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23:33:01

모순어법

형용모순에서 넘어옴
1. 개요2. 예시
2.1. 비유적/문학적 표현2.2. 잘못된 표현2.3. 어원상 모순
2.3.1. 반대 사례
3. 관련 문서4. 외부 링크

1. 개요

모순어법(, oxymoron)은 모순이거나 상충하는 단어들이 결합된 표현을 말한다. '모순형용', '형용모순'이라고도 한다. 역설법의 한 범주로, 겹말과 더불어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단어의 정확한 뜻을 모르고 사용하는 오류이고[1], 모순된 말을 합쳐 단어의 뜻을 강조하거나 보충하는 데에 쓰는 경우가 있으며[2] 마지막으로 형태상으로 모순이지만 실질적으로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3]가 있다.

2. 예시

2.1. 비유적/문학적 표현

2.2. 잘못된 표현

  • 가짜(假-) 실력(實力)
    가짜 진짜로 갖추고 있는 힘이나 능력.
  • 걱정을 덜고 고민한다.
    '고민'은 괴로움을 뜻한다.
  • 과반수 초과
    '과반수(過半數)'는 반수(半數)를 넘었다는(過) 뜻이고, '과반수 초과'는 반수를 넘은 수를 포함하지 않지만 반수를 넘은 수보다 크다는 뜻이므로 모순이다. '과반수 이상'은 반보다 1 이상 더 큰 수 이상이라는 뜻이므로 겹말이 된다.
  • 고(高) 난이도(難易度), 난이도가 높다
    높은 쉽고 어려운 정도, 쉽고 어려운 정도가 높다. '고난도'. '난도(難度)가 높다', '난이도가 어렵다' 등으로 써야 맞는다. 자세한 건 난이도 문서 참고.
  • 내장형 그래픽 카드, 내장형 사운드 카드
    '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의 '카드'는 그래픽, 사운드 기능을 보강하고자 메인보드 확장 슬롯에 꽂아 사용하는 카드 형태의 별도 확장 장치를 의미한다. 이는 기계 구조 현실적 모순어법(형용 모순)으로, 메인보드에 내장돼 있으면 카드가 아니다. 즉 내장형(온보드) 그래픽/사운드 '칩셋'이라고 부르는 것이 올바르다. 이와 대조되는 단어인 '외장형 그래픽/사운드 카드'는 흔하게 사용되는 용례에서는 겹말이지만, eGPUUSB 사운드 카드와 같이 컴퓨터 케이스 밖에 내놓고 사용하는 그래픽/사운드 카드를 일반적인 메인보드 확장 슬롯을 사용하는 그래픽/사운드 카드와 구별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케이스를 기준으로 하면 지포스, 라데온처럼 PCI-E 등 단자에 꽂아 쓰는 그래픽 카드가 내장형 그래픽 카드인 셈이다.
  • 늙은 강아지, 늙은 망아지, 늙은 송아지
    늙은 어린 개, 늙은 어린 말, 늙은 어린 소. '강아지'는 작은 개나 귀여운 개를 이르는 단어가 아니며, 어린 개를 이르는 단어다. 다만 강아지들끼리 나이 차이로 비교할 때는 모순이 아닐 수도 있다.
  • 대인배
    '-배'에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있다.
  • 도트힐
    damage over time heal. 영어 표현은 'heal over time(HOT)'이고, 한국어로는 '지속 치유' 또는 '지속힐'이라고 할 수 있다.
  • '동물의'+사람 인(人)을 포함하는 단어
    • 동물의 인권
      동물의 사람의 권리. ‘동물의 권리’, ‘동물권’ 정도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 동물의 인생
      동물의 사람의 삶(生). '동물의 생', '동물의 생애', '동물의 한살이' 정도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 따뜻한 냉커피
    따뜻한 차가운 커피. 이런 표현이 어색하지 않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냉면을 뜨겁게 해서 먹는 경우도 있어 '뜨거운 냉면'은 자연스러운 표현이니 따뜻한 냉커피도 비슷하게 받아들여져서일 수 있다. 반대인 '시원한 온커피'는 거의 안 쓰인다.
  • 사랑의 매
    다른 사람을 아끼고 좋아함다른 사람이나 동물을 억누르려는 목적으로 위해를 입히기 위하는 도구의 일종.
  • 사파이어 글래스, 사파이어(보석) 유리
    강옥의 일종 + 모래, 소다 등을 섞은 것을 녹여 굳힌 것.
  • 셀프 오마카세
    스스로 + 주방장에게 선택권을 주어 주문하는 특식.
  • 아몰레드 액정
    AMOLED액정을 안 쓰는 디스플레이 방식이다. 유사 사례로 CRT의 과도기인 2000년대에 PDPLCD의 화면을 '브라운관'이라 칭한 사례도 있다.
  • 유일무이한 둘, 유일하게 ~한 것 중 하나, 둘이서 독점
    '유일'과 '무이'는 하나뿐이라는 뜻이고, '독점'은 혼자 차지한다는 뜻이지만, '~ 중 하나'는 그 대상 말고도 여럿 있다는 뜻이다. ‘~한 몇 없는 둘'이나 ‘몇 없게 ~한 것 중(또는 '가운데') 둘’, ‘몇 없게 ~한 것 중(또는 '가운데') 하나(또는 '한 가지', '한 명' 등)’, '유이한'[5] '둘(또는 '여럿')이서 과점하다'[6] 따위로 나타내는 게 옳다.
  • 오래된 신조어
    오래된 새로 만들어진 말. 이러한 것은 '신조어'라고 말고 '유행어'나 '속어', '은어'라는 게 옳다. '철지난 유행어'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 이지선다
  • 일례(一例)
    이 말 다음에 여러 예를 나열하기도 한다.
  • 자문을 구하다
    '자문'이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견을 물음'이라는 뜻으로 이미 동사적 속성이 있다.
  • 잘 알려진/유명한 일화
    잘 알려진/유명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逸話). 한자 '(편안할 일)'에 '숨다'라는 뜻이 있다. 일화이다가도 잘 알려지고 나면 일화로 볼 수 없다.
  • 전범국, 전범기, 전범기업
    나라, 깃발, 기업에는 사람의 능력이 없기에 잘못된 말이다.
  • 정파 방송
    '정파(停波)'는 방송을 중지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원칙적으로는 '정파', '정파 시간대'라 하는 것이 옳다.
  • 제일 -(으)ㄴ 것 중 하나
    '제일(第一)'에 '하나'라는 뜻이 있다.
  • 최소 n미터 이내
  • SSD 하드
    반도체 기억장치 경질 (자석) 기억장치.

