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구 | 축구 | 농구 | 배구 |
| | | |
KBO 한국시리즈 | | KBL 챔피언결정전 | V-리그 챔피언결정전 |
| ||
V-리그 챔피언결정전 엠블럼 | ||
V-League FINALS | ||
최근 우승팀 |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남] | |
2021-22 | ||
GS칼텍스 서울 KIXX[여] | ||
2020-21 | ||
최다 우승팀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남] | |
8회 |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여] | ||
4회 |
[Clearfix]
1. 개요
V-리그의 우승자를 가리는 5전 3선승제의 토너먼트. 정규리그 1위와 플레이오프 승자가 맞붙는다.참고로 남자부는 삼성화재, 현대캐피탈, OK금융그룹, 대한항공 이렇게 네 팀만 챔피언결정전에 올라서 우승경험이 있는 반면, 여자부는 모든 팀이 챔피언결정전에 올라가서 우승을 기록한 경험이 있다.[5]
2020-21 시즌 기준 최다 우승팀은 남자부는 삼성화재(8회 우승), 여자부는 흥국생명(4회 우승)이다.
2020-21 시즌부터, 우승이라는 명칭을 부여하는 팀은, 반드시 "챔피언결정전을 승리한" 팀에게만 붙인다. 따라서 2020-21 시즌부터는 통합우승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는 인정되지 않는다.[6]
2. 우승 트로피
|
남자부와 여자부가 우승 트로피 디자인이 똑같다. 대신 남자부는 Champion 글씨가 파란색이고 여자부는 빨간색이다.
3. 남자부
3.1. 역대 전적
V-리그 남자부 챔피언결정전 역대 전적 | ||||||||
<rowcolor=#000080,#fff> 시즌 | 정규 우승팀 | 스코어 | PO 승리팀 | MVP | ||||
2005 | 1 | 현대캐피탈 | 1 | ●●●● | 3 | 삼성화재 | 2 | 김세진 (삼성화재, R) |
2005-06 | 1 | 현대캐피탈 | 3 | ●●●●● | 2 | 삼성화재 | 2 | 숀 루니 (현대캐피탈, L) |
2006-07 | 1 | 삼성화재 | 0 | ●●● | 3 | 현대캐피탈 | 2 | 숀 루니 (현대캐피탈, L) |
2007-08 | 1 | 삼성화재 | 3 | ●●● | 0 | 현대캐피탈 | 3 | 안젤코 (삼성화재, R) |
2008-09 | 1 | 현대캐피탈 | 0 | ●●●● | 3 | 삼성화재 | 2 | 최태웅 (삼성화재, S) |
2009-10 | 1 | 삼성화재 | 4 | ●●●●●●● | 3 | 현대캐피탈 | 2 | 가빈 (삼성화재, R) |
2010-11 | 1 | 대한항공 | 0 | ●●●● | 4 | 삼성화재 | 3 | 가빈 (삼성화재, R) |
2011-12 | 1 | 삼성화재 | 3 | ●●●● | 1 | 대한항공 | 2 | 가빈 (삼성화재, R) |
2012-13 | 1 | 삼성화재 | 3 | ●●● | 0 | 대한항공 | 3 | 레오 (삼성화재, L) |
2013-14 | 1 | 삼성화재 | 3 | ●●●● | 1 | 현대캐피탈 | 2 | 레오 (삼성화재, L) |
2014-15 | 1 | 삼성화재 | 0 | ●●● | 3 | OK저축은행 | 2 | 송명근 (OK저축은행, L) |
2015-16 | 1 | 현대캐피탈 | 1 | ●●●● | 3 | OK저축은행 | 2 | 시몬 (OK저축은행, R) |
2016-17 | 1 | 대한항공 | 2 | ●●●●● | 3 | 현대캐피탈 | 2 | 문성민 (현대캐피탈, R) |
2017-18 | 1 | 현대캐피탈 | 1 | ●●●● | 3 | 대한항공 | 3 | 한선수 (대한항공, S) |
2018-19 | 1 | 대한항공 | 0 | ●●● | 3 | 현대캐피탈 | 2 | 전광인 (현대캐피탈, L) |
| 취소[코로나] | |||||||
2020-21 | 1 | 대한항공 | 3 | ●●●●● | 2 | 우리카드 | 2 | 정지석 (대한항공, L) |
2021-22 | 1 | 대한항공 | 2 | ●●● | 1 | KB손해보험 | 2 | 링컨 (대한항공, R) |
17-18시즌 챔결에서는 대한항공이 풀세트 패배 이후 현대캐피탈을 3번 연속 셧아웃으로 잡아내며 우승하며 한국도로공사와 함께 무관의 기록을 깼다.
