰정 한 척을 인양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시대가 지나면서 잠수함들이 점점 대형화됨에 따라 콤무나는 더 이상 잠수함 인양 임무를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었고 따라서 잠수함 인양보다는 항공기 및 잔해 인양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함선으로 그 용도가 전용되었다.[4] 또한 이 과정에서 반세기간 종사한 발트 함대에서 흑해 함대로 재배치되었다.
이후 1973년 현대화 대개장을 받았으며, 1977년에는 1,700미터의 깊이로 캅카스에서 추락하여 가라앉은 수호이 Su-24 장거리 전투 폭격기를 찾는데 성공하여 건재함을 과시하였다.[5]

1984년, 노후화 문제로 콤무나를 일선에서 퇴역시키고 강을 이용해 모스크바에 위치한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 연구 목적으로 영구 정박시키자는 계획이 수립되었지만 취소되었고 코무나는 구난함으로서의 임무를 계속하였다.

3.2.3. 러시아 해군

1991년 12월 소련이 해체되었고 콤뮤나는 세번째 국가인 러시아 연방 해군에 재취역하게 된다.

2013년 콤무나는 마침내 진수 100주년을 맞았다. 함으로서의 실제 나이가 100살이 되었다는 이야기. 이후 2년 뒤인 2015년 7월 14일 실전 배치 100주년을 맞아 축하 행사가 열렸다. 바로 위의 유튜브 영상이 그것이다.

2016년에는 수리 및 현대화 작업을 거쳤다.
3.2.3.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면적으로 침공함에 따라, 독소전쟁 종전 이후 무려 77년만에 다시 실전투입되었다.

2022년 모스크바함 잔해 조사에 투입되어 기밀문서와 장비등을 인양했다.

2023년에는 동년 3월 러시아 공군 소속 Su-27 전투기와 충돌해 흑해에 추락한 무인기 MQ-9 리퍼의 탐색과 인양에 투입될 예정이라고 한다.

2024년 4월, 세바스토폴 항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발사한 스톰 쉐도우 미사일이 요격당하면서 생긴 파편에 손상을 입었다.# 다만 공격 후의 위성 사진상에 딱히 별다른 손상 흔적은 보이지 않는점을 볼때 피해는 그리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4. 여담

잘 부각되지는 않지만, 엄청난 강운함이다. 양차 대전을 모두 겪고도 살아남았음은 물론이오, 운용 기간 내내 충돌사고 한 번을 제외하면 화재 등 큰 사고를 겪지 않았다. 게다가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흑해함대 소속 함선들이 무수히 격침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3년차인 2025년까지 큰 피해 없이 생존 중. 비록 전투함은 아니지만, 훈련함이나 연습함이 아니라 구난함으로서 수많은 실전 임무에 투입되었음을 생각해보면 상당한 강운이라 할 수 있다.

5. 외부 자료

6. 관련 문서


[1] 흑해 함대 소속으로 세바스토폴에서 배치되어 구조임무 수행 중[2] 그러나 정작 이런 노력이 무색하게도 에딘오로그는 1918년 또다시 사고로 침몰하고 만다.[3] 그러나 해당 총좌는 현대화 과정에서 탈거되어 현재 콤무나에 장착된 방어무장은 없다.[4] 다만 잠수함의 직접적인 인양만 하지 않을 뿐이지, 잠수함 승조원 구조 및 장비 인양 임무 등은 여전히 수행한다.[5] 이게 나름 대단한 업적이었던 것이, 그전까지 콤무나가 인양한 함선들은 기껏해야 전부 수심 수십 미터대에 가라앉은 함선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