2.3. 어원상 모순

어원상 모순이지만 현대 표준어 기준으로는 오류가 아닌 말들. 즉, 자연스레 의미가 달라졌거나 확장된 단어들이다.
  • 가상현실
    현실에는 없는 것 현실. 원어는 'Virtual Reality(VR)'이다.
  • 가죽 지갑
    가죽 종이로 만든 갑(匣). '지갑(紙匣)'의 첫 번째 뜻풀이는 "돈, 증명서 따위를 넣을 수 있도록 가죽이나 헝겊 따위로 쌈지처럼 만든 자그마한 물건."이다. 이는 '바가지'가 본래는 열매로 만든 것이나 현재는 재질에 상관 없이 그러한 용도를 지닌 도구 전반을 가리키는 단어로 전용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역시 어원 의식이 옅어진 것. '지갑'을 '지폐를 넣는 갑'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지폐도 종이로만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 게임 중독
    '중독'이 '탐닉'의 뜻으로도 확대된 것.
  • 고구마양갱, 단팥양갱
    '양갱'은 원래 양의 피를 굳혀 만드는 선지 비슷한 음식을 일컬었다.
  • 금으로 만든 옥새
    금으로 만든 옥으로 만든 도장. '옥새'가 군주가 사용하는 결재용 도장으로 고유명사화한 것이다.
  • 더치 아메리카노
    네덜란드 미국(커피).
  • 동년배, 선배, 후배
    위 '대인배'와 달리 일본식 한자어 영향으로 생긴 것이다.
  • 동물인형
    동물 사람의 형상을 한 것(形).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인형'이 "사람이나 동물 모양으로 만든 장난감."으로 풀이되어 있다.[7]
  • 마법 면역
    '면역(免疫)'의 '역(疫)'은 본래 '질병'을 뜻하는 단어이다.
  • 많이 적다, 상당히 적다
    '많다'와 '적다'가 반대말 관계. '많다', '상당하다'가 '적다'를 수식하는 식으로 사용되는 듯하다.
  • 메모리 누수
    메모리 물이 샘(漏水). 원래의 용어는 'Memory leakage'로서 '누수'가 단순히 '새다'라는 의미로 확장돼서 사용되는 듯하다. 어원적으로는 바르지 않지만 이미 관용적인 표현으로 굳어졌다. 실제로 '엔진오일 누수'같이 그르게 사용하는 일도 많다. 그쪽은 '누유(漏油)'라 하는 것이 옳다.
  • 무명지
    '무명지(無名指)'는 이름(名)이 없는(無) 손가락(指)이라는 뜻인데, 다섯 손가락 중 넷째 손가락에 별도의 이름이 없다고 하는 점에서 착안하여 '무명지'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니 모순이다. 고유명사가 된 보통명사 사례와도 비슷하다.
  • 문맹, 컴맹
    '맹(盲)'은 본래 시각장애를 뜻한다.
  • 미국식 영어[8], 캐나다식 영어[9], 호주식 영어[10] 등등…
    '영국식 영어'라는 말로 알 수 있듯, 결국 이렇게 쓸 수밖에 없다. 영국 밖의 영어는 영국령 언어로 봐도 될 듯하다.
  • 북베트남
    북쪽 남쪽 월나라(越南).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통칭. 베트남(越南)은 남월(南越)을 베트남어 어순대로[11] 쓴 것이다.
  • 비닐봉지
    석유를 기반으로 한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무엇을 넣으려고 종이로 만든 용기(封).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봉지'의 뜻이 "종이나 비닐 따위로 물건을 넣을 수 있게 만든 주머니."로 풀이되어 있다. 게다가 어원상으로 비닐도 아니다.
  • 승전국, 패전국
    위 '전범국'과 같은 형용 모순 표현이지만 객관적 기준이나마 있고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 아직/지금까지 ~고 있다.