2021-22시즌은 남자부 연쇄 코로나19 감염으로 계획된 일정대로는 경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고, 19-20시즌처럼 리그가 파행 운영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포스트시즌 경기수를 줄여 3판 2선승제로 개최한다.
3.2. 우승 횟수
팀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삼성화재 | 8 | 3 | 200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 2006, 2007, 2015 |
현대캐피탈 | 4 | 7 | 2006, 2007, 2017, 2019 | 2005, 2008, 2009, 2010, 2014, 2016, 2018 |
대한항공 | 3 | 5 | 2018, 2021, 2022 | 2011, 2012, 2013, 2017, 2019 |
OK금융그룹 | 2 | 0 | 2015, 2016 | - |
우리카드 | 0 | 1 | - | 2021 |
KB손해보험 | 0 | 1 | - | 2022 |
- 팀 간 대결은 다음과 같다.
- 7회: 삼성화재-현대캐피탈 (5:2)
- 3회: 삼성화재-대한항공 (3:0), 현대캐피탈-대한항공 (2:1)
- 1회: OK금융그룹-삼성화재, OK금융그룹-현대캐피탈, 대한항공-우리카드, 대한항공-KB손해보험 (모두 앞 팀이 승리 1회 1:0)
3.3. 개별 경기 기록(~2022)
팀명 | 전적 | 승률 |
삼성화재 | 59전 28승 16패 | 0.636 |
현대캐피탈 | 46전 20승 26패 | 0.435 |
대한항공 | 31전 11승 20패 | 0.355 |
OK금융그룹 | 7전 6승 1패 | 0.857 |
우리카드 | 5전 2승 3패 | 0.400 |
KB손해보험 | 3전 1승 2패 | 0.333 |
4. 여자부
어느 한 팀이 독주하는 경향이 없이 꽤 균형이 잡힌 결과가 나오는데 실제로 V-리그 여자부는 전 시즌의 우승팀이라 할지라도 살짝 삐끗하면 최하위가 될 수 있고 전 시즌 꼴찌라도 제대로 탄력을 받으면 우승 전력이 될 수 있는 리그다.4.1. 역대 전적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 역대 전적 | ||||||||
<rowcolor=#ee82ee,#fff> 시즌 | 정규 우승팀 | 스코어 | PO 승리팀 | MVP | ||||
2005 | 1 | 한국도로공사 | 1 | ●●●● | 3 | KT&G | 2 | 최광희 (KT&G, L) |
2005-06 | 1 | 흥국생명 | 3 | ●●●●● | 2 | 한국도로공사 | 2 | 김연경 (흥국생명, L) |
2006-07 | 1 | 흥국생명 | 3 | ●●●● | 1 | 현대건설 | 3 | 김연경 (흥국생명, L) |
2007-08 | 1 | 흥국생명 | 1 | ●●●● | 3 | GS칼텍스 | 3 | 정대영 (GS칼텍스, C) |
2008-09 | 1 | GS칼텍스 | 1 | ●●●● | 3 | 흥국생명 | 3 | 김연경 (흥국생명, L) |
2009-10 | 1 | 현대건설 | 2 | ●●●●●● | 4 | KT&G | 2 | 몬타뇨 (KT&G, R) |
2010-11 | 1 | 현대건설 | 4 | ●●●●●● | 2 | 흥국생명 | 3 | 황연주 (KT&G, R) |
2011-12 | 1 | KGC인삼공사 | 3 | ●●●●● | 2 | 현대건설 | 3 | 몬타뇨 (KGC인삼공사, R) |
2012-13 | 1 | IBK기업은행 | 3 | ●●●● | 1 | GS칼텍스 | 2 | 알레시아 (IBK기업은행, R) |
2013-14 | 1 | IBK기업은행 | 2 | ●●●●● | 3 | GS칼텍스 | 2 | 베띠 (IBK기업은행, R) |
2014-15 | 1 | 한국도로공사 | 0 | ●●● | 3 | IBK기업은행 | 2 | 김사니 (IBK기업은행, S) |
2015-16 | 1 | IBK기업은행 | 0 | ●●● | 3 | 현대건설 | 2 | 양효진 (현대건설, C) |
2016-17 | 1 | 흥국생명 | 0 | ●●●● | 3 | IBK기업은행 | 2 | 메디 (IBK기업은행, L) |
2017-18 | 1 | 한국도로공사 | 3 | ●●● | 0 | IBK기업은행 | 2 | 박정아 (한국도로공사, L) |
2018-19 | 1 | 흥국생명 | 3 | ●●●● | 1 | 한국도로공사 | 2 | 이재영 (흥국생명, L) |
| 취소[코로나] | |||||||
2020-21 | 1 | GS칼텍스 | 3 | ●●● | 0 | 흥국생명 | 2 | 러츠 (GS칼텍스, R) 이소영 (GS칼텍스, L) |
| 취소[코로나] |
05 시즌부터 09-10 시즌까지 무려 6시즌 연속 1차전 패배팀이 우승하는 정말 납득하기 힘든 징크스가 있었다. 10-11시즌에 현대건설이 최초로 1차전 승리 후 우승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6시즌동안 다시 1차전 승리팀이 우승하다가, 16-17시즌에 깨졌다. 다시 17-18시즌에는 1차전 승리팀이 우승하였다. 따라서 여자부는 1차전 승리팀의 우승 확률이 50%라서 남자부의 70% 후반을 나타내는 우승 확률과 달리 언론에 언급이 잘 되지 않는다.
