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0:59:37

큰바다사자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I급 ]⠀
<colbgcolor=#fff,#1f2023> 포유류 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조류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크낙새†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파충류 비바리뱀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어류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곤충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식물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colbgcolor=#fff,#1f2023><width=15%> 포유류 ||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조류 개리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머리물떼새 · 검은머리촉새 · 검은목두루미 · 고대갈매기 · 긴꼬리딱새 · 긴점박이올빼미 · 까막딱따구리 · 노랑부리저어새 · 독수리 · 따오기 · 뜸부기 · 무당새 · 물수리 · · 벌매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배새매 · 붉은어깨도요 · 붉은해오라기 · 뿔쇠오리 · 뿔종다리 · 새매 · 새호리기 · 섬개개비 · 솔개 · 쇠검은머리쑥새 · 쇠제비갈매기 · 수리부엉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알락개구리매 · 알락꼬리마도요 · 양비둘기 · 회갈색올빼미 · 재두루미 · 잿빛개구리매 · 조롱이 · 참매 · 청호반새 · 큰고니 · 큰기러기 · 큰덤불해오라기 · 큰뒷부리도요 · 큰말똥가리 · 팔색조 · 항라머리검독수리 · 흑기러기 · 흑두루미 · 흑비둘기 · 흰목물떼새 · 흰이마기러기 · 흰죽지수리
양서류 고리도롱뇽 · 금개구리 · 맹꽁이
파충류 구렁이 · 남생이 · 표범장지뱀
어류 가는돌고기 · 가시고기 · 꺽저기 · 꾸구리 · 다묵장어 · 돌상어 · 둑중개 · 묵납자루 · 버들가지 · 부안종개 · 어름치 · 연준모치 · 열목어 · 새미 · 칠성장어 · 큰줄납자루 · 한강납줄개 · 한둑중개
곤충 깊은산부전나비 · 꼬마잠자리 · 노란잔산잠자리 · 대모잠자리 · 두점박이사슴벌레 · 뚱보주름메뚜기 · 멋조롱박딱정벌레 · 물방개 · 물장군 · 불나방 · 쇠똥구리 · 쌍꼬리부전나비 · 애기뿔쇠똥구리 · 여름어리표범나비 · 왕은점표범나비 · 은줄팔랑나비 · 윤조롱박딱정벌레 · 참호박뒤영벌 · 창언조롱박딱정벌레 · 큰자색호랑꽃무지 · 홍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갯게 · 거제외줄달팽이 · 검붉은수지맨드라미 · 금빛나팔돌산호 · 기수갈고둥 · 깃산호 · 대추귀고둥 · 둔한진총산호 · 망상맵시산호 · 물거미 · 밤수지맨드라미 · 별혹산호 · 붉은발말똥게 · 선침거미불가사리 · 연수지맨드라미 · 염주알다슬기 · 울릉도달팽이 · 유착나무돌산호 · , 의염통성게 · 자색수지맨드라미 · 잔가지나무돌산호 · 착생깃산호 · 참달팽이 · 측맵시산호 · 칼세오리옆새우 · 해송 · 흰발농게 · 흰수지맨드라미
식물 가는동자꽃 · 가시연꽃 · 가시오갈피 · 각시수련 · 개가시나무 · 갯봄맞이꽃 · 검은별고사리 · 구름병아리난초 · 기생꽃 · 끈끈이귀개 · 나도범의귀 · 나도승마 · 나도여로 · 날개하늘나리 · 넓은잎제비꽃 · 노랑만병초 · 노랑붓꽃 · 눈썹고사리 · 단양쑥부쟁이 · 닻꽃 · 대성쓴풀 · 대청부채 · 대흥란 · 독미나리 · 두잎약난초 · 매화마름 · 무주나무 · 물고사리 · 물석송 · 방울난초 · 백부자 · 백양더부살이 · 백운란 · 복주머니란 · 분홍장구채 · 산붓꽃나무 · 산작약 · 삼백초 · 새깃아재비 · 서울개발나물 · 석곡 · 선모시대 · 선제비꽃 · 섬개야광나무 · 섬개현삼 · 섬시호 · 섬현삼 · 세뿔투구꽃 · 손바닥난초 · 솔잎란 · 순채 · 신안새우난초 · 애기송이풀 · 연잎꿩의다리 · 왕제비꽃 · 으름난초 · 자주땅귀개 · 장백제비꽃 · 전주물꼬리풀 · 정향풀 · 제비동자꽃 · 제비붓꽃 · 조름나물 · 죽절초 · 지네발란 · 진노랑상사화 · 차걸이란 · , 참물부추 · 초령목 · 칠보치마 · 콩짜개란 · 큰바늘꽃 · 파초일엽 · 피뿌리풀 · 한라송이풀 · 한라옥잠난초 · 한라장구채 · 해오라비난초 · 흑난초 · 홍월귤
해조류 그물공말 · 삼나무말
고등균류 화경버섯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큰바다사자
Steller’s sea lion
파일:ㅋㅂㄷㅅㅈ.jpg
학명 Eumetopias jubatus
(Schreber, 1776)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바다사자과(Otariidae)
아과 바다사자아과(Otariinae)
큰바다사자속(Eumetopias)
큰바다사자(E. jubat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CCC,#212121>한국어 큰바다사자, 바다사자, 스텔러바다사자
영어 Steller sea lion
중국어 北海狮
일본어 トド
}}}}}}}}}||