    어떤 일의 이전/현재가 끝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 현재진행형 시제 → 현재 ~고 있다. / 현재까지 ~고 있다.
  • 안전사고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의 사고.
  • 야채 육수
    야채 고기를 우려낸 국물. '채수'로도 표현할 수 있다.
  • 없는 사실
  • 여장부
    여자(女) 장성한 사나이(丈夫). '丈婦'로 써도 되긴 한다.
  • 열린 닫힌 집합
    수학 용어로, 양 끝점을 포함하면서도 포함하지 않는 집합을 뜻한다.
  • 오해를 풀다
    그른 풀이를 풀다.
  • 일부(一部)
    위 '일례'와 다르게 여럿에도 쓸 수 있으며, 전부를 나타낼 때도 쓸 수 있다.
  • 작은 대문
    작은 큰 문(大門). 일본어로도 '小さな大-(작은 대-)' 같은 식으로 쓰일 때가 있다. '대문'이 마당 밖의 문이라는 뜻으로 여겨지는 듯하다.
  • 작은 큰따옴표/큰 작은따옴표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라고 하지만 '대문자'와 '소문자'처럼 글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이 아니다.
  • 지구 평면설(地球平面說)
    '지구(地球)'라는 단어 자체가 구(도형)( - 공(운동 기구) 구) 모양의 땅()이라는 뜻이다. '지평설'이 바르다.
  • 콩우유
    콩을 짜낸 소젖(乳). '두유'의 문화어이다. 단, 이 단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콩가루에 설탕, 분유 따위를 섞어서 끓이거나 끓는 물에 탄 영양 음료."로 등재되어 있다. 즉, 북한에서는 콩으로 만든 젖을 뜻하는 말이지만, 남한에서는 소젖에 콩가루를 탄 음료를 뜻한다고 보면 된다. 또, 남한에서의 뜻은 북한에서는 '콩젖'이라고 한다. 사실상으로 문화어에서 서로 바뀌었다.
  • 큰 소포
    작은 꾸러미(小包). 단순히 '꾸러미'라는 뜻으로 확장돼서 쓰이는 것 같다.
  • 토끼도리탕
    '닭도리탕'의 '도리' 어원이 새를 뜻하는 일본어로 알려져 있지만 '도리다'가 어원이라는 의견도 있다.
  • 피해를/부상을 입히다, 피해를 주다/가하다
    '손해를 입음'의 뜻이 있는 '피해'(예: 피해자), '상처를 입음'의 뜻이 있는 '부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단순히 '손해', '상처'라는 의미가 되었고, '피해를 주다'도 사전에 실려있다. '가해하다'로 바꿔도 되고(예: 가해자), 굳이 현실을 반영하면 '피해'를 '披害(해칠 피, 해칠 해)'로 적을 수도 있겠다. '피해를 가하다'는 한문 식으로 바꾸면 '가피해하다'가 되고, '피해를 입히다'는 반대로 바꾸면 '가해를 입다'가 되지만 이렇게는 안 쓰인다.
  • 허위사실(虛僞事實)
    공허하고(虛) 거짓된(僞) 실제로(實) 있는 일(事).
  • African American, European American, Asian American, German Russian, Korean Chinese 등등
    위의 '미국식 영어' 등과 비슷한 예이다.
  • -音癡(おんち)
    '方向音痴(길치)', 'コンピューター音痴(컴맹)' 등. 일본어로는 음악과 상관없어도 접미어처럼 쓰인다. 한국어 '-치'와 같은 뜻. 한국에서도 맛을 잘 모르는 사람을 '맛음치'로 표현하는 것과 동일한 예다.
  • 색 관련
    • 검은 백조, 흑백조
      검은 흰 새(白鳥). '백조'가 색에 상관없이 '고니'라는 뜻으로 쓰이는 듯하다. '하얀 흑조'도 쓰이긴 한다.
    • 그린홍합
      녹색 빨간색 (살) 조개(紅蛤). '녹합'으로 바꿀 수 있다.
    • 슈퍼 블루 블러드문
      파란(blue) 피처럼 붉은 달(blood moon).[12] 여기서의 '블루 문'은 한 달에 두 번째로 뜬 보름달을 말한다.
    • 흑설탕
      검은(黑) 눈처럼 하얀 당분(雪糖). '흑당'이라는 표현도 쓴다.