10-11시즌부터는 방송을 쉰 12-13시즌을 제외하고 스페셜V 첫 클럽하우스 촬영 팀이 우승한다는 징크스가 생긴 상황. 이것도 역시 16-17 시즌 KGC인삼공사가 3위에 그치면서 깨졌다.
명승부(?)라고 보긴 어렵지만 역대급 몰빵으로 우승한 몬타뇨의 11-12 챔결전, 베띠의 13-14 챔결전은 전설로 남았다.[10] 정말로 거의 혼자서 팀을 우승시켰다고 해도 다름 없었던 챔결전이기 때문. 16-17 시즌의 메디슨 킹던 리쉘도 엄청난 몰빵과 함께 리시브(!!)까지 40% 가까이 차지하면서 팀을 그야말로 하드캐리했다. [11]
15-16시즌의 경우, 남녀부 통틀어 유일한 챔프전 무실세트 우승이다. 반응은 현건이 리그 MVP인 맥마흔이 빠진 기은을 상대로 거둔 진화타겁이라며 평가절하가 많지만.[12]
17-18시즌에 그 동안 우승이 없었던 한국도로공사가 처음으로 우승을 하면서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리그들 중에서 여자부 한정으로 WKBL과 함께 리그 참여팀 모두가 1회 이상 우승 기록이 있다.[13]
20-21시즌에 GS칼텍스가 마지막으로 통합우승을 달성하면서 리그에 참가하는 모든 팀이 챔결 우승+통합우승의 기록을 가지게 되었다.[14] GS칼텍스의 이 우승은 트레블 달성[15]의 대기록을 세우는 우승이기도 했다. 이는 남자부의 삼성화재에 이어 11년 만에 나온 대기록. 반면에 흥국생명은 김연경을 영입하고도 팀 내 기강을 잡지 못하고 학교폭력 논란까지 터지면서 이 시즌의 모든 우승을 GS에게 직접 내주는[16] 굴욕을 썼다. 이 기록은 남녀 전구단을 합해 최초다.
4.2. 우승 횟수
팀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흥국생명 | 4 | 4 | 2006, 2007, 2009, 2019 | 2008, 2011, 2017, 2021 |
IBK기업은행 | 3 | 3 | 2013, 2015, 2017 | 2014, 2016, 2018 |
GS칼텍스 | 3 | 2 | 2008, 2014, 2021 | 2009, 2013 |
KGC인삼공사 | 3 | 0 | 2005, 2010, 2012 | - |
현대건설 | 2 | 3 | 2011, 2016 | 2007, 2010, 2012 |
한국도로공사 | 1 | 4 | 2018 | 2005, 2006, 2015, 2019 |
- 팀 간 대결은 다음과 같다.