파일:바다사자 해변.jpg

1. 개요2. 생태3. 대한민국에서의 큰바다사자
3.1. 대한민국 동물원 보유 현황

[clearfix]

1. 개요

바다사자의 일종.

2. 생태

시베리아 연안, 캄차카 반도, 베링해 등 북부 태평양 바다에서 서식한다.

보통 5~7월에 에 올라와 번식하고, 이후 남하하여 회유한다. 보통 수컷 1마리가 10~20마리의 암컷과 무리를 이루고 번식을 하는데, 이 하렘 집단은 8월이 되면 해산된다.

고래류를 제외하고 바다에 서식하는 포유류 중 네 번째로 크고[1] 바다사자 중에서는 가장 크며 수컷은 1t에 육박하기도 한다. 큰 덩치를 자랑하는 만큼 야생에서는 만일 자극을 하게 되면 사람에게는 중상을 입힐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110~146m까지 잠수할 수 있고 수중에서 시속 25~30km로 헤엄친다.



명태, 꽁치, 청어, 연어 등의 어류와 및 새우 등 갑각류, 그리고 조개, 소라 등 연체동물들이 큰바다사자의 주 먹이이며 드물게 바닷새와 물범의 새끼, 북방물개, 해달을 잡아먹는다. 시베리아호랑이, 불곰, 북극곰, 범고래, 상어[2]가 천적이다.

3. 대한민국에서의 큰바다사자

본래 대한민국에서 자생하던 종이 아니기에 국내에 큰바다사자의 집단 서식지는 없지만 동해안과 울릉도, 독도 주변 해역, 제주도 등지에서 가끔 발견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 2012년에는 울릉도 사동항구에서 발견되었다.#
  • 2017년 3월에는 강릉정동진에서 한 마리가 2019년 12월에는 부산 앞바다에서 한 마리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 2023년 6월에 가거도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100여년만에 대한민국 서남부에 다시 관찰된 것으로 파악된다.# 캄차카 등에서 출발해 동북해를 통해 남하해온 것으로 보인다.
  • 가거도에서 발견된지 두 달 만에 통영의 앞바다에서도 큰바다사자가 발견되었다.#
  • 2024년 8월 12일과 13일 이틀 연속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 울산광역시 일대에서 발견되었다. 발견될 때마다 해상 등부표 위에 올라앉아 있었는데, 같은 개체로 사냥감을 쫓아 서식하는 곳에서 더 헤엄쳐 내려오면서 장거리 헤엄에 따른 에너지 고갈로 인해 휴식을 취하기 위해 등부표에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같은 기각류 중 먼 친척뻘인 점박이물범백령도대청도서해 5도 일대에 자생지가 있다.

3.1. 대한민국 동물원 보유 현황

서울동물원에서 수컷 장군이와 암컷 장순이를 보유했었는데, 2013년 장군이가 사망하고 장순이도 장군이가 사망한 지 10년 뒤인 2023년에 사망했다.[3]

이후 2024년 1월 1일 서울어린이대공원코만도도 노령으로 폐사하면서 국내 동물원의 큰바다사자는 에버랜드 주토피아두두가 유일하다.

두두의 나이가 노령이고 무리를 지어서 생활하는 동물인 만큼 종 보전 및 복지를 위해서라면 큰바다사자의 추가 도입이 필수적으로 보인다.


[1] 3위는 바다코끼리, 2위는 북방코끼리물범, 1위는 남방코끼리물범[2] 백상아리, 뱀상어, 청상아리 등 대형 상어.[3] 장순이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들과 함께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