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9bbbe><colcolor=#fff,#fff> 재료 |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단호박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연잎밥 · 은행밥 · 인삼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 |
국밥 | 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우거지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 ||
김밥 | 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 ||
덮밥 | 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포케 · 피자 라이스 볼 | ||
볶음밥 | 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파인애플 볶음밥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 ||
비빔밥 | 꼬막비빔밥 · 나시르막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비닐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 헛제삿밥 | ||
주먹밥 | 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 ||
쌈밥 | 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 불고기쌈밥 · 생선구이쌈밥 | ||
초밥 | 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 ||
기타 |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죽 · 치밥 · 떡 · 물만밥(오차즈케) | }}}}}}}}} |
헛제삿밥 헛祭祀밥 |
| ||
<colbgcolor=#ddd,#010101><colcolor=#000,#e0e0e0> 유형 | 밥류 | |
국가·지역 | <colbgcolor=#ddd><colcolor=#000,#e0e0e0> 발상 |
한국 요리 경상도 안동 |
1. 개요
헛제삿밥은 대한민국 안동의 전통음식이며 흔히 쓰이는 고추장 대신 간장과 함께 비벼먹는 일종의 비빔밥이라고 할 수 있다.헛제삿밥은 제사가 아닌 때에 마련해 먹는 제사 음식이다.
2. 특징 및 조리법
헛제밥은 다양한 나물, 탕국, 전, 나박김치 등을 곁 들인 상차림이다. 제사 음식이기에 고춧가루나 마늘 등 자극적인 양념은 쓰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헛제밥은 흰쌀밥을 기본으로 다양한 나물과 반찬 이 곁들여진다.
나물류로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를 주로 사용하며, 각각 데쳐서 간장, 참기름, 소금으로 무쳐낸다. 탕국 은 참기름으로 소고기를 볶아 육수를 내고, 두부와 무 를 넣어 맑고 깔끔하게 끓이며, 국간장으로 간을 맞춘다.
전은 동그랑땡, 배추전, 부추전 등을 얇게 부쳐내고, 생선은 주로 조기나 도미를 깨끗이 손질해 소금구이로 준비한다.
3. 유래
이 요리는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살면서 공부하기로 유명한 곳인 경상도 안동에서 비롯하였다. 헛제삿밥은 말 그대로 "헛(참되지 못한) 연간 제사를 위한 밥"을 뜻한다.옛날에는 밥과 음식이 부족했기에 조선 시대에 살았던 몇 명의 학자들이 헛제사를 위한 음식을 준비하여 헛제사를 열어 맛있는 제사음식을 즐겼다는 설이 있다. 또한 제사를 지내지 못했던 상민들이 헛제사를 열어 제사 음식을 즐겼다는 설도 있다.
4. 기타
- 진주나 대구에도 헛제삿밥이 존재한다. 대구헛제삿밥은 돔배기가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며 진주헛제삿밥은 후식으로 진주유과와 감주가 올라오는 것이 특징이다.
- 안동에서 헛제밥을 팔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 이다. 1974~1976년 사이에 안동댐의 건설로 인한 수 몰 지구에서 중요한 고가옥을 안동민속박물관 야외전 시장으로 이전 복원하게 되었다. 안동시에서는 이들 중 일부 가옥에 안동의 전통음식을 만들어 팔도록 하였는 데, 이때 등장한 것이 헛제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