- 3회: GS칼텍스-흥국생명(2:1)[17]
- 2회: KGC인삼공사-현대건설, 흥국생명-한국도로공사 (모두 앞 팀이 승리 2회 2:0), 흥국생명-현대건설, IBK기업은행-GS칼텍스, IBK기업은행-한국도로공사 (모두 1:1)
- 1회: KGC인삼공사-한국도로공사, 현대건설-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흥국생명 (모두 앞 팀이 승리 1회 1:0)
4.3. 개별 경기 기록(~2021)
팀명 | 전적 | 승률 |
흥국생명 | 34전 16승 18패 | 0.470 |
현대건설 | 24전 12승 12패 | 0.500 |
GS칼텍스 | 20전 11승 9패 | 0.550 |
IBK기업은행 | 22전 11승 11패 | 0.500 |
KGC인삼공사 | 15전 10승 5패 | 0.667 |
한국도로공사 | 19전 7승 12패 | 0.368 |
5. 여담
남자부의 통합 우승[18] 사례는 다음과 같다. 16번의 챔피언결정전 중 통합 우승에 성공한 사례는 현재까지 7번으로, 이 가운데 5번을 삼성화재가, 현대캐피탈과 대한항공이 한 번씩 기록하였다. 이것은 정규리그 우승팀의 챔피언결정전 우승 확률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14-15 시즌부터는 정규리그 2위 팀이 우승하는 징크스가 이어졌지만 20-21시즌 대한항공이 통합 우승을 기록하며 징크스가 깨졌다.[19][20]- 05-06 현대캐피탈
- 07-08 삼성화재
- 09-10 삼성화재
- 11-12 삼성화재
- 12-13 삼성화재
- 13-14 삼성화재
- 20-21 대한항공
- 21-22 대한항공
남자부와 비슷하게 여자부에도 통합우승을 거두기가 상당히 힘든데, 체력보다는 흐름, 기세를 많이 타는 배구 특성상 16번의 챔피언결정전 가운데 정규리그 1위팀의 통합우승에 성공한 사례는 아래에 작성된 8번에 불과하다. 그 중 3번을 흥국생명이 달성했고 현대건설, KGC인삼공사, IBK기업은행, 한국도로공사, GS칼텍스가 각각 한 번씩 달성했다.
- 05-06 흥국생명
- 06-07 흥국생명
- 10-11 현대건설
- 11-12 KGC인삼공사
- 12-13 IBK기업은행
- 17-18 한국도로공사
- 18-19 흥국생명
- 20-21 GS칼텍스
같은 체육관을 공유하는 남자부와 여자부가 동시에 우승한 사례는 5번이 있다. 3번이 대전 충무체육관, 2번이 천안 유관순체육관.
- 2005 삼성화재 & KT&G
- 05-06 현대캐피탈 & 흥국생명
- 06-07 현대캐피탈 & 흥국생명
- 09-10 삼성화재 & KT&G
- 11-12 삼성화재 & KGC인삼공사
같은 체육관을 공유하는 남자부와 여자부가 동시에 준우승을 한 사례는 3회이다. 천안 유관순체육관 1회, 인천 도원체육관 및 계양체육관 각 1회.
- 07-08 현대캐피탈 & 흥국생명
- 10-11 대한항공 & 흥국생명
- 16-17 대한항공 & 흥국생명
각 팀별로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던 시즌은 다음과 같다.[21][22]
- 삼성화재 : 2005~2014/15 시즌 (총 11시즌, 11시즌 연속 / 최다 연속 챔피언결정전 진출 기록)
- 현대캐피탈 : 2005~2009/10, 2013/14, 2015/16~2018/19 시즌 (총 11시즌)
- OK저축은행 : 2014/15, 2015/16 시즌 (총 2시즌)
- 대한항공 : 2010/11, 2011/12, 2012/13, 2016/17~2018/19, 2020/21~2021/22 시즌 (총 8시즌)
- 우리카드 : 2020/21 시즌 (총 1시즌)
- KB손해보험 : 2021/22 (총 1시즌)
- 한국전력 : 없음 (최고 기록 : 3위 3회 - 2014/15, 2016/17, 2021/22)
- 흥국생명 : 2005/06~2008/09, 2010/11, 2016/17, 2018/19, 2020/21 시즌 (총 8시즌)
- IBK기업은행 : 2012/13~2017/18 시즌 (총 6시즌)
- GS칼텍스 : 2007/08, 2008/09, 2012/13, 2013/14, 2020/21 시즌 (총 5시즌)
- KGC인삼공사 : 2005, 2009/10, 2011/12 시즌 (총 3시즌)
- 현대건설 : 2006/07, 2009/10~2011/12, 2015/16 시즌 (총 5시즌)
- 한국도로공사 : 2005, 2005/06, 2014/15, 2017/18~2018/19 시즌 (총 5시즌)
챔피언결정전 MVP를 2회 이상 수상한 사람은 다음과 같다.