2.3.1. 반대 사례

  • 봉사 값, 봉사료
    '봉사'는 본래 대가 유무 상관없이 국가에나 타인에게 힘쓴다는 뜻(=service)으로 쓰였으나 대가 없이 힘쓴다는 뜻이 된 것. 북한과 일본에서는 전자의 뜻으로 쓰인다.
  • 옳게 틀리다
    '틀리다'는 '틀다'의 피동사이기도 한데, '어긋나다'의 뜻으로만 자주 쓰이다 보니 '옳게 틀리다' 등이 어색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3. 관련 문서

4. 외부 링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9 (이전 역사)
문서의 r7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ex) 늙은 강아지[2] ex) 공공연한 비밀[3] ex) 피해를 주다[4] 다만 '환'이 '患(근심 환)'이면 모순어법이 아니다.[5] 표준어는 아니다.[6] 목적어나 부사어 뒤에는 용언이 와야 옳다. '어근' 문서의 '구별 경향' 문단 참고.[7] 일본어로는 '人形'가 한자대로 사람 모양으로 만든 장난감만을 나타내며, 동물 인형은 'ぬいぐるみ'라고 한다.[8] 본디 영국에서 유래했으나 미국인들이 변형해서 쓰는 언어.[9] 본디 영국에서 유래했으나 캐나다인들이 변형해서 쓰는 언어.[10] 본디 영국에서 유래했으나 호주인들이 변형해서 쓰는 언어.[11] 베트남어에서는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온다.[12] 월식으로 인해 붉게 보이는 달을 '블러드문'이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