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 옛 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コ | ||||||
일본어 훈독 | ふる-い, ふる-す, いにしえ | ||||||
- | |||||||
표준 중국어 | g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古는 '옛 고'라는 한자로, '옛날', '옛것'을 뜻한다. '오래 되었음'을 뜻하는 접두사로도 쓰인다. '고○'과 같이 단어의 앞부분에 올 때 항상 장음으로 읽는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3E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R(十口)로 입력한다.어찌보면 지도의 교회 표시나 묘비 앞의 비석 같이 보이기도 한데, 十(열 십)자와 口(입 구)자로 이루어진 회의자다. 口자는 말씀을 뜻하는데, 十자가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로 나뉜다.
- 매우 큰 숫자를 뜻하는 것으로 보는 설: 매우 오래 전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설상의 옛날을 의미한다.
- 干(방패 간) 혹은 甲(갑옷 갑)의 변형으로 보는 설: 이 설에 의거하면 오래 전에 있었던 전쟁 이야기를 말한다는 뜻에서 옛날이라는 뜻이 파생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에서는 일반적을 낡다, 오래되다 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극히 드물게, 질박하다, 순박하다라는 뜻의 단어로도 사용된다. 다만 이는 특이한 용법으로, 중국어에서 古자가 나오면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오래되다, 낡다라는 뜻이 일반적이다.
일본어 훈독의 뜻은 다음과 같다.
- [ruby(古, ruby=ふる)]す : 오래 써서 낡게 하다 (동사)
- [ruby(古, ruby=ふる)]い : 오래되다, 낡다 (형용사)
- [ruby(古, ruby=いにしえ)] : 옛날, 왕년 (명사, 문어적 표현)
2.1. 古와 故의 차이
古는 옛날, 오래된 것(old)을 뜻한다. 영어로 치면 과거형이다. 故는 예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 습관이나 전통을 뜻한다. 영어로 치면 현재 완료형이다. 그러나 古와 故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故는 더 많은 쓰임새가 있는데 故 문서 참고.3. 용례
3.1. 단어
- 고고학(考古學)
- 고궁(古宮)
- 고금(古今)
- 고대(古代)
- 고도(古都)
- 고동색(古銅色)
- 고래(古來)
- 고목(古木)
- 고문(古文)
- 고문헌(古文獻)
- 고물(古物)
- 고분(古墳)
- 고산자(古山子)
- 고생물(古生物)
- 고서(古書)
- 고석(古昔)
- 고시(古詩)
- 고어(古語)
- 고인(古人)
- 고자(古字)
- 고적(古跡/古蹟/古迹)
- 고전(古典)
- 고조선(古朝鮮)
- 고참(古參)
- 고철(古鐵)
- 고체시(古體詩)
- 고택(古宅)
- 고필(古筆)
- 몽고(蒙古)
- 반고(盤古)
- 복고(復古)
- 중고(中古)
- 천고(千古)
- 최고(最古)
- 태고(太古)
3.2. 고사성어/숙어
- 고금동서(古今東西)
- 고금동연(古今同然)
- 고금부동(古今不同
- 고금천지(古今天地)
- 고족대가(古族大家)
- 고희(古稀)
- 동서고금(東西古今
- 만고강산(萬古江山)
- 만고불변(萬古不變)
- 만구천추(萬古千秋)
- 만고풍설(萬古風雪)
- 법고창신(法古創新)
- 사불사고(事不事古)
- 자고이래(自古以來)
- 태고시대(太古時代)
3.3. 인명
- 실존인물
- 고바 타케시(古葉 竹識)
- 고이만년(古爾萬年)
- 고이해(古爾解)
- 막고해(莫古解)
- 소아고지(蕭阿古只)
- 야율직로고(耶律直鲁古)
- 저고여(著古與)
- 코누타 켄지(古怒田 健志)
- 후루사와 토오루(古澤 徹)
- 후루야 시즈카(古谷 静佳)
- 후루야 토오루(古谷 徹)
- 후루카와 유우키(古川 雄輝)
- 후루키 노조미(古木 のぞみ)
- 후루하라 야스히사(古原 靖久)
- 후루하시 쿄고(古橋 亨梧)
- 가상인물
3.4. 지명
3.5. 창작물
- 古書店街の橋姫(고서점가의 하시히메)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新(새로울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