- 숀 루니 2회 (당시 현대캐피탈, 2005/06 ~ 2006/07)
- 가빈 슈미트 3회 (당시 삼성화재, 2009/10 ~ 2011/12)
- 레오나르도 레이바 2회 (당시 삼성화재, 2012/13 ~ 2013/14)
- 김연경 3회 (당시 흥국생명, 2005/06 ~ 2006/07 , 2008/09)
- 마델라이네 몬타뇨 2회 (당시 KT&G-KGC인삼공사, 2009/10 , 2011/12)
전년도 최하위를 기록하고 이듬해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거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05시즌 흥국생명 최하위(5위)[23] → 05-06시즌 우승 (정규리그 우승, 챔피언결정전 우승)
- 16-17시즌 한국도로공사 최하위(6위) → 17-18시즌 우승 (정규리그 우승, 챔피언결정전 우승)
- 17-18시즌 흥국생명 최하위(6위) → 18-19시즌 우승 (정규리그 우승, 챔피언결정전 우승)
- 2019-2020 시즌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인해 아예 개최되지 않으면서 처음으로 우승팀이 없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66b3> | V-League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000000,#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0000,#ffffff; 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66b3><colcolor=#fff> 대회 | 준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챔피언결정전 · 올스타전 · KOVO컵 · 한·일 V리그 TOP매치 | |
역사 | KOVO 신인선수 드래프트 · 드래프트 1순위 · 샐러리캡과 연봉 · 신인왕과 MVP | ||
기타 문서 | 외국인 선수 · 문제점 · 팬 서비스 · 프랜차이즈 선수 · V-클래식 매치 | ||
기록 | 기록 · 트리플크라운 · 한 경기 최다득점 | ||
관련 틀 | <colcolor=#fff> 수상 | 10주년 올스타 · 신인상 (남자부 / 여자부) 정규리그 MVP (남자부 / 여자부) · 챔피언결정전 MVP (남자부 / 여자부) KOVO컵 MVP (남자부 / 여자부) · 한·일 V리그 TOP매치 (MVP / MIP) 여자 동아스포츠대상 · 남자 동아스포츠대상 | |
남자부 | 구단 · 감독 · 주장 · 홈구장 · 클럽하우스 · 사라진 구단 | ||
여자부 | 구단 · 감독 · 주장 · 홈구장 · 클럽하우스 |
| ||||
KOVO컵 | → | 정규시즌 올스타전 | → |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챔피언결정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V-League Finals 챔피언결정전 남자부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C5893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 <rowcolor=#000> 2005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김세진 삼성화재 / 라이트 | 숀 루니 현대캐피탈 / 레프트 | 숀 루니 현대캐피탈 / 레프트 | 안젤코 삼성화재 / 라이트 | 최태웅 삼성화재 / 세터 | |
<rowcolor=#000>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 |
<rowcolor=#000>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
송명근 OK저축은행 / 레프트 | 시몬 OK저축은행 / 라이트 | 문성민 현대캐피탈 / 라이트 | 한선수 대한항공 / 세터 | 전광인 현대캐피탈 / 레프트 | |
<rowcolor=#000>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
공석[a] | 정지석 대한항공 / 레프트 | 링컨 대한항공 / 라이트 | |||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플레이오프 미개최 | |||||
여자부 챔피언결정전 MVP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V-League Finals 챔피언결정전 여자부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C5893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 <rowcolor=#000> 2005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최광희 KT&G / 레프트 |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 정대영 GS칼텍스 / 센터 |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 |
<rowcolor=#000>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
몬타뇨 KT&G / 라이트 | 황연주 현대건설 / 라이트 | 몬타뇨 인삼공사 / 라이트 | 알레시아 기업은행 / 라이트 | 베띠 GS칼텍스 / 라이트 | |
<rowcolor=#000>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
김사니 기업은행 / 세터 |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 리쉘 기업은행 / 레프트 | 박정아 도로공사 / 레프트 |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 |
<rowcolor=#000>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
공석[a] | 이소영 & 러츠 GS칼텍스 / 레프트, 라이트 | 공석[a] | |||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플레이오프 미개최 | |||||
정규리그 MVP · 챔피언결정전 MVP · 신인상 | |||||
남자부 챔피언결정전 MVP 보기 | |||||
대통령배 / 슈퍼리그 MVP 보기 |
[남] 남자부[여] 여자부[남] 남자부[여] 여자부[5] 모든 구단이 최소 3회씩 올라간 경험이 있으며, 최다 진출팀은 흥국생명(8회)이다.[6] 물론 언론이나 일반 대중에게 정규시즌 1위 -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모두 이루어 내면 통합우승이라고 여전히 붙이긴 한다. KOVO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만 않을 뿐. 정규시즌 우승 팀이라는 명칭이 정규시즌 1위 팀으로 바뀌고, 시상식 역시 "우승"이 아닌 "1위"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코로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의한 취소[코로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의한 취소[코로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의한 취소[10] 특히 13-14시즌 챔피언결정전 5차전은 베띠의 몰빵이 극에 달했던 경기로, 공격점유율이 거의 70%에 육박했으며, 4세트 경기였음에도 불구하고 55점이라는 다시는 나올 수 없는 득점을 기록하였다. 만약 5세트까지 갔을 경우 60점대 중반 점수는 기록하고도 남았을 듯.[11] 이 모습으로 메디슨 리쉘은 미국 국가대표 주전 윙스파이커로 뛰기도 했다. 그리고 기어이 17-18시즌에 한 경기 57점이라는, 무슨 아포짓 스파이커도 아니고 리시브 점유율을 항상 30% 이상은 달고 가는 선수에게서 말도 안되는 기록이 나오고 말았다. 물론 13-14시즌에도 바실레바가 리시브 받고 57점을 올린 적이 있었긴 하지만, 그 시즌의 흥국생명은 공격할 곳이 정말 바실레바, 김나희 말고는 없었다. 김희진, 김수지, 고예림, 김미연 등이 버텼던 IBK과는 비교 자체를 하면 안된다. 게다가 17-18시즌 외국인 선수는 모두 트라이아웃으로 선발하는데 반해, 13-14시즌은 외국인 선수 자유계약 시절이다!![12] 웃긴 건 6라운드 때에는 맥마흔에 김희진까지 없는데도 2-3으로 졌던 적이 있을 정도로 현건은 비정상 상태인 팀에 오히려 고전한 적이 수두룩했다. 그리고 기은은 전 시즌에 도공을 상대로 시리즈 세트 스코어 9-1로 우승을 했는데, 이 당시 도공은 니콜, 김해란이 있었지만 프런트가 거하게 삽질을 저질렀다는 메리트를 업고도 저 스코어를 달성하지 못했을 정도로 난이도가 있기에 의미가 있는 우승이다.[13] WKBL도 2018년 이전까지는 청주 KB 스타즈를 빼고는 모두 1회 이상의 우승 기록이 있었지만 박지수 영입 효과로 18-19 시즌 우승을 거두면서 프로 전환 후 첫 우승에 성공했다. 나머지 여자부 리그로는 WK리그가 있는데 이쪽은 6개 팀 중 인천 현대제철, 이천 대교, 수원도시공사만 우승 경험이 있고 경주 한수원, 서울시청, 화천 KSPO 등 나머지 3팀은 우승 경험이 없다. 다만 WK리그 역시 6개 팀 모두 챔피언결정전 진출 경험은 있다.[14] GS는 우승할때 언더독으로 우승하는 경우가 잦아 08-09시즌, 20-21시즌 정규시즌 우승이 2회라서 통합 우승 도전 기회가 적은 팀이었다.[15] KOVO컵+정규시즌 1위+챔피언결정전 우승[16] KOVO컵 준우승+정규시즌 2위(승점 2점차)+챔피언결정전 준우승[17] 이 3번의 대결은 모두 김연경이 흥국생명에 속했을 때에 일어났다. 괜히 김연경의 한국의 숙적팀이 GS로 불리는 것이 아닌 것.[18] 정규시즌 1위, 챔피언결정전 우승[19] 예외는 17-18 시즌의 대한항공. 정규리그를 3위로 마쳤으나 챔피언결정전애서 V1을 달성했다. 하지만 이때의 대한항공도 2위 삼성화재와 승점, 승수가 같았으나 세트득실률에서 밀린 3위였다.[20] 특히 16-17 시즌부터는 대한항공과 현대캐피탈이 정규 우승,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나눠먹고 있는데 실제로 16-17 시즌에는 대한항공이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나 챔피언결정전은 현대캐피탈이 우승했고, 17-18 시즌은 그 반대가 되었으며, 18-19 시즌은 Again 16-17 시즌이 되었다.[21] 팀 표기 방법 : 팀 우승 횟수>2위 횟수>3위 횟수>4위 횟수 순서로 기록[22] 굵은 글씨 : 마지막으로 진출한 시즌[23] 원년 시즌 당시 여자부는 세미프로리그방식으로 진행했다.